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페떼아뜨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까페떼아뜨르

개요

1969년 4월 서울 중구에 세워진 다방 겸 소극장. 극단 자유극장 대표이자 여류무대디자이너인 이병복이 개관하였다.

개설

극장사진

설명

까페떼아뜨르는 그 이름에서 보듯 살롱형 소극장이다. 극단 자유극장(自由劇場) 대표이며 여류디자이너인 이병복(李秉福)이 개관한 이 극장은 프랑스의 전위극 작가인 이오네스코의 작품으로 개막했다. 다방겸용이었기 때문에 80석 밖에 되지 않는 소규모로서 무대도 한쪽 귀퉁이에 간단하게 만들어졌다. 낮에는 차를 팔고 밤에는 공연을 했는데 그것도 매일이 아닌 일주일에 몇 번씩 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는 설립자인 이병복이 프랑스로 유학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파리의 살롱형 소극장을 본뜬 것이었다.

개설 계기

Q. 1968년 명동에 생긴 '떼아뜨르'라는 카페가 소극장운동의 효시가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카페는 어떻게 만드신 건가요?

A. 그 당시에 연극하는 극장이라고는 충무로에 하나밖에 없었어요. 명동 코너에 있는 국립극장 아시죠? 나중에 삼일로 극장이 생기고 그랬지만 그때로서는 그거 하나뿐이니 극단에서 공연 장소를 배정받는 건 상반기에 한 번, 하반기에 한 번밖에 없었어요. 일 년에 국립극장을 빌려 공연할 수 있는 게 일주일인데, 거기서 준비하는 하루를 빼고 나면 6일인 셈이죠. 그나마 인정해 주는 극단일 때나 두 번을 얻어 할 수가 있었어요.

그러다 보니 우리 단원들이 1년에 2주, 그것도 반 나눠서 6개월에 한 번 일주일씩 공연하는 게 감질나고 허기가 진다고 하는 거예요. 그래서 어떻게 하면 좀 지속적으로 공연을 할 수 있을까, 뭔가 할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거죠. 제가 또 대표다 보니 급히 돈을 만들어서 장소를 얻어 소극장을 만들었어요. 그렇게 ‘까페떼아뜨르’가 개관했죠. 그 소극장을 만들었던 경험이 참 보탬이 된 게, 지금도 같이 늙어가는 처지지만, 그 카페를 통해 처음으로 연극에 발 들여놓은 친구들이 많았어요. 오태석 씨, 윤대성 씨, 김동훈 씨 등 좋은 친구들을 많이 만났죠.

‘떼아뜨르’는 월요일은 대학 극단, 화요일과 주말은 자유극장에서 쓰고, 금요일은 민속극을 공연하는 방식으로 운영했어요. 이렇게 학생들도 사용하고, 일반 다른 극단에서도 참여하는 걸로 엮어가면서 8년 정도 했던 것 같아요. 고생도 많았지만 그 카페의 동창생들이 있어 보람 있어요. 대학 다니던 학생들이 가방 들고 학교 끝나면 카페에 모였고, 프로그램이 바뀔 때마다 구경 왔던 친구들이 미국에 가서 자리 잡고 사는데 ‘까페 떼아뜨르 동창회’라는 걸 만들었대요. 저는 못 가봤는데 남편이 갔을 때 몰려와서 동창회 하자고 했대요. 생각하면 참 기뻐요.

기능과 역할

까페떼아뜨르 명소.jpg

사람이 많이 모이는 서울 명동 뒷골목에 위치한 까페떼아뜨르는 개관하자마자 연극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았고, 소극장운동의 기폭제가 될 만큼 상연목록 선정에서도 신선감을 주었다. 자유극장의 상임연출가라 할 김정옥(金正鈺) 역시 불문학 전공에다가 프랑스유학을 했기 때문에 전위극을 주로 공연하면서 신진극작가 발굴에 나섰고, 그 결과 오태석(吳泰錫)·윤대성(尹大星)·김영태(金榮泰)·장윤환(張潤煥) 등의 신작들이 자주 무대에 올려졌다. 서구의 전위극과 신작창작극을 조화시켜 나간 것이다. 그 중 우리나라 연극사상 최초의 일인극, 모노드라마라고 할 김동훈(金東勳)의 <롤러스케이트를 타는 오뚜기>(오태석 작·연출)는 일년 이상이라는 장기 공연기록을 남기기도 하였다. 또한 단막극 페스티벌과 대학극 페스티벌(서강대학교·한양대학교·건국대학교·동국대학교 등이 참가)을 개최했고, 명창초대 판소리감상회, 남사당패의 <꼭두각시놀음> 등을 공연함으로써 근대연극사상 가장 소극장운동다운 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문화의식이 없는 관(官)으로부터 여러 가지 수난을 겪었다. 공연법과 보건법 등의 저촉에 따른, 잦은 휴관이 그것이었다. 결국, 1975년 11월에 <이화부부>(金榮泰 작, 李允榮 연출) 공연을 끝으로 폐관되고 말았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관련저서

  • 까페떼아뜨르 (1998)

떼아뜨르.PNG

까페 떼아뜨르에 얽힌 사건과 에피소드를 빛바랜 흑백사진과 함께 써내려간 저서이다.

출처 : 네이버책

의의와 평가

이 극장은 1950년대 말엽에 원각사(圓覺社)를 중심으로 잠시 벌어졌던 소극장운동을 계승하여 1970년대 연극운동의 새 지평을 연 소극장이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찾아가는 방법과 연락처

지도를 불러오는 중...

과거 위치한 장소를 찾을 수 없어 대략적으로 표시함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까페떼아뜨르 이병복 A는 B가 개관했다.
까페떼아뜨르 연극 A는 B을 공연했다.
까페떼아뜨르 일인극 A에서 B가 공연되었다.
까페떼아뜨르 롤러스케이트를 타는 오뚜기 A에서 B가 공연되었다.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