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정선(鄭歚,1676년~1759년)은 조선의 화가이자 문신으로 진경산수화라는 우리 고유 회화양식을 창안하여 역사적으로 위대한 화가중에 한명으로 손꼽힌다.

본관은 광주, 자는 원백(元伯), 호는 겸재(謙齋)·겸초(兼艸)·난곡(蘭谷)으로 현재에는 겸재(謙齋)가 대표적인 호로서 알려져있다.

관직에는 김창집(金昌集)의 천거로 도화서화원이 되며 오르게 되었다.

생애

정선은 2남 1녀중 맏아들로 13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늙은 어머니를 모시게 되었다.

어려서부터 그림을 잘 그렸다고 하며 김창집(金昌集)의 도움으로 도화서의 화원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위수(衛率)라는 벼슬을 비롯하여, 1729년에 한성부주부, 1734년에는 청하현감을 지냈다. 또 자연·하양의 현감을 거쳐 1740년경에는 훈련도감낭청(訓練都監郎廳), 1740년 12월부터 1745년 1월까지는 양천의 현령을 지냈다.

그 뒤 약 10년 동안은 활동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1754년에 사도시첨정(司䆃寺僉正), 1755년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그리고 1756년에는 화가로서는 파격적인 가선대부 지중추부사(嘉善大夫知中樞府事)라는 종2품에 제수되기까지 하였다.

활동

그는 어려서부터 그림에 재주가 있었다는 기록과 현재 남아 있는 30세 전후의 금강산 그림 등을 통하여 젊었을 때 화가로서 활동한 것이 확실하다. 하지만 40세 이전의 확실한 경력을 입증할 만한 작품이나 생활 기록 자료는 없다. 그가 중인(中人)들이 일하고 있었던 도화서 화원(圖畫署畫員)이었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그의 집안은 원래 사대부 출신으로 신분상의 중인은 아니며 몇 대에 걸쳐 과거를 통하여 출세하지 못한 한미한 양반이었다. 그리고 그의 뛰어난 그림 재주 때문에 관료로 추천을 받았으며 마침내 화단에서 명성을 얻게 되었다.

지금까지 막연한 중국의 자연을 소재로 하던 시나 문학의 영향에서 이루어진 산수화의 화제(畫題)는 빛을 잃고, 대신 우리 자연으로 대치하게 되는 시기에 태어난 그는 마침 중국에서 밀려 들어오는 남종화법(南宗畫法)이나 오파(吳派)와 같은 새로운 산수화 기법에 접하게 되었다. 또 당시 유행하게 된 시서화 일체 사상을 중시하던 문인들 사이에 참여하여 자신의 교양을 높이거나 창작하는 계기를 얻게 되었다.

특히 이병연(李秉淵) 같은 시인과의 교우를 통하여 자기 회화 세계에 대한 창의력을 넓히고 일상적 생활의 주제를 회화로 승화시킬 수 있는 자극을 받게 되었다. 우리나라 자연을 다룬 그의 화제들은 당시 기행문의 소재였던 금강산, 관동지방의 명승 그리고 서울에서 남한강을 오르내리며 접할 수 있는 명소들과 그가 실제 지방 수령으로 근무하던 여가에 묘사한 것들이다.

그밖에도 자기 집과 가까웠던 서울 장안의 사철의 경치들, 특히 인왕산 동북 일대의 계곡과 산등성이들이 화제가 되었다. 그리고 문인지우(文人知友)들과 관련되는 여러 곳의 명소나 특수한 고장들의 자연을 다루기도 하였다. 그러나 고사도(故事圖) 같은 중국적 소재도 많이 다루고 있으며, 성리학자들의 고사도 제작에서 그의 관심거리가 무엇이었는지 알 수 있다.

평가

정선은 선비나 직업 화가를 막론하고 크게 영향을 주어 겸재파 화법(謙齋派畫法)이라 할 수 있는 한국 실경 산수화의 흐름을 적어도 19세기 초반까지 이어가게 하였다. 이들 중에는 강희언(姜熙彦)·김윤겸(金允謙)·최북(崔北)·김응환(金應煥)·김홍도(金弘道)·정수영(鄭遂榮)·김석신(金碩臣)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그의 두 아들인 만교(萬僑)와 만수(萬遂)는 아버지의 가업을 잇지 못하고 손자인 황(榥)만이 할아버지의 화법을 이어받고 있다.

정선에 관한 기록은 어느 화가보다 많으며 작품 수도 가장 많다. 그러나 그가 지었다는 『도설경해(圖說經解)』라는 책과 유고(遺稿) 수십 권은 전하지 않으며, 자작시나 화론(畫論)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그를 더 깊이 연구하는 데 아쉬움을 주고 있다. 또한 초년기의 작품이 거의 밝혀지지 않아 화가로서의 생애를 전부 조명하는 데 공백이 있다.

작품

표1. 정선의 작품
작품명 내용 사진 출처
정선 필 여산초당도 (鄭敾 筆 廬山草堂圖) 정선이 중국의 고사(故事)를 주제로 삼아 산수화와 인물화를 효과적으로 결합시킨 작품 정선 필 여산초당도.jpg 문화재청
정선 필 청풍계도 (鄭敾 筆 淸風溪圖) 정선이 서울 백악산 청풍계에 있던 안동김씨 김상용(金尙容, 1561-1637)의 고택을 1739년에 그린 기년작 청풍계도.jpg 문화재청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 (鄭敾 筆 楓嶽內山總覽圖) 제작연도를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필치와 화풍으로 보아 정선이 60대에서 70대에 이르는 1740년대에 제작된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다. 풍악내산총람도.jpg 문화재청
정선 필 경교명승첩 (鄭敾 筆 京郊名勝帖) 서울 근교와 한강변의 명승명소를 그린 진경산수화인물화로 구성된 정선의 그림. 1741년부터 그리기 시작해 정선이 사망한 1759년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경교명승첩.jpg 문화재청
정선필 인왕제색도 (鄭敾筆 仁王霽色圖) 조선 후기 화가인 겸재 정선(1676∼1759)이 비온 뒤의 인왕산 모습을 그린 그림 인왕제색도.jpg 문화재청
정선 필 해악전신첩 (鄭敾 筆 海嶽傳神帖) 정선(鄭敾, 1676-1759) 특유의 다양한 필묵법과 옅은 청록색의 선염법이 고른 수준으로 능숙하게 구사되어 금강산의 진면모를 유감없이 드러낸 대표작 해악전신첩.jpg 문화재청

외부링크

http://gjjs.or.kr/ 겸재정선미술관

자료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idx/index.do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임빛찬

기여자: 임빛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