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연애사상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결혼 제도나 관습 등 사회적인 제한이나 압박 등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연애하는 것. 조선 후기 내지 근대 사회에서 등장하기 시작한 계몽사상 중에 하나이다.

이광수와 자유연애사상

이광수는 자신의 문학관에서 자유연애사상을 강하게 드러내고는 했다. 그의 초기 작품들 중 특히 단편에서 자유연애와 주체적인 결혼 그리고 남녀평등의 문학적 성향을 보여주고 있다.그의「소년의 비애」는 봉건 유습의 억압과 조혼의 폐습을 여실히 폭로하면서 신교육의 필요성과 자유연애와 같은 계몽주의적 정신을 보여주고 있다.또한 그의「어린 벗에게」는 사랑을 강조하면서 자유연애와 주체적인 결혼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그리고 그의 초기 장편 소설『무정』에서는 유교적 가부장제와 결혼제도를 비판하면서 자유연애와 남녀평등에 대한 더욱 분명한 주장을 하고 있다. 이광수의 자유연애론은 근대적 개인의 이념과 합치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외부적인(사회적,문화적,개인적) 강제에 의하지 않는 자유로운 연애를 설파한 이광수의 취지는 자율적인 방식으로 삶을 영위하는 것이었다. 이광수는 육체의 만족과 자녀의 생산만이 혼인의 목적이 되는 것을 비판하고, 유교 혼인제도가 개인의 자발적 사랑을 막는 것임을 지적하였다. 그가 제시한 혼인관에 의하여 행복한 혼인의 두 가지 요건은 연애와 원만한 가정이다. 그는 유교의 혼인 생활이란 가족 간의 애정이 없는, 의무만을 강요하는 도덕률의 생활이라는 것을 언급하였다.그러므로 이광수는 애정이 없는 것이 조선 부부간의 비극이 된 원인이라고 지적하였다.그리고 그는 혼인이 일방이 아니라 남녀 양방이 같이 지키는 계약이라고 언급하였다. 일방이 죽거나 이혼하면 그 계약이 소멸하는 것이므로 이광수는 남자와 여자가 평등한 자유 재혼의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광수는 남녀평등 사상으로 유교문화 속 남존여비 사상을 비판하고 자유연애를 주장하는 등 계몽적 노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노신과 자유연애사상

노신은 다처주의(多妻主义)라는 것은 기형적인 도덕이라고 지적하였으며,남녀평등 관념을 억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그는 남녀평등의 입장에서 출발하여 다처주의인 남자는 절열을 표창할 자격이 없다고 역설하였다. 또한 노신은 성(性)의 해방과 자유연애를 주장하면서 여성의 해방에 주목하였다.그는 1918년『熱風』시대에서부터 거의 모든 저작에 부녀에 관한 문장이 들어 있었으며,여성문제에 대해 아주 큰 관심을 표명하였다. 그의 페미니즘 작품 속에는 억압 받는 여성,농촌 여성의 비참한 운명에 대한 묘사를 통해 여성의 각성과 여성해방을 외쳤다. 노신은 그의 작품 속에 자유연애를 주장하였고 그 끝에는 남녀평등에 대한 그의 외침이 들어 있었다. '우애결혼·시험결혼'(삼천리,1930.5)에서는 요즘의 개념으로 계약결 론에 대한 찬성까지 나타내고 있다.

나혜석과 자유연애사상

나혜석은 '이혼고백서'를 통해 개방적이고 진보적인 남녀관계의 이상,즉 결혼한 부부 사이에서도 개방적 남녀관계를 권장하고 있다. 나혜석은 혼외의 성적 자유를 추구했으며 계약결혼에 대한 찬성을 나타내기도 했다.그녀는 여성이 봉건적인 가족제도의 억압과 구속 속에서 현실과 이상의 극심한 격차와 사랑의 부재로 인하여 신경쇠약에 걸리고 독신여성을 선망하게 된다고 말했다.

의의

봉건제와 유교적 사상 아래 밑바닥을 치던 여성인권과도 관련이 높다. 남존여비사상과 조혼제도, 중매 결혼 등 여성들의 사랑과 연애는 관심사 밖이었고, 여성들은 사회적 틀에 갖힌 채 고통받으며 살아갔었다. 하지만 자유연애사상은 남녀평등이라는 전제 하에 자유로운 연애를 외치는 것이기 때문에 남녀평등과도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혼이나 사별 후에도 재혼이 불가능하다는 사회적 인식을 바꾸어 놓은 사상이며 근대에 등장했기에 계몽적 성향이 강하다고 평가된다.

관련 작품

'이혼고백서(1934)'-나혜석

이혼고백서.png

'어린 벗에게(1917)'-이광수

어린 벗에게.jpg

'소년의 비애(1917)'-이광수

소년의 비애.png

'무정(1917)'-이광수

무정.png

'유정(1933)'-이광수

이광수 유정.jpg

외에도 이광수의 '개척자(1917)', '순교자(1920)', '규한(1917)' 등이 있다.

RDF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자유연애사상 이광수 A를 B가 강조했다.
자유연애사상 무정 A를 B가 담고 있다.
자유연애사상 조혼제도 A가 B를 비판한다.
자유연애사상 나혜석 A를 B가 강조했다.
자유연애사상 이혼고백서 A를 B가 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근대문학에 나타난 연애(戀愛)문화에 대한 연구'/ 이경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광수와 노신 문학의 현실인식과 여성인물상 비교연구'/ 董丹丹/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