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운(1900년 ~ 미상)

개요

조운은 시조 시인으로서 일제강점기시대에 활동하였으며 후에는 북한으로 월북하여 활동하였다. 조운의 호는 정주랑(靜洲郞), 본명은주현(柱鉉)이고 운(雲)은 본명이자 필명으로 사용하였다.

생애

출생

조운은 1900년 6월26일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도동리 구름다리 옆집에서 출생하였다. 본명은 주현(柱鉉)자가 중빈(重彬) 이였지만 집앞에 있는 구름다리를 따서 운(雲)을 본명이자 필명으로 사용하였다. 4살 때 부친을 여의고 7남매 중 외아들로 자랐다.

지도를 불러오는 중...

문단데뷔

조운은 1922년에 <동아일보> 독자란에 자신의 시 「불살너 주오」를 처음으로 발표하고 1924년 <조선문단>에 「초승달이 재넘을 때」등 자유시 3편을 발표하면서 공식으로 문단에 등단했다. 이후로 1940년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를 발표하였으며 1920년대 중반에는 최남선,이병기와 함께 국민문학파에 의해 일어난 시조부흥운동에도 적극적인 참여를 하였다.특히 「병인년과 시조」에서는 시조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밝히며 시조는 한국 고유의 문학형식으로 신문학이후에 무시를 받다가 1925년도에 다시 부흥하게 되었다고 지적하였다.

학력

  • 영광보통학교졸업
  • 목포상업학교졸업

연보

연도 내용
조운의 생애 연표
1900년(1세) 6월 26일 전남 영광에서 7남매중 외아들로 출생
1917년(18세) 영광보통학교 졸업
1919년(20세) 목포상업학교 졸업 후 3.1운동 가담하였고 일경의 추격을 피해서 만주로 망명
1921년(22세) 영광으로 귀향후 사립영광학원의 조선어 교사 취임
1922년 (23세) <동아일보>에 시「불살너 주오」발표
1924년 (25세) <조선문단>에 「초승달이 재넘을 때」 등 자유시 3편을 발표한 후 문단에 공식등단
1935년 (36세) 영광 금융조합에서 근무하며 민족자각운동의 일환으로서 갑술독서회 결성 등 반일운동 펼친 후 1년반 정도 옥고를 치룸.
1945년 (46세) 해방 이후 영광건국준비위원회 부위원장직을 부임하고 문학가동맹에 가입
1947년 (48세) 가족과 함께 상경 후 동국대에서 시조론에 대한 강의를함, 이 시기에『조운시조집』간행
1948년 (49세) 정부수립 이후 가족과 함께 월북, 황해도 대표위원과 최고인민회의 상임임원을 지냄,「춘향전」을 연구하고 박태원과 함께 『조선구전민요집』, 『조선창극집』을 출간
1956년 (57세) 이태준계열 숙청 이후 몰락 후 구제됨, 「인민시인 신재효」발표
1957년 (58세) <조선문학>에「아브로라의 포성」발표
1958년 (59세) <조선문학>에「평양판관」발표

작품세계

조운의 작품들은 전반적으로 단아한 정조로서 전통적인 정한의 세계를 주로 다루고 있다. 남들과 다른 언어의 조탁과 섬세한 개성미를 지니고 있으며 많은 공감을 얻고있다.또한 이념적인 색채를 사용하지 않으며 자연과 인간의 평이한 서정을 읊는 순수문학성을 주로 이루고 있다. 이러한 조운은 시작세계의 일관된 주제가 민족주의적인 이상과 연결되어있는 것은 조운은 시조에만 전념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시조에 조선혼(朝鮮魂)이 깃들여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초기작품에 자주 등장하던 '님'의 함의성 그리고 우리 언어가 가지는 민족적 감정이 담겨있다고 생각한다.

작품 및 저서

1.불살너주오,1922

2.초승달이 재넘을 때,1924

3.나의사람,1924

4.법성포 12경,1925

5.이 세기의 시인아.1926

6.병인년과 시조,1927

7.조선구전민요집,1933

8.이몸은,1936

9.무제,1936

10.향촉,1936

11.조운시조집,1947

12.갓옷 말아 안고,1949

13.석류,1950

14.파초,1950

15.조선창극집,1950

16.인민시인 신재효,1956

17.아브로라의 포성,1957

18.평양판관,1958

19.조운문학전집,1990

관련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검색일(2019.6.15)

학위논문

김선화,(2010),조운 시조 연구, 국내석사

조윤경,(2003),조운 시조의 현대성 연구 = (A) Study on modernity of Cho Un's Sijo,국내석사

정수자,(2001),조운 시조의 미적 특질 연구 = (A)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o-Woon's Sijo,국내석사

학술지

조운수필동인회,(1984),조운수필,朝雲隨筆同人會

국내학술지논문

이동순,(2018),시인 조운과 가족들의 민족운동과 의미 = National Movement with Poet Chowon and His Brothers and Its Significance , Vol.40 No.3 ,401-420(20쪽)

우은진,(2011),조운과 1920년대 현대시조의 형성 = Jo Un and Formation of Modern Sijo in 1920's, Vol.40 No.- , 93-131(39쪽)

최호진,(2016),시조시인 조운의 문예운동과 현실의식 = Cultural Movement and Sense of Reality of Jo Eun, Sijo Poet, Vol.0 No.59, 95-120(26쪽)

관련영상

네트워크 그래프

조운네트워크.PNG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조운 동국대 A는B의 교수이다
조운 추인회 A는 B의 소속이다
조운 석류 A는 B를 집필하였다
조운 불살너주오 A는 B를 집필하였다
조운 박태원 A는 B와 협업하였다
조운 북한 A는 B로 월북하였다

참고문헌

북한문학사전

한국현대문학대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다음백과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