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주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생애

김남주는1946년 10월 16일 해남군 삼산면 봉학리에서 아버지 김봉수와 어머니 문일님 사이의 3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삼화국민학교와 해남중학교를 거쳐 1964년 당시 명문으로 손꼽히던 광주제일고등학교에 입학하였으나 입시 위주의 획일적인 교육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퇴하였다. 1969년 검정고시를 거쳐 전남대학교 영문학과에 입학하였다.

대학 시절에는 3선 개헌 반대투쟁, 교련 반대 시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반독재 민주화운동에 앞장서기 시작했다. 김남주가 우리 사회의 현실에 본격적인 문제의식을 갖고 문학과 사회과학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한 것도 이즈음이었다. 당시 김남주에게 특히 영향을 주었던 시들은 영문으로 읽었던 푸시킨, 레르몬토프, 네크라소프 같은 러시아 시인들의 저항시들과 파블로 네루다의 시였다.

1972년 10월 유신 체제를 위한 계엄령이 선포되고 유신헌법이 확립되자, 김남주는 친구 이강과 함께 전국 최초의 반유신 지하신문 『함성』을 제작하여 광주 시내 대학교와 고등학교에 배포하였다. 1973년에는 전국적인 반유신투쟁을 전개하기 위해 지하신문 『고발』을 제작하여 배포하다가 구속되어 국가보안법, 반공법 위반으로 8개월간의 옥고를 치렀으며, 이 사건으로 전남대학교에서 제적당하였다.

김남주는 출옥 후 1974년 해남으로 낙향하여 농사를 지으면서 농촌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기 시작했으며, 그해 창작과 비평 여름호에 감옥 체험과 농촌 현실을 노래한 「진혼가」 등 8편의 시를 발표하여 시인으로 등단하였다. 1976년에는 『장길산』을 집필하기 위해 해남에 내려와 있던 소설가 황석영과 교우하면서 1977년 해남농민회를 결성하였고, 광주로 나와 민중문화연구소를 개설하는 등 사회운동을 전개하였다. 1978년 가장 강력한 반유신투쟁 지하조직 남조선민족해방전선의 전사로 활동하다가 이듬해 10월 4일, 80명의 동지와 함께 체포되어 혹독한 고문 끝에 투옥되었다. 1980년 12월 징역 15년형이 확정되어 광주교도소에 수감되었으며, 옥중에서 교도관 몰래 수많은 옥중시를 써서 극비리에 유출하였다.

김남주의 옥중시는 1980년대 우리 사회 변혁운동에 일대 도화선이 되었으며, 1980년대 한국 시의 지평을 확대하고 한 차원 끌어올린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김남주가 감옥에서 쓴 시들은 당시 대학생들의 의식화 교재가 되었고, 노래패는 김남주의 시를 노래로 만들었다. 김남주의 시는 가장 선동적인 격문이었고 가장 투쟁적인 노래였다. 김남주가 남긴 510여 편의 시 가운데 360여 편이 옥중에서 쓴 시이다.

김남주는 1988년 12월 21일 9년 3개월의 옥고 끝에 석방되었지만 이후 옥중투쟁에서 얻은 췌장암으로 투병하다가 부인 박광숙과 아들 김토일을 남겨 둔 채 1994년 2월 13일 사망하였다.


학력

  • 삼화초등학교 졸업.
  • 해남중학교 졸업.
  • 광주제일고등학교 중퇴.
  • 전남대학교 영문과 중퇴.


경력

  • 1990 ~ 1992: 민족문학작가회의 민족문학연구소 소장


연보

연도 내용
1945 10월 16일 전남 해남군 삼산면 봉학리 535번지에서 아버지 김봉수, 어머니 문일님의 둘째 아들로 출생.
1960 삼화초등학교 졸업.
1963 해남중학교 졸업.
1964 광주제일고등학교 입학, 입시위주의 교육에 반대하여 이듬해 자퇴.
1969 대입검정고시를 거쳐 전남대 문리대 영문과 입학. 3선 개헌 반대운동과 교련 반대운동에 참여, 반독재민주화운동을 이끎.
1972 유신헌법에 맞서 친구 이강과 함께 전국 최초의 반유신투쟁 지하신문 <함성>지 제작.
1973 전국적인 반유신투쟁을 전개하기위해 지하신문 <고발>지 제작. 반공법 위반 혐의로 구속.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고 복역 중 8개월만에 석방. 전남대에서 제적.
1974 고향에 내려가 농사를 지음. <창작과 비평>여름호에 ‘진혼가’, ‘잿더미’등 7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 이듬해 광주에 사회과학서점 ‘카프카’ 개설.
1977 해남농민회를 결성(이후 한국기독교농민회의의 모체가 됨). 광주에서 황석영, 최권행과 함께 민중문화연구소 개설.
1978 상경. 남조선민족해방전선 준비위원에 가입. 남민전 전위대 전사로 활동. 수배 중 프란츠 파농의 [자기의 땅에서 유배당한 자들](청사) 번역 출간.
1979 남민전 조직원으로 서울에서활동 중 구속됨. 이듬해 이 사건으로 징역 15년을 선고받고 광주교도소에 수감.
1984 첫 시집 [진혼가](청사) 출간.
1986 전주교도소로 이감. 독일 함브르크에서 개최된 국제PEN대회에서 ‘김남주 시인 석방결의문’ 채택.
1987 제2시집 [나의 칼 나의 피](인동), 일본에서 시집 [농부의 밤] 일어판 출간. 일본 PEN클럽 명예회원으로 추대됨.
1988 국내문인들의 석방 탄원서와 PEN클럽 세계본부, 미국PEN클럽 등이 정부에 석방 촉구 공문 보냄, 미국PEN클럽 명예회원으로 추대됨. 제3시집 [조국은 하나다](남풍) 및 하이네, 브레히트 등 외국인의 혁명시집 시선집 [아침 저녁으로 읽기 위하여](남풍) 출간, 12월 21일 형집행정지로 투옥생활 9년 3개월 만에 전주교도소에서 출감.
1989 1월 29일 광주 문빈정사에서 박광숙과 결혼. 옥중서한집 [산이라면 넘어주고 강이라면 건너주고](삼천리), 시선집[사랑의 무기](창작과 비평사), 제4시집 [솔직히 말하자](풀빛)출간.
1990 광주항쟁시집 [학살](한마당)출간. 92년 12월까지 민족문학작가회의 민족문학연구소장 역임.
1991 제5시집 [사상의 거처](창작과 비평사) 출간. 제9회 신동엽창자기금 받음. 시선집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미래사), 산문집[시와 혁명](나루)출간. 하이네 정치풍자시집 [아타 트롤](창작과 비평사)번역 출간.
1992 제6시집 [이 좋은 세상에](한길사), 옥중시선집 [저 창살에 햇살이1, 2](창작과 비평사), 김남주 아포리즘 [길 떠난 길 위에서](제3세대)출간. 제6회 단재상 문학부문 수상함.
1993 제3회 윤상원상 수상. 여의도 여성백인회관에서 ‘김남주 문학의 밤’ 개최.
1994 2월 13일 새벽 2시 30분 췌장암으로 별세. 광주 망월동 5월 묘역에 안치. 유족으로 부인 박광숙 여사와 아들 토일(土日) 군이 있음. 문학에세이 [불씨 하나가 광야를 태우리라](시와 사회사)출간. 제4회 민족예술상을 수상했으며, 이듬해 유고시집 [나와 함께 모든 노래가 사라진다면](창작과 비평사) 와 브레히트 등 외국 시인의 작품을 번역한 시집 [은박지에 새긴 사랑], [아침 저녁으로 읽기 위하여][푸른 숲] 출간됨.
2000 5월20일 광주 중외공원에 김남주 시비가 건립되었으며, 김남주의 시 13편에 곡을 부친 가수 안치환의 헌정앨범 'Remember'가 발매됨, 2004년 시선집 [꽃 속에 피가 흐른다](창비) 간행. 계간 <시와 시학>이 주관하는 ‘영랑시문학상’ 제2회 수상자로 선정됨.


수상 내역

  • 제9회 신동엽창작기금상(1991)
  • 제6회 단재문학상(1992)
  • 제3회 윤상원 문학상(1993)
  • 제4회 민족예술상 (1994)




작품

주요 특징

그의 시는 80년대 정치적인 탄압 때문에 잡지나 시집으로 나오기 전에 지하 출판물을 통해 독자들에게 더 많이 알려지기 시작했던 특이한 시인이다.

김남주는 그의 시 「시인이여」에서 암흑의 시대 시인의 일은 ‘침묵, 관망, 도피나 밑이 없는 한의 바다의 넋두리가 아니라 박해의 시대 가위눌린 악몽으로부터 잠든 마음을 깨우고 참을 일으켜 세워 둥둥둥 북소리와 함게 나가게 하는 것, 전투의 나팔소리, 압제자의 가슴에 꽂는 창’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의 말처럼 그의 시는 이 땅의 독재와 싸우는 무기였고 한편으로 자기 자신과 일상에 안주하여 부정과 불의를 눈감으려는 소시민적 태도에 가해진 날카로운 채찍이었다.

그의 시는 외세에 의한 분단과 외세 의존적인 정치 권력에 의한 민중의 억압과 착취, 그리고 그에 대한 저항을 주제로 한다. 이 점에서 1960년대 신동엽, 1980년대 민중시인들과 현실인식을 같이한다.

그러나 기법이나 호흡, 특히 외부 세계에 대해서 강렬한 비판을 보여주는 동시에 자신의 내부의 적에 대한 비판과 폭로를 통해 외부 세계에 대한 역설적인 저항의 모습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는 김수영(金洙暎)의 시와 유사한 면을 많이 지니고 있다.

1980년대 대부분의 민중시들이 형식면에서 하나의 구호에 가깝다면 김남주의 시는 그러한 민중시의 한계를 극복하고 나름의 독자적인 기법을 개발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반복, 패러디(parody), 풍자 등은 그 증거이다. 특히 식민지 시대 유행가 가사에서 김수영, 김소월(金素月)의 시구에 이르기까지 많은 시인들의 시구를 인용하여 텍스트 사이의 상호관련을 맺고 패러디하는 수법은 다른 한국 시인들에게서는 발견하기 힘든 예라 할 수 있다.

시집

  • [진혼가] (청사, 1984)
  • [나의 칼 나의 피] (인동, 1987)
  • [조국은 하나다] (남풍, 1988)
  • [솔직히 말하자] (풀빛, 1989)
  • [사상의 거처] (창작과 비평사, 1991)
  • [이 좋은 세상에] (한길사, 1992)

광주항쟁시집

  • [학살] (한마당, 1990)

유고시집

  • [나와 함께 모든 노래가 사라진다면] (창작과 비평사, 1994)

시선집

  • [사랑의 무기] (창작과 비평사, 1989)
  •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미래사, 1991)
  • [꽃 속에 피가 흐른다] (창비, 2004)

산문집

  • [시와 혁명] (나루, 1991)

옥중서한집

  • [산이라면 넘어주고 강이라면 건너주고] (삼천리, 1989)

옥중시선집

  • [저 창살에 햇살이1, 2] (창작과 비평사, 1992)

문학에세이

  • [불씨 하나가 광야를 태우리라] (시와 사회사, 1994)

번역서

  • 프란츠 파농 - [자기의 땅에서 유배당한 자들] (청사, 1978)
  • 호치민 - [은박지에 새긴 사랑] (푸른숲, 1994)
  • 하이네·브레히트·아라공·마야콥스키 - [아침 저녁으로 읽기 위하여] (푸른숲, 1994)
  • 하이네 - [아타 트롤] (창작과비평사, 1991)




관련 자료

기사


영상

  • 나는 시인이 아니라 전사다... 민족시인 김남주 (1999년 제작) [다시보는 옛날 다큐] (목포MBC, 2019. 02. 08)


  • [인물현대사] 노래하는 전사 김남주 190816 by KBS광주 (KBS광주, 2019. 08. 16)


  • [연합아카이브] '전사 시인' 김남주 님 (연합아카이브, 2020. 2. 12.)


연구 또는 비평


2차저작물

  • 선생님과 함께 읽는 김남주(김경윤 저) - 김남주 시인에 대한 소개&설명글
  • 실천문학 113호 (2014 봄호) - 실천문학사(잡지), 김남주 20주기
  • 한국평화문학 2012 - 화남출판사, 내용 중 ‘김남주 시인의 '학살' 연작시를 집중분석한 맹문재 교수의 담론’ 수록




관련사항

Relation Domain Range 설명
태어나다 김남주 전라남도 해남군 김남주는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태어나다.
사망하다 김남주 췌장암 김남주는 췌장암으로 사망하다.
결혼하다 김남주 박광숙 김남주는 박광숙과 결혼하다.
일원이다 박광숙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남민전) 박광숙은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남민전)의 일원이다.
가입하다 김남주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남민전) 김남주는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남민전)에 가입하다.
결성하다 김남주 해남농민회 김남주는 해남농민회를 결성하다.
자칭하다 김남주 혁명시인(전사시인) 김남주는 혁명시인(전사시인)이라 자칭하다.
쓰다 김남주 <진혼가> 김남주는 <진혼가>를 쓰다.
체포되다 김남주 남민전 사건 김남주는 남민전 사건으로 체포되다.
독려하다 김남주 청년 운동가 김남주는 청년 운동가를 독려하다.
번역하다 김남주 <자기의 땅에서 유배당한 자들>, <아침저녁으로 읽기 위하여> 김남주는 <자기의 땅에서 유배당한 자들>, <아침 저녁으로 읽기 위하여>를 번역하다.

네트워크 그래프.png




참고자료

내용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 김남주 (金南柱),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네이버 지식백과 - 김남주 (金南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네이버 지식백과 - 김남주 (金南柱), 혁명과 투쟁의 시인 (나는 문학이다, 2009. 9. 9., 장석주, 김남주기념사업회)

네이버 인물검색 - 김남주 (金南柱)


사진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 김남주 (金南柱), 혁명과 투쟁의 시인 (나는 문학이다, 2009. 9. 9., 장석주, 김남주기념사업회)

네이버 지식백과 - 전라도의 행정 구역 (지도로 배우는 우리나라 우리고장 - 충청 · 전라 · 제주, 2009.07.30, 양대승, 유남영)

위키백과 -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

네이버 책 - 아침 저녁으로 읽기 위하여

이미지 소재 무료 다운로드 pngfree




관련 용어 기사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