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광수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생애

생애초기

1951년 1·4 후퇴 당시 피난 중 화성군 발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본래 서울에 거주하였다. 종군사진작가였던 아버지가 한국 전쟁 중 전사하고 홀어머니 밑에서 어렵게 자라며 불우한 유년기를 보냈다. 초등학교 1학년 때 서울에 정착, 병약하고 가난한 성장기를 보냈다. 독서를 즐겼으며, 미술에 재능을 보였다. 1963년 3월 서울 청계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대광중학교에 입학했다. 1966년 대광고등학교로 진학했다. 고등학교 3학년 무렵 대학 진학 직전 미대와 국문학과 사이에서 고민하다 국문학과로 진학할 결심을 한다. 1969년 연세대학교에 진학하였다. 연세대학교 재학 중 학과내 연극부의 창설을 주도했고, 연세 문학회, 교내방송국 PD, 교지 기자, 등으로 활동했다. 1973년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곧이어 대학원에 진학, 대학원 재학 중에는 한국 최초의 마당극 《양반전》을 각색, 연출했다. 1975년 국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거주

경기도 수원시 출신

지도를 불러오는 중...

등단과 교육 활동

1975년 연세대학교 국문학과 박사 과정에 들어가면서 모교인 연세대학교 국문학과 강사가 되었고, 이후 1978년까지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강원대학교에서 강사로 활동했다. 1977년 잡지 《현대문학》에 〈배꼽에〉, 〈망나니의 노래〉, 〈고구려〉, 〈당세풍(當世風)의 결혼〉, 〈겁(怯)〉, 〈장자사(莊子死)〉 등 여섯 편의 시를 발표, 박두진 시인에 의해 추천되어 문단에 데뷔하게 되었다. 1977년 2월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1979년부터 1983년까지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학과 전임강사, 조교수로 재직했다. "윤동주 연구" 논문으로 1983년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 해부터 연세대학교로 돌아와 국어국문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기 시작했다. 이후 제5공화국·제6공화국 시절부터 대한민국 문학의 지나친 교훈성과 위선을 적나라하게 비판하고 풍자하여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후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부교수를 거쳐 정교수로 재직하였다. 1989년 장편 소설 《권태》로 소설계에 데뷔하였고,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를 출간하였다. 그러나 이 책이 출판되고 얼마 뒤 언론의 혹평을 받았고, 6개월 뒤 강의가 취소되는 시련을 겪었다. 1992년 장편 《즐거운 사라》가 외설적이라는 이유로 1심에서 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 받았다. 1992년 12월 28일 징역살이를 끝내고 석방되었다. 구속 파문으로 1993년 연세대학교로부터 직위 해제되었고, 1995년 대법원에서 상고 기각 후 해직되었다.

사상

마광수는 자신의 사상을 유미주의적 쾌락주의라고 정의했다. 마광수의 사상은 한국에서는 좌파나 우파나 할 것 없이 비난하는 실정이다. 마광수는 생전에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칭한 적이 있었는데 그가 말한 페미니즘을 분석하면 립스틱 페미니즘이다.마광수의 블로그를 분석하면 블로그1, 블로그2 래디컬 페미니스트와 상호교차 페미니스트들이 반발할 내용이 등장한다. 매저키스트는 즐겁다는 것이나 순한 여자가 좋다는 대목이 그 것이다. 그러나 이는 마광수가 여성에게 매저키즘 역할을 강요하는 부분이 아니라 매저키즘 역할이 남성을 성적으로 지배할 수가 있다고 설명하는 것이다. 이는 립스틱 페미니스트의 주장과 일치하며 립스틱 페미니즘의 관점에서는 오히려 이 것을 죄악시하는 것은 오히려 성적 억압을 내세우는 사회이다. 마광수는 응용과학에 긍정적이며 응용과학을 최대로 발전시켜 인간의 모든 욕망을 충족하는 사회를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블로그에서 생물학적 로봇이라는 문구가 있는데 이는 좌파가 추구하는 정치적 올바름에도 어긋나고 우파가 추구하는 도덕주의에 어긋나는 인간 노예를 같은 것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학력

서울청계초등학교

대광중학교

대광고등학교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박사


작품활동

시집

문학이론서

비평

신문연재

  • 서울신문 2005.6~2005.11 ‘마광수의 섹스토리’


마광수 관련서적

소설

철학적 에세이

에세이

전시

  • 1991 [마광수,이목일,이외수,이두식 4인의 에로틱 아트 전] 나우갤러리, 서울
  • 1994 [마광수 개인전] 다도화랑, 서울
  • 2005 [마광수, 이목일 전] 거제 예술회관, 거제 (1월)
  • 2005 [마광수 미술전] 인사갤러리, 서울 (6월)
  • 2005 [마광수 미술전] 대백플라자 갤러리, 대구 (7월)
  • 2006 [마광수, 이목일 전] 롯데마트 화정점 로비, 일산 (2월)
  • 2007 [마광수 개인전] 미국 뉴욕 Maxim 화랑 (6월)
  • 2007 [색(色)을 밝히다 전(展)] 북스 갤러리 서울 인사동 (1월)
  • 2009 [마광수 전(展)] 순수 갤러리 서울 청담동 (4월)
  • 2009 [마광수, 천소연, 2 인전] 미국 뉴욕 갤러리 옴즈 (4월)
  • 2009 [6월의 그림展] 갤러리아 순수 (6월)
  • 2011 [소년, 광수 전(展)] 산토리니 서울 갤러리 서울 서교동 (2월)
  • 2011 [마광수- 변우식, 5월의 思色전] 인사동 가가 갤러리 (5월)
  • 2011 [도문희 마광수 박성남 박인숙 展] 갤럴리아 순수 (6월)
  • 2012 [돌아가자, 장미여관으로] 한남동 꿀 (2월)
  • 2012 [순자와춘희의 3인展 "Mash up Show"] 춘천 갤러리아르숲 (3월)
  • 2013 [Return to Never Land 展] 강원대 갤러리&커뮤니티 카페 피터팬 (1월)
  • 2014 [꿈꾸는 삼총사 展] 한대수,마광수, 변우식 인사동 리서을 갤러리 (5월)
  • 2015 [마광수·변우식 2인전, “색(色


마광수 대표작품

이미지 책 이름 출시일 출판사
가자 장미여관으로.png 가자, 장미여관으로 1997.02.28. 자유문학사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png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1989.10.31. 자유문학사
마광쉬즘.png 마광쉬즘 2006.09.28. 인물과사상사
이 시대는 개인주의자를 요구한다.png 이 시대는 개인주의자를 요구한다 2007.10.25. 새빛에듀넷
모든 사랑에 불륜은 없다.png 모든 사랑에 불륜은 없다 2008.04.08. 에이원북스

문학관

현 사회의 지배적이고 유용한 가치가 정말 옳은 것인지를 질문하는 것이 바로 작가의 책임이라고 규정하였으며, “기성도덕과 가치관을 (맹목적으로) 추종하며 스스로 ‘점잖은 교사’를 가장하는 것은 작가로써 가장 자질이 나쁜 자들이나 하는 짓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문학은 무식한 백성들을 가르치고 훈도하여 순치시키는 도덕교과서가 되어서는 절대로 안된다. 문학이 근엄하고 결백한 교사의 역할, 또는 사상가의 역할까지 짊어져야 된다면 이는 문학적 상상력과 표현의 자율성은 질식되고 만다. 문학의 참된 목적은 지배 이데올로기로부터의 탈출이요, 창조적 일탈인 것이다.”라고 보았다.


의식관

사회비판의식

그는 지식인의 위선을 공격하였으며, 맹목적인 체제 옹호성 어용 문인들을 비판, 풍자하기도 했다. 또한 문학의 지나친 엄숙주의에 대해서는 “대한민국의 지식인들은 가벼움을 경박함으로 그릇된 인식을 하는 경우가 많고, 설사 경박하다고 해도 그것이 의도된 경박성이라는 것을 아는 이가 드물다.” “소설 문장에서 사용되는 단어가 일상어 또는 비속어일 경우 흔히들 그런 인상을 받는 것 같다.”며[12] 한국문학의 위선성과 지나친 엄숙주의를 질타하기도 했다.

작문 스타일

문학계에 만연한 지적허영에 대해 큰 반감을 가지고 있다. "진짜 좋은 글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글"이라는 게 마광수의 작문철학으로 그는 가독성을 매우 중시하여 복잡한 문장구조와 어려운 어휘들을 피해 글을 쓴다. 때문에 글이 쉽고 전달력이 매우 높다. 즉 그의 글에는 문학적 허세가 없고 글의 전달력이 높아, 읽는 데 피곤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오히려 "쉽게 쓰는 게 어렵다"라고 말할 정도로 글의 전달력, 가독성에 힘을 쏟는 스타일이다. 작가로서 대단한 장점이다. 그래서 그런지 마광수 교수를 싫어하는 다른 교수들 중 쉬운 문필에 매우 반감하는 감정을 가지고 있어서 쉬운 어필을 주장하는 것이 좋지 않다고 역설하는 교수들도 많다.

성향

그는 "허례허식과 허세를 비판하며, '성(性)'에 솔직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건전한 사회를 위해서는 성적인 욕망을 표현하고 해소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그리고 그 성적 욕망을 표현하는 데에 누구보다도 앞장선다. 사실 성뿐만이 아니라, "매 순간의 욕구에 충실하고 장래를 기대하며 스스로를 억압하지 말라"는 식의 말을 생전에 자주 했다. 특히 내세론을 크게 비판하며 "내세 따위는 존재하지 않으니 이번 생이나 잘 살라"고 강조한다. 일종의 쾌락주의에 가까우나, 타인에게 피해를 끼치며 욕구를 충족하는 것은 비난한다. 자신이 피해를 입기 싫은 만큼 상대도 존중하라는 것인데, 실제로 마광수 교수 본인도 일상생활에선 그의 글과 다르게 젠틀하며 부드러운 이미지다. 그 때문인지 1990년대에는 불경한 음란문학이라며 지탄받았지만, 현재는 그가 말한 대로 성적 욕망의 표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공중파에서 섹드립을 치는 지금과 비교해보면 우스운 일이다. 이미지와 다르게 학생을 성추행하거나 더럽게 굴어 문제된 적이 없다. 마 교수 본인이 강의 중 그런 루머에 대하여 말하길, "씨발놈들이[12] 소설이랑 현실을 구분을 못하는 거지"라고 일갈. 오히려 학생들에게는 굉장히 매너 있고 젠틀한 편이었다. 특히 시험지의 경우, 조교한테 모두 일임하는 웬만한 다른 교수보다 훨씬 신경 써서 채점하는 편이었다고. 그런 면모는 강의 중에도 엿보였다. 연극의 이해나 문학과 성과 같은 수업의 경우 수백 명이 듣는 대규모 강의임에도 불구하고 '출석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는 지론에 따라 전자출석만으로 수업을 진행했다. 그로 인해 수업을 듣는 학생들의 수는 실 수강 인원에 비해 턱 없이 적었지만, 학생을 인격체로서 존중하는 태도가 감동을 주기도 했다.


연구 또는 비평

한편 마광수의 구속은 언론과 문학계 사이에서 정치적 탄압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었으나 곧 묻히고 말았다. 마광수가 구속되었을 때 어떤 신문의 사회부 기자는 마광수의 공판을 참관한 뒤에 오렌지 교수의 항변이라는 상자기사를 쓰면서, 마광수를 향해 오렌지족의 대부 라는 표현을 쓰는 것으로 그를 사회적으로 지탄받고 있는 오렌지족과 연결시켰다. 그러자 소설가 겸 작가 장정일은 이를 저열한 장난이라고 했다. 1993년 초부터 표현의 자유와 예술의 자유를 주장하는 문학계와 문화연예계의 성토와 함께 마광수 교수의 복직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강준만은 ‘마광수의 죄는 시대를 앞서간 죄였다.‘ 라고 평가하였다.[20] 마광수는 항소심이 진행 중일 때 한 여성지와의 인터뷰에서 “내 작품이 시대를 5년 정도 앞서갔다고 봐요. 그래서 두들겨 맞는 거지요.”라고 말했다. 강준만은 같은 이유로 소설가 장정일이 1997년 똑같은 봉변을 당한 걸로 보아선 그가 앞서간 게 5년은 더 될 성 싶었다고 평하였다. 1995년 6월 16일 대법원은 마광수의 상고심을 기각하고 원심을 확정지었다. 95년 8월 8일 연세대학교는 마광수 교수를 면직조치했는데, 강준만은 이를 놓고 이런 마광수 탄압은 ‘아무리 선의로 해석해도 그건 불행한 소식을 전한 어느 메신저의 목을 벤 어느 왕의 부질없는 분노와 다를 바 없는 것이었다.’라고 하였다. 한편 이문열은 그를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강준만은 마광수 사건이 한국의 문인들과 대학교수들이 만들어준 사건이며 그 점에서 한국은 세계의 민주국가 중 권력의 권위주의 시대 이전에 지식인의 권위주의가 더 심각한 유일한 국가가 되게 했다고 개탄하였다.


비판

그의 사상 중 본받을 부분도 분명 있으나 그가 페미니스트를 자처했다고 해서 그를 페미니스트라고 불러야 할 지는 의문이다. 왜냐하면 그가 말한 매저키즘은 남성이 새티스트 역할이고 여성이 매저키스트 역할이라고 말했으며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권위적인 카리스마를 가진 남성에게 복종하고 싶어 하는 심성을 지니고 있다."고 말했는데 과학적 근거를 전혀 제시하지도 않았다. 이부분에 있어서는 분명히 미소지니적 주장이기에 비판받을 여지가 충분하다. 애초에 저 언행 자체가 페미니즘에 반하는 언행인건 둘째치더라도 남성이 페미니즘을 자처하면서 이런 말을 한다면 신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남녀의 차이가 아예 실존하지 않는다고 보기 어렵지만 욕구적인 면, 정신적인 면에서 얼마나 차이나는지에 대해서는 진화심리학자들조차도 명확하게 말하지 못한다. (주류 진화생물학자들 중에 진화심리학자만 있는 것도 아니고 말이다) 꼭 미소지니적 주장이 아니더라도 해도 남녀 중에서도 개인차가 심하기 때문에 상호교차성 페미니즘이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입장에서는 마광수에 입장이 좀 어이없는 주장일 수도 있다.

관련 자료

  • 표현의 자유 외치다 '모난 돌' 삶…마광수 2주기 추모전

  • “문학은 오락물이에요” 고 마광수 전 교수 생전 인터뷰 영상

2차 저작물

  • 단편영화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2017)

  • 연극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원작


RDF 및 온톨로지

RDF

항목(DOMAIN)A 항목(RANGE)B 관계(RELATION) 비고(REMARKS)
마광수 연세대학교 A는 B를 졸업했다.
마광수 1951년 A는 B에 태어났다.
마광수 2017년 A는 B에 사망했다.
마광수 '권태' A는 B로 데뷔했다.
마광수 마광수의 뇌구조 A는 B를 집필했다.
마광수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A는 B를 집필했다.
마광수 즐거운 사라 A는 B를 집필했다.
마광수 시인 A는 B으로 활동했다.
마광수 교수 A는 B로 활동했다.
마광수 화성군 발안 A는 B에서 태어났다.
마광수 성문학 A와 B을 추구했다.

온톨로지

마광수온톨.png

참고자료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90년대편1》 (인물과사상사, 2006)
  • 마광수, 《왜 나는 순수한 민주주의에 몰두하지 못할까》 (민족과문학사, 1991)
  •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생회, 《마광수는 옳다:이 시대의 가장 음란한 싸움에 대한 보고》 (사회평론, 1995)
  • 민주사회를 위한 변론 (1994년 제4호, 1994)
  • 옵서버 (1991년 5월호, 1991)
  • 변정수, 《상식으로 상식에 도전하기》 (토마토, 1996)
  • 장정일, 《장정일의 독서일기:1993.1~1994.10》 (범우사, 1994)
  • 강준만 외, 《마광수 살리기》 (강준만 외, 도서출판


작성자

인문정보콘텐츠(2020) A반 1911125 문학문화콘텐츠트랙/뉴미디어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트랙 염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