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봉길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윤봉길 (1908~1932)

개요

윤봉길(尹奉吉) 1908~1932.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일왕 생일 행사장에 폭탄을 던져 일본군 대장 등을 즉사시키는 거사를 치르고 체포되어 순국하였다.

생애 및 활동

1908년 충청남도 예산에서 아버지 윤황과 어머니 김원상 사이에서 출생. 본관은 파평, 본명은 우의, 호는 매헌이다.

1918년 덕산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919년에 3.1운동이 일어나자 민족정신의 영향으로 식민지 교육을 거부하고 자퇴하였다.

동생인 윤성의와 함께 한학을 공부하였고, 1921년부터는 오치서숙에서 사서삼경 등 한문학을 계속하였다.

1926년에는 농촌사회운동을 펼쳤다. 농민계몽을 위해 《농민독본》이란 교재를 집필하여 야학회를 조직,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농촌의 불우한 청소년을 가르쳤다.

1929년 농촌의 발전을 위해 ‘부흥원'이란 단체를 설립하여 농촌 부흥운동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그해 2월 18일 부흥원 주관으로 학예회를 열고, 촌극인 ‘토끼와 여우’를 공연하였는데, 농촌에서 문화활동이 많지 않던 당시여서 관람객이 매우 많이 모여 성공리에 마쳤다. 이것이 원인이 되어 일본 경찰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에도 농촌활동을 계속하였고, ‘월진회'라는 농민단체를 만들어 회장에 추대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농촌자활운동을 펴나갔다.

1930년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쳐 무엇인가 큰 일을 해야겠다는 신념으로 만주로 떠났다. 이 정보를 입수한 일본 경찰이 미행을 하여, 평안도 선천에서 체포되어 45일간의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만주로 망명하였고, 만주에서 같은 길을 걷는 김태식, 한일진 등을 만나 함께 독립운동을 다짐하였다.

윤봉길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가야 성공적인 독립운동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상하이를 향했다. 1931년 8월 임시정부가 있는 상하이에 도착하였다.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지도자인 김구를 찾아가 그의 뜻을 말하고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칠 것을 다짐하였다.

1932년 4월 26일 한인애국단에 입단하여 김구를 비롯한 이동녕, 이시영, 조소앙 등 지도자들과 협의하여 거사를 구상하였다. 윤봉길은 야채상으로 가장하여 미리 기념식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입수하고, 폭탄 제조 전문가인 김홍일의 도움을 받아 기념식장에서 투척할 수류탄도 제조하였다.

1932년 4월 29일 윤봉길은 저격용 물통 모양의 폭탄 1개, 자결용 도시락 모양의 폭탄 1개를 감추고 일왕 생일 행사장이 있는 상하이홍커우공원에 입장해 거사를 치렀다. 이 폭발로 시라카와 일본군 대장과 일본인 거류민단장은 즉사하였고, 제3함대 사령관 노무라 중장과 제9사단장 우에다 중장, 주중공사 시케미쓰 등이 중상을 입었다. 윤봉길은 현장에서 일본군에 체포되었고, 일본 군법회의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1932년 11월 20일 그는 일본으로 옮겨져 오사카 위수형무소에 수감되었다. 그리고 그해 12월 19일 총살형을 받고 순국하였다.

활동 요약

연도 활동
1908 충청남도 예산 출생
1918 덕산보통학교 입학
1918 3.1운동 영향으로 자퇴
1926 농촌사회운동 시작, 농민 계몽, <농민독본> 집필
1929 부흥원 설립
1930 만주로 망명
1931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있는 상하이 도착, 김구와 접촉
1932 한인애국단 입단, 일왕 생일 행사장인 상하이홍커우공원에서 폭탄 투하 후 체포, 오사카 위수형무소에서 사형

작품 및 저서

1926년 윤봉길은 농민계몽, 농촌부흥을 위해 농촌사회운동을 펼쳤는데, 이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농민독본》을 저술하여 야학회를 조직하고 불우한 청소년을 가르쳤다.

수상내역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윤봉길 독립운동가 A는 B이다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