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마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1948년 1월 <백민> 12호에 발표된 김동리의 대표적인 문학작품이다. 1950년 정음사에서 같은 이름으로 간행한 단편집 <역마>에 수록되었다. 민속적인 소재를 통하여 토속적인 삶과 그 운명이 시적으로 승화된 작가의 대표작품이다.

줄거리

하동, 구례, 쌍계사로 갈리는 세 갈래 길목의 화개장터에 자리잡은 옥화네 주막에 늙은 체장수와 그의 딸 계연이 찾아온다. 이튿날 체장수는 딸을 주막에 맡겨놓고 장사를 떠난다. 역마살이 끼였다고 10살 때부터 절에 나가 사는 옥화의 아들 성기가 절에서 내려와 집에 머문다. 옥화는 성기를 계속 머물게 하기 위해 계연으로 하여금 시중을 들게 한다. 어느 날 성기와 계연은 칠불암으로 가게 된다. 둘은 산딸기를 따먹고 나물을 캐고 하면서 급속히 가까워진다.

그뒤로 두 사람의 정은 더욱 깊어간다. 어느 날 옥화는 계연의 머리를 땋아주다가 왼쪽 귓바퀴의 조그만 사마귀를 발견하고 깜짝 놀란다. 그리고 악양 명도에게 다녀온 뒤로 성기와 계연의 관계를 살피기 시작한다. 체장수가 찾아와 다시 계연은 아버지를 따라 여수로 떠나고 성기는 갑작스런 이별에 충격을 받아 자리에 눕게 된다. 어느 봄날 옥화는 성기에게 자기의 지난 날을 이야기해 준다. 체장수는 서른 여섯해 전 남사당을 꾸며 화개장터에 와 하룻밤을 놀고 갔던 자기의 아버지가 틀림없으며 자신의 왼쪽 귓바퀴의 검정 사마귀를 보여주면서 계연은 자기의 여동생이 분명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어느 이른 여름날, 화개장터 삼거리에는 나무 엿판을 맨 성기가 옥화와 작별하고 육자배기 가락을 부르면서 체장수와 그의 딸이 떠난 구례 쪽을 등지고 하동 쪽으로 길을 떠난다.

작품해설

이 작품은 역마살로 표상되는 동양적이며 한국적인 운명관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하룻저녁 놀다 간 남사당패에게서 옥화를 낳은 할머니, 떠돌이 중으로부터 성기를 낳게 된 옥화, 마침내 엿목판을 메고 유랑의 길에 오르는 성기 등 이들 가족은 인연의 묘리와 비극적인 운명의 사슬에 매여 있는 토착적 한국인의 의식세계를 그대로 보여준다.

민속적인 소재를 통하여 토속적인 삶과 그 운명이 시적으로 승화된 이 작품은 무녀도, 황토기 등의 작품과 함께 김동리의 전통지향적인 의식을 나타내주는 초기 대표작 중의 하나이다.

관련 콘텐츠

영상

  • 김동리 - 역마를 간략하게 알 수 있는 영상

영화

역마, Stroller(Yeogma)

역마, Stroller

네트워크 그래프

역마 네트워크 그래프.PNG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역마 김동리 A는 B의 작품이다(P)
역마 1948년 A는 B에 창작되었다(P)
역마 단편소설 A는 B에 해당한다(P)
역마 운명 A는 B를 주제로 한다(P)
역마 영화 역마 A는 B의 원작이다(P)
역마 옥화 A에 B가 등장한다
역마 성기 A에 B가 등장한다
역마 계연 A에 B가 등장한다
역마 체장수 A에 B가 등장한다

참고문헌

네이버 두산백과, 역마

네이버 영화, 역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역마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강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