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작가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연극, 영화, 뮤지컬, 드라마의 바탕이 되는 대본을 쓰는 사람을 뜻한다.

상세

사실상 연극의 대본은 희곡, 영화의 대본은 시나리오, 드라마의 대본은 각본이라고 칭하는 등 정식 명칭이 따로 있으며, 한국극작가협회에서는 희곡 작가만을 극작가라고 칭한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각본가나 시나리오 작가와 가장 큰 차이점은 극작가가 연극의 연출까지 도맡아 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는 점이다. 영화의 시나리오 작가나 드라마의 각본가는 희곡 작가에 비하면 아주 초라한 취급을 받는다. 윤대성은 자신의 저서 극작의 실제에서 각본을 썼을 때의 경험을 이렇게 소개했다.

…원고를 방송국에 보낸 후 자존심 상하는 PD의 전화를 받는 쓰라린 경험을 필자도 갖고 있다. 그러나 이에 응하지 않을 수가 없다. "나는 한 자도 못 고치겠소" 한다면 그 작가에게 다음 기회는 없다는 각오를 해야 한다. 어떤 연출가도 그 작가와 작업을 하려 들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위의 글은 단편적인 예시지만 희곡작가와 각본가의 취급이 상당히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극본, 각본, 희곡을 다 집필하는 작가도 많고, 위에 언급한 것들이 모든 차이점을 설명할 수는 없으나 극작가 문서에서는 희곡 작가만을 극작가로 취급하여 서술한다.

국내 극작가

이름 옆의 *은 현재 고인이 되신 분들을 뜻함.








  • 오태석 -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극작가 중에서도 독특한 점이 있는데 한국적 연극의 창조가 그것이다. 자세한 내용은「템페스트」참조.


  • 노경식 - 역사적 인물과 설화를 바탕으로 작품을 창작하는 경향이 있다. 대표작으로「정읍사」가 있다.



  • 이근삼* - 한국전쟁과 4.19 혁명까지 겪으면서 당대 권력자들에 대한 풍자와 비판이 담긴 작품들을 집필했다. 대표작으로 「대왕은 죽기를 거부했다」가 있다.


  • 차범석* - 제작극회를 만든 인물 중 하나로 한국 사실주의 연극을 발전시킨 것에 큰 공헌을 했다. 대표작은「산불」이 있다.




  • 황철* - 광복 후 낙랑극회를 조직하여 다양한 연극을 선보였다. 하지만 친일행위와 복잡한 여자 관계는 후에 그의 평가를 깎는 요인이 되었다. 대표작으로는「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가 있다.






관련 기관

참고 문헌

윤대성,『극작과 실제』, 예니, 1999.02.13.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유호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