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조선 제9대 왕

출생-사망 1457년 ~ 1494년

재위기간 1469년 ~ 1494년

가족관계 왕비 공혜왕후(恭惠王后), 정현왕후(貞顯王后), 아버지 덕종(德宗), 어머니 소혜왕후(昭惠王后)

출생

성종의 이름은 혈(娎)이며, 1457년(세조 3년) 세조의 큰 아들이었던 덕종(조선)(德宗)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뒷날 인수대비(仁粹大妃)가 된 한씨로, 좌의정을 역임하였던 한확(韓確)의 딸이었다. 성종은 태어난 지 두 달 만에 아버지인 의경세자가 사망하였는데, 세자는 성종을 매우 총애하여 궁중에서 성종을 양육하였다. 성종은 다섯 살이 되던 1461년(세조 7년) 자산군(者山君)에 봉해졌다. 1468년(예종 즉위년)에는 세 살 위인 형 월산군(月山君)과 더불어 종친 직품 중 최고등급인 정1품 현록대부(顯祿大夫)에 올랐다.

별명

그에게는‘주요순(晝堯舜) 야걸주(夜桀紂)’란 별명이 붙었다. 낮엔 중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황제였던 요순 임금처럼 정사를 돌봤고, 밤엔 중국 하나라의 걸 임금과 은나라의 주 임금처럼 주색잡기에 능한 임금이라는 뜻이다. 별칭에 걸맞게 ‘경국대전’ ‘동국통감’ ‘동국여지승람’ 편찬 등 큰 업적을 남긴 반면, 거의 매일 밤 곡연(曲宴·임금이 궁중 금원(禁苑)에서 가까운 사람들만 불러 베풀던 소연)을 베풀며 기생들과 어울렸고 많은 후궁을 거느렸다. 25년의 재위기간에 총 3명의 왕후와 9명의 후궁을 거느리며 그들에게서 16남 12녀를 얻었다. 자식이 너무 많아 궁궐에서 다 기를 수 없게 되자 궐 밖 여염집에 살게 할 정도였다.

생애

갑작스러운 즉위

1469년에 예종이 죽고 그 아들이 아직 어리자, 정희대비(貞熹大妃)주 02)가 한명회·신숙주(申叔舟) 등 대신들과 의논해 형 월산군(月山君)의 몸이 허약하다는 이유로 성종을 왕위에 올렸다. 즉위 할 무렵 나이는 13세에 불과하였다. 때문에 그 뒤 7년간 정희대비가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했고, 1476년(성종 7)에 비로소 친정을 하였다. 즉위하던 해 명나라 헌제(憲帝)의 고명(誥命)을 받았고, 세조 찬위의 전철을 우려하여 이시애(李施愛)의 난 평정 이후 병조판서와 영의정을 역임하고 명성이 내외에 자자한 구성군(龜城君) 이준(李浚)을 유배시켰다.

학문

성종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학문을 게을리 하지 않았는데, 국정을 운영하는 것에도 성종의 이러한 성향이 잘 드러났다. 성종은 하루 세 번 경연을 열어 관원들과 학문을 토론하였다. 본래 하루 세 번 경연은 세종대 실시된 바 있었다. 그러나 이후 세조대에는 세조 스스로가 학문을 좋아하지 않아 경연 자체가 자주 열리지 못하였다. 성종은 왕위에 오른 직후부터 꾸준히 경연에 참석하였고, 조강, 주강, 석강의 하루 세 번 경연을 정례화하였다. 특히 성종대 경연의 특징은 국정 현안의 문제들을 경연의 자리에서 논의하였다는 것이다. 주로 경연에서 교재를 읽고 토론하는 것을 마친 후에, 혹은 당시 현안과 관련되는 내용이 경연 내용으로 제시될 때 당시 참여한 경연관들에게 의견을 묻고 경청하였던 것이다. 경연에는 연로한 대신 뿐 아니라 나이가 어린 문신들이 많이 참여하였기 때문에 경연에서의 현안 논의는 대신이 아닌 신진관원들의 의견을 국왕이 직접 들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었다. 이러한 경연에서의 국정논의는 성종대 경연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성종의 문치주의(文治主義)를 잘 보여주는 예시였다.

활동

경국대전

세조대부터 추진해 오던 경국대전(經國大典)이 성종대 초중반 완성되면서, 경국대전에 의거한 국정 운영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경국대전은 세조대부터 편찬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몇 차례 완성된 바 있으나, 그때마다 문제점이 제기되어 다시 개정작업에 들어갔다. 1491년(성종 12년) 성종은 당시의 경국대』인 갑오대전을 다시 재검토하도록 명령하고, 이후 교정된 결과는 고치지 말고 준수하도록 지시하였다. 이 작업을 거쳐 1485년(성종 16년) 부터는 새로 교정된 경국대전을 반포하였는데, 이것이 현존하는 경국대전, 즉 을사대전이었다. 그리하여 경국대전은 영세 불변의 지위를 누리는 통치의 법전 지위를 가지게 되었고, 이후 조선의 법전편찬은 경국대전을 모체로 하여 개정 당시 법안을 원래 경국대전의 조문 아래에 부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경국대전












경제

성종대에는 경제 부분에서도 중요한 정책이 시행되었다. 첫 번째로는 관원들에게 분급한 직전세를 관에서 거두어 관원들에게 나누어주도록 한 관수관급제가 시행된 것이다. 조선 초 국가에서는 관원들에게 과전(을 지급하였는데, 과전은 해당 토지의 경작자가 국가에 낼 세금을 관원 개인이 받아 생활의 기반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과전은 현직 관료 뿐 아니라 전직 관료들도 받도록 되어 있었는데, 세조대 국가 재정이 어려워지자 현직 관료들만 토지를 받도록 개정하였는데 이를 직전법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세금을 받는 관원들이 경작자들에게 세금을 받는 과정에서 각종 불법적인 일이 발생하였고, 흉년에는 세금을 감해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전액을 받는 등의 일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관원이 거두어야 할 세를 국가에서 대신 받은 다음 이를 관원에게 주는 관수관급제를 시행하여 이러한 폐단을 없애도록 한 것이다. 관수관급제가 시행되면서 직전의 경작자들은 흉년이면 세금을 감해 받을 수 있었고, 직전 주인들로부터 여러 불법적인 침탈에서 해방될 수 있었다. 반면 관원들 입장에서는 기존에 누리던 혜택이 대폭 감소하게 되었다. 또한 백성들을 요역에 동원하는 제도도 손질하여 토지 8결당 백성 1명을 차출하여, 1년에 6일을 넘지 않게끔 사역하도록 규정되었다. 또한 요역에 동원되는 곳이 거리가 멀어 역을 지는 곳까지 가는데 6일이 넘을 경우, 해당년 뿐만 아니라 다음해의 요역 일자도 계산해 주어 다음해에는 역에 동원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전까지 5결 자호별로 1명씩 차출하고 요역에 동원하는 기간도 열흘 이상씩 되던 기존에 비해 백성들의 부담을 한층 완화시킨 것이다. 이 규정은 성종대 경국대전 편찬시에 대전 조항으로 수록되었다.

유교

성종은 이전의 국왕들과 달리 불교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대표적인 것이 승려가 될 수 있는 자격증인 도첩 발급을 혁파한 것이었다. 승려가 되고자 하는 사람이 일정한 금액을 나라에 내면 이에 대해 승려가 될 수 있는 자격증, 즉 도첩을 내려주는 것이 당시의 제도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나라에 토목공사 등이 있을 경우 무허가 승려들을 모아 공사를 진행한 후에 대가로 도첩을 발행해주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대해 유교적 지식인들 대부분이 비판적인 입장이었지만, 대비를 비롯한 왕실은 불교에 호의적이었기 때문에 도첩제도는 쉽사리 폐지되지 않았다. 그러나 성종은 도첩제도의 중지를 결정하였고, 이에 따라 조선에서는 합법적 방식으로 승려가 될 수 있는 길이 차단되었다. 이에 대해 인수대비가 재고해 줄 것을 청하기도 하였으나, 결국 폐지하는 것으로 결정하게 되었다. 도첩제 폐지는 성종에 대한 후대의 평가에서 성종을 유교에 충실한 군주로 칭하게 되는 중요한 근거가 되는 일이었다

출판물

경국대전외에도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동문선(東文選)』, 『 악학궤범(樂學軌範)』, 『 동국통감(東國通鑑)』,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 역사, 문학, 지리, 음악, 의례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다양한 출판물이 제작, 출간되었다.

출판물 설명
국조오례의
이 책은 왕실을 중심으로 한 국가의 기본예식이 되어왔으며, 고대 중국에서부터 황실이나 제후와 관련된 행사의 기본이 되는 의식절차이다.

편찬 배경은 조선조에 들어와 유교의식이 주류를 이루어 처음에 정도전(鄭道傳)이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을 제정했으나, 부족한 점이 많아 새로운 예제(禮制)의 제정이 절실히 요청되었던 것이다. 편찬 경위는 강희맹의 서문에 잘 나타나 있다. 오례의서(五禮儀序)에 의하면 “『두씨통전』과 중국의 여러 예제와 우리 나라 전래의 속례(俗禮)를 가감하여 정리한 것이다. 그러나 시행되기 전에 세종이 승하하고 그 뒤에 세조가 이를 편찬하였던 바, 그 조문이 너무 번거롭고 앞뒤에 어긋난 것이 있으니 법을 삼을 수가 없다.”고 하고, “다시 수정 찬술하게 했으나, 탈고하기 전에 세조 또한 승하하고 예종을 거쳐 성종이 뒤를 이어 완성하였다.”고 적고 있다. 이 책은 『경국대전』과 더불어 국가의 기본 예전이 되었다. 구성은 예종별(禮種別)로 되어 있는데, 길례는 권1에 30개조, 권2에 26개조로 되어 있고, 가례는 권3에 21개조, 권4에 29개조로 되어 있으며, 빈례는 권5에 6개조로 구성되었고, 군례는 권6에 7개조로, 흉례는 권7에 59개조, 권8에 32개조로 되어 있다.

출판물 설명
동문선
당시 대제학이던 서거정이 중심이 되어 노사신(盧思愼)·강희맹(姜希孟)·양성지(梁誠之) 등을 포함한 찬집관(纂集官) 23인이 작업에 참여하였다.

동문선은 이 책 이외에 또 신용개(申用漑) 등에 의하여 편찬된 것과 송상기(宋相琦) 등에 의하여 편찬된 것 등 세가지가 있는데, 서거정의 것을 정편 『동문선』, 신용개의 것을 속동문선, 송상기의 것은 신찬 『동문선』이라고 구별하여 부르기도 한다.신라의 김인문(金仁問)·설총(薛聰)·최치원(崔致遠)을 비롯, 편찬 당시의 인물까지 약 500인에 달하는 작가의 작품 4,302편을 수록하였다. 목록 상권 첫머리에 서거정의 서문과 양성지의 「진동문선전(進東文選箋)」이 실려 있다.서거정은 취사선택의 기준을 제시해서 ‘사리(詞理)가 순정(醇正)하고 치교(治敎)에 도움되는 것’을 선택하였다고 명시하였다. 또한, 우리 나라의 시문이 삼국시대에 시작되어 고려시대를 거쳐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에 극성해졌다고 보고, 역대의 빛나는 시문이 중국의 것과는 다른 특질을 가진 우리의 글임을 강조하고 이를 집대성하여 후세에 길이 전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역설하였다.

출판물 설명
악학궤범
9권 3책. 1493년(성종 24) 왕명에 따라 예조판서 성현(成俔)을 비롯하여 유자광(柳子光) ·신말평(申末平) ·박곤(朴棍) ·김복근(金福根) 등이 엮은 악규집(樂規集)이다. 당시 장악원(掌樂院)에 소장된 의궤(儀軌)와 악보(樂譜)가 파손 ·소략(疏略)되고, 세종(世宗) 이후의 성악유법(聲樂遺法)이 결폐(缺廢)되는 감이 있으므로, 이 책을 지어 임금께 바친다고 하였다. 편찬자들 중에서도 성현은 장악원의 제조(提調)를 맡았던 만큼 음악이 따르는 궁중의 전례(典禮)에 실제로 참여하여 음악에 정통하였으므로, 이 책을 편찬함에 있어 중심적인 구실을 하였다.

이 책에는 《동동(動動)》 《정읍사(井邑詞)》 《처용가(處容歌)》 《여민락(與民樂)》 《봉황음(鳳凰吟)》 《북전(北殿)》 《문덕곡(文德曲)》 《납씨가(納氏歌)》 《정동방곡(靖東方曲)》 등의 가사가 한글로 정착되어 실렸으며, 궁중의식에서 연주하던 아악(雅樂) ·당악(唐樂) ·향악(鄕樂)에 관한 여러 사항을 그림으로 풀어 설명하고, 그 밖에도 악기 ·의상 ·무대장치 등의 제도, 무용의 방법, 음악이론 등을 자세히 적고 있다.

출판물 설명
동국통감
1458년(세조 4)에 편찬 사업이 시작되어 고대사 부분이 1476년(성종 7)에 삼국사절요로 간행되었으며, 1484년에 동국통감이 완성되었다. 그 이듬해에는 전년에 완성된 책에 찬자들의 사론을 붙여 동국통감 56권을 신편하였다.

원래 세조가 목표했던 의도는 김부식(金富軾)의 삼국사기와 권근(權近)의 동국사략으로 대표되는 기왕의 고대사 서술이 탈락된 것이 많아 이를 보완하려는 것이었다. 1476년에 완성된 삼국사절요는 세조 때 골격이 거의 짜여진 동국통감의 고대사 부분을 다시 손질해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1474년에 영의정 신숙주(申叔舟)가 편찬 작업을 진행시켰다. 그러나 신숙주가 작업이 완성되기 전에 죽음으로써 노사신(盧思愼)이 주축이 되어 서거정·이파(李坡)·김계창(金季昌)·최숙정(崔淑精) 등의 도움을 얻어 완성하였다.

출판물 설명
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1486년(성종 17)에 완성된 인문지리서이다. 권1~2는 경도京都, 권3은 한성(漢城), 권4~5는 개성(開城), 권6~13은 경기도, 권14~20은 충청도, 권21~32는 경상도, 권33~40은 전라도, 권41~43은 황해도, 권44~47은 강원도, 권48~50은 함경도, 권51~55는 평안도의 인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머리에 그 도의 전도(全圖)를 싣고 이어 연혁(沿革), 풍속(風俗), 묘사(廟社), 능침(陵寢), 궁궐, 관부官府, 학교, 토산土産, 효자, 열녀, 성곽, 산천, 누정(樓亭), 사사(寺社), 역원(驛院), 교량, 명현名賢의 사적, 시인의 산천이나 누정 등을 대상으로 주변의 풍광과 이를 보는 감흥을 읊은 시가(詩歌)

)인 제영(題詠) 등을 실었다. 이 중 풍속 편에서 다양한 형태의 민속놀이를 확인할 수 있다.


언론

성종은 사헌부와 사간원 등과 같은 언론기관을 활성화 한 군주이기도 하였다. 이들 언론기구들은 이미 고려와 조선 초기에도 존재했던 것이었는데, 성종대 들어 그 활약상이 두드러지게 늘어나게 되었다. 특히 성종대 대간들이 이전의 대간들과 다른 점은 언론의 내용이 광범위해졌다는 것 외에도, 국왕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때 여러 차례 이에 대한 논란을 끈질기게 제시하면서, 그래도 받아들이지 않으면 사직 상소를 올리는 등 언론을 펴는 자세가 매우 공격적이었다는 점이었다. 이 때문에 친정 초반 대간의 언론 활동을 장려했던 성종도 만년에는 이러한 언론 관행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언론 역시 경연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신진관원들이 많이 포진해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대한 우대 정책 역시 앞서 경연과 마찬가지로 성종대의 문치적인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상세정보 이렇듯 성종대 초반에는 경연과 언론 분야에서 신진관원들이 큰 활약을 보였는데, 이들은 16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정계에 등장하는 사림들의 1세대에 해당하였다. 성종대 사림세력은 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한 사람들이었는데, 당시에도 이들을 ‘경상도선배당’이라고 지칭하기도 하였다. 물론 김종직 본인은 학문 성향이 사장에 치우치고, 훈구대신들과도 원만한 관계를 가졌기 때문에 후대 사림들이 평가절하 하기에 이르렀으나, 그 제자였던 김굉필(金宏弼), 정여창(鄭汝昌), 김일손(金馹孫) 등은 사림의 시초로서 조선 후기까지 추앙받는 대상이 되었다. 이들 사림세력의 시초가 성종대 등장할 수 있었던 것도 언론을 우용하고 경연을 활용했던 성종의 문치주의에 힘입은 것이었다. 상세정보 성종은 세조대 혁파된 집현전을 대신할 학술연구기관도 재건하였는데, 바로 홍문관이었다. 집현전은 세조대 단종 복위 운동에 참여한 사람이 대부분 집현전출신이었다는 점 때문에 1456년(세조 2년) 혁파되었고, 그 기능은 예문관으로 이전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장서 보관을 위하여 홍문관을 따로 설치했었다. 그런데 예문관은 본래 사초를 작성하는 일을 담당하는 곳이어서 학술연구의 기능까지 겸업하자 업무 성격이 다른 관원들이 한 관서에 섞여 있는 일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1478년(성종 9년) 홍문관을 이전 집현전과 같은 학술기관으로 승격시키고 관원을 두도록 하였다. 홍문관은 이후 학술연구기관으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국가 중대사에 대해서는 언론기관으로 활약하면서 조선 후기까지 명맥을 유지하였다

사후

평가

사망 이후 조정의 중신들은 성종의 묘호를 두고 논란을 벌였는데, 논의의 핵심은 성종의 묘호를 성종으로 하느냐, 인종으로 하느냐 하는 것이었다. 유교국가에서 ‘인’ 이란 것은 최고의 가치로 받아들여졌고 묘호 역시 인종은 가장 높은 등급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인종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성종의 인품과 업적이 인종이란 묘호와 부합한다고 보았다. 성종을 주장하던 사람들은 성종이 기존 역대 선왕들의 업적을 집대성한 왕이며, 인종이란 묘호는 중국 송나라의 황제였던 인종이 있으므로 함부러 쓸 수 없는 묘호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묘호는 인수대비가 성종으로 결정하였다.

계승

세 왕비와 여덟 후궁에게서 아들 19인과 딸 11인을 낳았다. 제10대 왕 연산군은 폐비 윤씨의 아들이며 제11대 중종이 된 진성대군(晉城大君) 이역(李懌)은 정현왕후 윤씨의 아들이다. 시호는 강정인문헌무흠성공효대왕(康靖仁文憲武欽聖恭孝大王)이고, 묘효는 성종(成宗)이다. 능호는 선릉(宣陵)으로 광주(廣州)에 있었는데, 현재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계비 정현왕후 윤씨의 능과 함께 있다.


서울 선릉과 정릉 선릉












등장 작품

TV속의 작품

《사모곡》 (TBC, 1972년 배우:이묵원)

《설중매》 (MBC, 1984년~1985년 배우:길용우)

《한명회》 (KBS, 1994년 배우:박진성, 아역:최강원, 고동현)

《장녹수》 (KBS, 1995년 배우:현석)

《왕과 비》 (KBS, 1998년~2000년 배우:이진우, 아역:김민우)

《왕과 나》 (SBS, 2007년~2008년 배우:고주원, 아역:유승호)

《인수대비》 (JTBC, 2012년~2013년 배우:백성현, 아역:최원홍, 이태우)

《역적》 (MBC, 2017년 배우:최무성)

《7일의 왕비》 (KBS, 2017년 배우:김정학)


영화

윤순홍 - 1985년 《어우동》 영화

윤양하 - 1988년 《연산일기》 영화

유장영 - 2015년 《어우동》 영화

참고문헌

한국민족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54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84%A0_%EC%84%B1%EC%A2%85#평가와_비판

구글 대전속록 https://www.google.com/search?q=%EB%8C%80%EC%A0%84%EC%86%8D%EB%A1%9D&source=lnms&tbm=isch&sa=X&ved=0ahUKEwiwqIfxn6LfAhUCfLwKHbQMDhQQ_AUIDygC&biw=1518&bih=698#imgrc=Ff-5Jp4Fw6XweM:&spf=1544891123375

[네이버 지식백과] 성종 [成宗] - 조선 정치제도의 기틀을 마련한 국왕 (인물한국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3141&cid=59015&categoryId=59015

한국사 콘텐츠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1

네이버 지식백과 국조오례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25399&cid=46649&categoryId=46649

[네이버 지식백과] 동문선 [東文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4285&cid=46644&categoryId=46644

[네이버 지식백과] 동국통감 [東國通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4156&cid=46622&categoryId=46622

[네이버 지식백과] 동국여지승람 (한국민속예술사전 : 민속놀이, 국립민속박물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1553&cid=58721&categoryId=58725

기여자

최민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