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리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1929년 6월 일제 강점기 조선의 경성부, 삼천리사에서 김동환(金東煥)이 발행한 취미와 시사 중심의 월간지, 대중지 성격으로 발행한 잡지. 교양 잡지로 당시 개벽사에서 발행하던 《별건곤(別乾坤)》과 더불어 유명한 대중잡지이다. 정치, 사회, 취미, 역사, 시사 등 각 분야에 대한 다양한 글을 수록, 소개하며 시중의 은어와 비속어, 여성 운동, 조선의 독립운동에 대해서도 폭넓게 다루는 등 호의적이었다. 《삼천리(三千里)》는 김동환, 김동인, 이광수, 염상섭, 정지용, 나혜석, 김일엽, 장면 등이 필진으로 참여하였다.

삼천리(三千里)

창간

《삼천리(三千里)》는 1929년 6월 12일 발간된 종합 문학잡지로 김동환(金東煥)이 편집과 발행인을 맡으며 인쇄인은 심우택(沈禹澤), 인쇄소는 대동인쇄(주), 발행사는 삼천리사이다. 창간호는 B5판 70쪽이었지만 보통은 A5판, 50쪽으로 제작되었다. 월간·격주간 등으로 B4판·A5판으로 계속 간행되었고 취미를 중심으로 한 잡지였지만 주로 가십이 작성되어 독자들의 호기심을 끌 만한 특종(特種)을 포착하여 지면에 바로 반영시켰다.

 1. 훨씬 값이 싼 잡지를 만들자 
2. 누구든지 볼 수 있고 또 버릴 기사가 없는 잡지를 만들자
3. 민중에게 이익이 되는 좋은 잡지를 만들자
「사고(社告)」, 『삼천리』 창간호. 1929. 6

창간호는 버드나무 아래 태극무늬 부채를 들고 있는 조선의 전통적 여인을 채색화한 표지였다. 이 표지는 『삼천리』가 문화와 대중을 바탕으로 하는 민족주의적 성향의 잡지임을 상징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집필자들

김동환, 김동인, 이광수, 염상섭, 정지용, 나혜석, 김일엽, 심훈, 장면, 한용운 등의 필진은 이름난 필진이었고 당시의 국내 및 국외파 지식인들이 많이 참여했다. 이광수, 김동인 등은 고정 필자였으며 편집도 일부 맡아 진행했었다. 창간호에는 한용운, 이광수, 이은상, 박팔양, 심훈의 시, 염상섭의 소설, 그리고 안재홍, 홍명희, 신흥우, 문일평 등의 논문도 실렸었다. 하지만 자유로운 주제를 다루는 잡지였기 때문에 이광수, 나혜석 등 자신의 신념이 드러나는 작품을 만드는 이들과 정지용, 장면 등의 종교계 인사들 등의 필진이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폭넓게 참여했다.

내용

성 담론과 대중 은어와 같은 것에 대해 소개, 언급하며 파격적인 구성을 보여주면서도 저속하지 않아 지식인들과 다양한 청년층에게도 호감을 얻었다. 《삼천리(三千里)》는 《별건곤(別乾坤)》과 달리 당시 정치, 시사, 사회 문화, 가정 등에 대해 폭넓게 다루었다. 문일평, 안재홍, 장도빈, 정인보 등의 역사 관련 칼럼과 논문도 실었다. 또한 자유주의, 서구 사상에 대한 소개와 여성운동과 페미니즘 문학에 대해서 호의적이었던 나혜석, 김일엽, 허정숙 등의 필자들도 종종 글을 투고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들의 자유연애에 관한 것은 사생활 위주로 보도하였다.

독자

《삼천리(三千里)》가 종합지로서 오랜 시간 지속될 수 있었던 것은 다양한 주제와 좋은 필진 이외에 독자들의 관심이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흥미를 일으키는 읽을거리를 쉬지 않고 기획하고, 적절한 배치가 이루어졌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출간 초기에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지식층과 청년층이 많이 접하였지만 1930년대 이후에는 지방의 중소도시의 지식인과 청년들에게도 보급되었다. 야사(野史), 시사, 역사, 여성 운동, 취미, 연애 등을 소재의 기사들도 다양하게 실어 출간하였다. 심지어 별책부록과 같은 대중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노력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 결과 1937년 전후 《삼천리(三千里)》는 ‘1만에서 3만 독자의 고정 독자들이 생겨 출간된 월간지는 한때 전국적으로 1만~2만 부 이상의 판매율을 올려 《별건곤(別乾坤)》과 경쟁하기도 했다.

폐간과 복간

《삼천리(三千里)》는 일제의 가혹한 검열 속에서 수많은 원고삭제 및 압수 등의 수모를 겪었다. 한용운(韓龍雲)의 〈당시의 추억〉, 주요한(朱耀翰)의 〈세계의 거인 장개석(蔣介石)〉 등은 일본의 적국인 중화민국인사를 찬양하는 내용이 있다는 이유로 일제에 압수 당했다. 또한, 송진우(宋鎭禹)의 〈세계를 향하야〉, 설의식(薛義植)의 〈인도시성(印度詩聖) 타고르 회견기〉 등은 일본의 동맹국인 영국에 저항하는 인사 찬양 및 조선인 독립운동 고취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는 이유로 압수당했다. 이외에도 〈민족문학과 무산문학의 합치점과 차이점〉이라는 제하의 글들이 모두 압수 또는 원고삭제를 당해 실리지 못하였다. 과장과 공상이 지나치고 제목에 대비해 내용이 빈약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성 담론과 시중에 많이 사용하는 은어 등에 대해서도 검정을 받으며 《삼천리(三千里)》만의 고유한 잡지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기 시작했다. 결국, 《삼천리(三千里)》는 일제라는 시대적 현실에 타협하기 시작했고 1941년 11월 1일 통권 150호로 종간하였다. 이후 1942년 3월 1일 김동환대동아사(大東亞社)를 만들어 《삼천리(三千里)》를 1942년 5월 1일부터 《대동아(大東亞)》라는 이름으로 바꿔 복간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노골적인 친일 잡지로 전락하여 1942년 5월호와 7월호를 내고는 빠르게 종간되었다. 이후 해방이 되고 나서 김동환은 1948년 5월부터 1950년 6월까지 《속간 삼천리》를 발행하였다.

관련 사항

RDF

주어 목적어 관계
한용운 당시의_추억 집필하다
주요한 세계거인_정개석 집필하다
송진우 세계를_향하야 집필하다
설의식 인도시성 타고르 회견기 집필하다
나혜석 구미만유기 집필하다
당시의 추억 삼천리 발표하다
세계거인 정개석 삼천리 발표하다
세계를 향하야 삼천리 발표하다
인도시성 타고르 회견기 삼천리 발표하다
구미만유기 삼천리 발표하다
김동인 삼천리 이용하다
이광수 삼천리 이용하다
염상섭 삼천리 이용하다
삼천리 민족주의적 성향이다
삼천리 별건곤 경쟁하다
삼천리 페미니즘 문학 호의적이다
삼천리 서구사상 소개하다
삼천리 자유주의 소개하다
김동환 대동아사 만들었다
김동환 삼천리 출간하다
삼천리사 삼천리 출간하다
대동아사 대동아 복간하다

네트워크 그래프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

인문콘텐츠와 정보기술(2022) 수업의 일환으로 작성.

인정해조, 작성자 천성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