고달사지 승탑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형적인 8각 원당형(圓堂形) 승탑으로 신라의 양식이 비교적 잘 남아 있는 고려시대 초기 승탑이다.

하대석(下臺石)에는 옆면에 안상(眼象), 윗면에 복련(覆蓮)을 새겼고, 간석(竿石)에는 거북을 중심으로 하여 네 마리의 용(龍)과 구름 무늬를 조각했는데, 그 솜씨가 웅혼(雄渾)하고 대담하다.

상대석(上臺石)에는 앙련(仰蓮)을 돌리고 날씬한 8각 탑신을 놓았으며, 각 면에 문비형(門扉形)과 사천왕상을 새겼다. 비교적 두꺼운 옥개는 전각마다 높직한 귀꽃을 새겨 장식했다.

개요

고달사지 승탑(高達寺址 僧塔)

고달사지 승탑은 1962년 12월 20일에 국보 제4호로 지정된 승탑이다. 높이는 3.4m 정도이며,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이때 고달사지 승탑은 부도의 하나로 가장 전형적인 부도의 모습을 갖춘 승탑이라고 할 수 있다.

부도

부도란 일반적으로 스님의 사리탑인 승탑을 의미한다. 부처님의 진신사리 또는 법신사리를 봉안한 불탑은 가람의 중심에 위치하는 반면, 승려의 사리를 안치한 부도는 경내나 변두리, 사찰의 외진 곳에 건립되어 서로 격을 구분하고 있다.

수행이 높은 스님을 부처님과 같은 예우를 해주게 된 데에서 비롯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부도의 형태

부도는 그 형태가 일반형 석탑과는 달리 기단부 위에 단층의 탑신을 놓고 옥개와 상륜부를 차례로 쌓았으며, 평면도 8각으로 형성한다. 이를 통해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는 불탑과 승려의 사리를 모시는 승탑의 모습은 현저한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부도는 선종의 발달과 크게 관련되어있다. 선종은 교리나 예불 의식에 얽매이지 않고, 오직 스승의 가르침과 좌선을 중요시하였다. 그렇기에 스승을 따르는 이들은 부처님 못지않게 스승의 입적을 중요한 일로 여겨 부도를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부도는 삼국시대 말부터 만들어졌다는 기록이 존재하나 현존하는 것은 없다. 다만, 선종이 들어온 신라 말기부터는 부도가 널리 건립되었으며, 선종의 발달이 극에 달한 고려시대 부도로 점차 정형화되어갔다.

8각원당형 부도는 우리나라만의 기본 양식으로 주류를 이루고 있다. 8각형의 집 모양처럼 생긴 부도의 지붕들은 목조건축의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특히 탑신이나 기단부에는 사자, 연화, 비천 등이 조각되어 있는데. 이러한 형태는 신라 말부터 고려 초까지 유행하였다. 고려 중기에 접어들면 부도의 양식은 점차 다양해지는데 여기서도 기본적인 형태로는 8각원당형을 계속 유지했다. 그러나 조선시대로 넘어가면서 8각원당형 부도는 그릇을 엎어 놓은 듯한 모양의 복발형 부도로 변화했다.

부도의 구조

다운로드 (2).jpeg

부도는 위에서부터 상륜부, 탑신부, 기단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중앙에는 사천왕상이 있다. 맨 아래 부분에는 지대석이 있고, 그 위에 하대석과 중대석, 상대석이 올라가있다. 자세한 사항은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 위치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11-1

지도를 불러오는 중...

찾아오시는 길

여주종합터미널(여주역)여주 고달사지 승탑

988-3번 혹은 988-4번 버스 탑승 후 고달사지 정류장 하차

관련 사진

관련 영상

참고문헌 및 자료출처

여주 고달사지 승탑,<네이버 지식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1301&cid=40942&categoryId=33373
장석현, 『답사기초지식 자료집』, 한성대학교 역사문화학부 답사부, 2012, 111쪽

작성자

사용자:유지현(2011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