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향날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제향날은 채만식의 장막 희곡 이다. 1937년 11월 ≪조광 朝光≫에 발표되었다.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까지 불의한 세력에 저항하는 삶을 산 김성배 일가의 가족사를 통해 지식인으로서의

의무와 책임이 무엇인지를 보여 주는 작품이다.

내용

이 작품은 채만식의 대표소설로 꼽히는 태평천하와 여러 면에서 비슷한 점을 지녔다.

이 희곡또한 <태평천하>와 같이 가족사 소설의 형식으로, 한말세대·개화세대·식민지세대 등 3대를 묘사하고 있다.

즉, 19세기 말에서부터 1930년대까지 온갖 수난을 다 겪은 할머니(최 씨)가 식민지세대라 할 손자(영오)에게 남편 제삿날 밤에 마주앉아 지난 일을 회상하면서 이야기해가는, 장막 형식으로 엮었다.

따라서 시대배경은 1894년 동학운동 때와 3·1운동 때인 1919년, 그리고 당시대인 1936년으로 되어 있다.


줄거리

소지주였던 한말세대 할아버지[김성배]는 부패한 정권과 외세에 항거한 동학혁명군의 접주(接主)로 활약한다. 그러나 동학군의 패퇴와 함께 관군에 의해 공개처형당한다.

그리고 그 동학군의 2세(김성배의 아들 김영수)는 아버지의 가업을 잇다가 기미년 3.1운동 때 항일투쟁에 뛰어들어 민족독립을 위하여 활약한다. 그러나 그 역시 국내에서 관헌에 쫓기다가 중국으로 망명하게 된다.

중국 망명지에서 그는 독립운동자금 조달을 위해 고향의 전답을 모두 팔아감으로써 집안은 폐가가 될 정도로 몰락하고 만다. 따라서, 3대가 되는 망명가의 아들(김상인)은 열악한 가정형편 때문에 동경유학생활도 고학으로 지탱한다.

그 때 이 청년은 사회주의에 기울게 되고 사회주의만이 독립쟁취의 가장 이상적인 정치이데올로기인 것으로 믿게 된다.


등장인물

최 씨

남편과 아들의 저항적 삶을 지켜본 관찰자. 외손자 영오와의 대화를 통해 극의 중심 내용을 서술하고 해설하는 역할을 한다.


영오

최 씨의 외손자로 최 씨에게 가족사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다.


김성배

제 1막의 주인공으로, 동학 혁명군의 접주로 활약하지만 동학군이 패퇴하고 부친이 자기 대신 잡혀 곤혹을 당하자 자수하여 공개처형된다.


김영수

제2막의 주인공. 김성배의 아들로, 소지주여던 부친의 가업을 잇다가. 31운동을 도모한 후 일본 관헌에 쫓겨서 중국으로 망명한다.


김상인

김영수의 아들이자 김성배의 손자. 사회주의 운동을 하며 조부와 부친의 삶의 궤적을 이어간다.

공연 정보

2017년, 국립극단에서 제향날을 연극화하여 공연을 선보인 바 있었다.

연극 제향날 하이라이트

관련항목(온톨로지)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홍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