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격효과기법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주장한 개념으로 당시 서양 연극계의 주류였던 아리스토텔레스파의 카타르시스 이론을 반박하며 관객이 배우의 연극에 몰입되지 않아야만 비판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다는 주장에서 나온 개념이다. 다른말로 표현하면 거리두기의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브레히트는 감정이입을 통한 연극 감상은 관객의 비판적인 정신을 말살하고 지배 이데올로기에 감화되는 결과를 낳을 뿐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지배 이데올로기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기 위해선 관객들이 무대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독일의 비평가 발터 베냐민이 문화의 비판적 수용을 주제로 한 것과 상통하는 바가 있으며, 실제로도 서로 간에 친분이 있었다고 한다. 즉, 배우가 관객들 사이로 걸어가거나, 말을 걸어서 대화를 하거나, 배우가 하고 있는 연극의 내용들을 요약을 해준다는 것들을 한다거나 해서 무대와 관객들을 철저히 격리시키는 것이다.


쇼격효과 기법의 효과

기존 영화와 연극은 배우의 감정이입을 전제로 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어떤 자연스러운 현상을 접하는 것으로 느끼게 한다. 관객은 배역에 몰입되며, 사건은 관객이 참여할 수 없이 폐쇄적이고, 그 사건이 전개되는 정황 외에 다른 전개는 있을 수 없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극 자체가 완결성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반면 소격효과를 사용한 영화나 연극의 경우 관객들을 환상에 빠지지 못하게 만든다.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소격효과를 사용하는 전제 조건은 무대나 객석에서 모든 마술적인 요소를 말끔히 씻어내고 최면에 걸릴 수 있는 여지를 없애는 것이다'로 일축한다.


소격효과 기법의 사용사례

브레히트가 만든 소격효과를 누벨바그가 처음으로 영화에 도입하면서 생긴 영상문법으로 거리두기라고도 표현한다. 이는 이전까지의 고전적인 할리우드 스타일의 영화에서 보였던 영화와 관객과의 단절을 무너뜨린 것이다. 쉽게 설명을 하면 영화는 그 안에서의 인물들과 스토리가 있는 것이다. 즉, 우리들과는 다른세계의 존재들이라는 것을 관객에게 상기시킨다. 그러니 이 거리두기 기법으로 이전의 영화와는 다르게 관객을 영화의 세계로 인도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누벨바그가 사용했던 현재의 우리들은 익숙하지만 예전의 관객은 새로운 카메라를 바라보며 관객에게 말하는 것이다.


소격효과사례.jpg


말드폴.PNG


영상학에 따르면 영화를 촬영할 때, 배우는 카메라를 똑바로 바로보면 안된다. 만일 배우들이 카메라를 똑바로 응시한다면, 관객들이 당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심지어 관객에게 말을 걸기까지 한다. 이를 통해 위에 언급했던 효과들을 시청자에게 줄 수 있는데, 오늘날 이러한 기법은 대중에게 너무 익숙해져 기법 본래의 효과가 떨어졌다는 의견도 있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소격효과기법 베르톨트 브레히트 소격효과 기법은 베르톨트 브레히트에 의해 만들어졌다.
소격효과기법 브레히트 서사극 이론 소격효과기법은 브레히트 서사극 이론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감정이입과 어떻게 나누어지는지 설명할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소격효과기법 변증법적 연극 소격효과기법은 변증법적 연극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기법이다.

사진출처 및 참고문헌

유투브 무비


네이버 지식백과


위키피디아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 서성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