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록집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을유문화사에서 박목월·조지훈·박두진 3인의 시 39편을 수록하여 1946년에 간행한 시집이다. A5판이며, 114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문이나 발문은 없다.

박목월편에 「」·「윤사월(閏四月)」·「청노루」·「나그네」 등 15편, 조지훈편에 「고풍의상(古風衣裳)」·「승무(僧舞)」·「완화삼(玩花衫)」 등 12편, 박두진편에 「묘지송(墓地頌)」·「도봉(道峰)」·「설악부(雪岳賦)」 등 12편으로 모두 39편이 수록되어 있다.

<청록집>이라는 제명은 박목월의 시 「청노루」에서 따온 것이다.

의의와 평가

박목월·조지훈·박두진은 <청록집>을 계기로 하여 ‘청록파(靑鹿派)’라고 불리게 되었으나, <청록집>은 처음부터 동인지나 유파의식을 바탕으로 발행된 것은 아니다. 1930년대 말에서 1940년대 초 사이에 ≪문장≫지를 통하여 데뷔한 여러 시인들 가운데서 광복 직후에 서울에서 만날 수 있었던 세 사람이 모여 발간한 시집인 것이다. 따라서 이 시집에 수록된 시편들은 ≪문장≫ 추천 작품들을 중심으로 하여 엮어졌으며, 자연을 소재로 한 서정시라는 점과 일제말 민족어를 갈고 닦아 이루어진 시라는 점에서 동질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인마다 각기 다른 개성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박목월은 민족 전통의 율조와 회화적인 감각을 바탕으로 향토성이 강한 소재를 형상화시켰다.

조지훈은 사라져 가는 민족정서에 대한 애착과 시선일여의 경지를 관조하는 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동양적이며 전통지향성을 간직한 선비의 기풍을 느낄 수 있다.

박두진은 주로 자연에 대한 친화와 사랑을 보여주고 있는데, 박목월이나 조지훈에 비하여 기독교 사상을 바탕으로 한 정신세계를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청록집>은 광복 이전과 이후를 연결하는 시집으로서, 일제말 암흑기의 어려움을 직접 · 간접으로 표출한 광복 후 최초의 창작시집이라는 뚜렷한 시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청록집』의 출간은 우리 현대 문학사상 중요한 사건의 하나다. 『청록집』출간이 문학사적 사건을 넘어 문화사적 정신사적 의미를 획득하는 핵심은 ‘서정의 상실’에 대한 거부이고 저항에 있다.”
 “모국어에 대한 규범적 모습과 그 본향을『청록집』시편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은 한국어의 행복이고 한국시의 행운이다. 한국시는 이 행운을 지나쳐서는 안 된다. 또한 정통적인 순정한 서정성의 물길이 한국시에 계속 흐를 수 있게 청록파의 시정신을 지켜가야 한다. 그래야 변화하는 한국시의 앞날에 대한 기대를 할 수 있을 것이 아닌가?”

관련 연구

  • 윤신혜(2013).『청록집』에 수록된 시의 특징과 교육적 의의 RISS
  • 박윤주(1972). 청록집 연구  : 초기 청록집 시의 형태적 비교 RISS
  • 이성천(2012). 『청록집』에 나타난 현실 수용 양상과 전통의 문제 RISS
  • 곽효환(2016) 『청록집』에 나타난 이상공간 연구 = A Study of the ideal space in Cheongrokjip RISS

RDF

Domain(A) Range(B) Relation 설명
청록집 박목월 쓰여지다 A는 B에 의해 쓰여졌다.
청록집 조지훈 쓰여지다 A는 B에 의해 쓰여졌다.
청록집 박두진 쓰여지다 A는 B에 의해 쓰여졌다.
청록집 을유문화사 간행되다 A는 B에서 간행되었다.
청록집 1946년 간행되다 A는 B에 간행되었다.
청록집 청노루 수록하다 A는 B를 수록하고 있다.
청록집 나그네 수록하다 A는 B를 수록하고 있다.
청록집 청록파 만들어지게 하다 A는 B를 만들어지게 하였다.


청록집그래프.png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두산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청록집 - yes24

작성자

인문정보콘텐츠(2020)

  • 작성자: 성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