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정의

한옥(韓屋)이란 선사시대부터 이땅에 우리민족 고유의 기술로 지은 건축을 의미한다. 이는 현대건축과 상반되는 개념의 용어이다. 한옥은 한반도와 만주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발전 과정을 거쳐 왔다. 넓은 의미의 한옥은 초가집, 너와집, 기와집 등 한국의 전통 건축물들을 포괄하나 한국에서도 대중적 의미의 한옥은 기와집만을 의미하게 되었다.


한옥소개3.jpeg

저작권 : Klaus314, Wikimedia Commons, Public domain


'한옥'이라는 말이 처음으로 나오는 것은 융희 2년(1907년) 4월 23일에 쓴 '가사에 관한 조복문서'인데, 돈의문에서 배재학당에 이르는 정동길 주변을 기록한 약도에서 이 말이 쓰이고 있다. 당시에는 '주가'(住家)나, '제택'(第宅) 등과 같은 용어가 흔히 쓰였는데, 한옥이라는 낱말은 특수한 상황에서 새로이 등장한 건축물을 가리키는 용어와 같은 맥락에서 쓰이고 있다.


  • 한옥 사진
출처 :저작자 미상, e영상역사관,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 한옥 영상

한옥에 관한 짧은 영상을 볼 수 있다.

1. 농촌여행 대한민국 안동 조형 한옥
영상링크 : 한국저작권위원회, 2016, 공유마당, CC BY

2.한옥산책
영상링크 : 한국문화정보원, 문화포털,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 한옥 평면도

한옥의 초기 형태라고 할 수 있는 사기리 창내 유적 막집 터 평면도를 볼 수 있다.

1.사기리 창내 유적 막집 터 평면도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사기리 창내 유적 막집 터 평면도, 공유마당,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표시]

역사

초기

한옥은 구석기인들의 막집, 신석기시대의 움집을 지나 철기시대에 흙을 구운 기와를 지붕에 얹은 기와집이 등장하게 된다. 이 외에도 삼국시대, 조선시대의 초가집, 너와집 등이 있다.

  • 신석기시대 움집

움집1.png

출처 :한국교육방송공사, 공유마당, CC BY


  • 초막집

막집1.jpg

출처 :한국사진사연구소, 공유마당, CC BY-NC-ND

개화기

1876 (강화도 조약) ~ 1910 (경술국치)

  • 인화문(仁化門)

한옥소개2.jpeg

출처 :Kuylenstierna Alexis, Europeana, CC BY-NC-ND

인화문(仁化門)은 본래 덕수궁의 정문이었는데 대안문(大安門)(현재의 대한문) 주변으로 도로가 나면서 그 기능을 상실했고 그 후 1905년의 화재로 타버렸다.


고택사진3.jpg 고택사진2.jpg 고택사진1.jpg

출처 : 김민정, Public Domain

이 고택(古宅)은 대한제국(大韓帝國 : 1897년~1910년) 시기의 관료로서 광업·금융업·창고업 등에 종사하며 부를 축적해 재력가로도 널리 알려진 최사영(崔思永)이 1906년 마포(麻浦)에 건립한 집의 안채로 추정되는 건물이다.

대한민국

1970년대 이후 현대적 건축을 배운 건축가들이 한옥을 구시대의 잔재인 고루한 건축물과 비효율적인 건축으로 인식하고 헐어 없애면서 많은 역사적 가치가 있는 한옥이 많이 사라졌으나, 2000년대 들어 한옥의 자연친화적 기능과 치유의 효과가 강조되면서 한옥의 가치는 재조명받고 있다.

최근에는 화장실이나 안내문과 같은 공공 시설, 심지어는 카페와 같은 사설 기관에도 한옥이나 한옥 모양을 본떠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한다.

  • 김유정역

김유정역1 (2).jpg 김유정역1 (1).jpg

출처 : 김민정, Public Domain


지하철 경춘선 강촌역과 남춘천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역사가 한옥 형태인 것을 볼 수 있다.

참고사이트

대표적인 한옥 명소

북촌 한옥마을

북촌한옥마을3.jpg

출처 : 공유마당[1], CC BY-NC-ND

  • 소개- 종로에 위치한 북촌한옥마을은 외국인들에게 인기많은 관광지 중 하나이다. 조선시대 양반층의 거주지로 경복궁과 창덕궁, 종묘 사이에 위치한 전통한옥이 밀집되어 있는 서울의 대표적인 전통 주거지역이다. 청계천과 종로의 윗동네라는 것에서 유래하여 '북촌'으로 불리게 되었다. 현재는 경복궁과 마주하고 있는 삼청동길 주변에 많은 갤러리가 늘어서 있고, 화동길과 더불어 각종 먹거리 자원과 특색있는 카페가 자리잡고 있으며, 원서동에는 전통 기능의 보유자 및 예술인들이 모여 살고 있다.
출처 서울한옥포털 [[2]
위치 서울 종로구 계동길 37
지리적 정보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 삼청동 내의 한옥 밀집지역을 칭한다.
허용 시간 10:00 ~17:00(주중,토) / 일 : 골목길 쉬는 날
지도를 불러오는 중...

전주 한옥마을

전주한옥마을.jpg

출처 : 공유마당[3], CC BY-NC-ND

  • 소개- 국내 관광지로 인기가 높은 전주 한옥마을은 교통이 편리하고 지리적으로 치우치지 않아 인기가 많은 관광지 중 하나이다. 전주한옥마을은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세력 확장에 대한 반발로 한국인들이 교동과 풍남동 일대에 근대식 한옥들을 짓기 시작하면서 발전했다. 해방 이후 교육의 거점이 되면서 많은 학교들이 주변에 생기게 되었다. 이후 2000년 대 후반, 전주시에서 관광지로 정비하면서 한옥신축 등 대거 정비하면서 깔끔하고 세련된 현대식 한옥들이 즐비하게 되었다. 이후 SNS에서 인기를 끌면서 2018년 방문객 천만 명이 방문 하였다.
출처 전주시청 공공누리 제4유형[[4]
위치 전북 전주시 완산구 교동 69-1
지리적 정보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교동, 풍남동 일대에 위치한 한옥 밀집거리
허용 시간 허용시간 : 매일 00:00 - 24:00
지도를 불러오는 중...

익선동 한옥마을

익선동한옥마을2.jpg

출처 : 내 손안에 서울[5], CC BY-NC-ND

  • 소개- 익선동은 종묘와 운현궁, 창덕궁으로 둘러싸여 있는 사대문 안 핵심지역으로, 지리적으로 종로구 정중앙에 위치해 있다. 조선시대 정치·행정의 중심지였던 익선동 일대는 일제강점기에 노선상업지역으로, 70년에는 서울시 도시계획으로 도심부 전체가 상업지역으로 용도지정 되면서 다양한 풍류문화와 연계한 업종들이 들어섰던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지 역할을 했었다. 2014 재개발이 무산되면서 남아 있던 한옥을 개조한 카페, 빈티지샵 등 다양한 가게들이 들어서고 상권이 활성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출처 서울한옥포털 [[6]
위치 서울 종로구 익선동
지리적 정보 익선동은 종묘와 운현궁을 비롯해 261년간 조선의 정궁으로 사용된 창덕궁으로 둘러싸여 있는 사대문 안 핵심지역으로, 지리적으로도 종로구 정중앙에 위치
허용 시간 허용시간 : 매일 00:00 - 24:00
지도를 불러오는 중...

성북구 한옥단지

앵두마을

앵두마을 1.jpg[[7]] 서울한옥포털


  • 소개: 성북동 앵두마을은 서울 사대문 밖에서 처음으로 지정된 한옥밀집지역 중의 하나이며,

서울특별시 한옥 보전 및 진흥에 관한 조례 제2조제2호의 규정(한옥밀집지역 확대지정(2014.12)에 의하여 한옥밀집지역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성북동은 계곡마을로 예부터 맑은 시냇물이 흐르고 수석이 어울린 산자수명 마을로 복숭아, 앵두나무가 많아서 사람들의 사랑을 많이 받아온 곳이다.

지금도 성북파출소 근처는 성북동 내 ‘앵두마을’로 불리고 있다.


출처 공공누리 제1유형[[8]]
분류 한옥밀집지역
수량(한옥/비한옥)/면적 207동(38/169), 31,245㎡
지정(등록)일 14.12.26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동1가 105-11 (성북로5길 29-19) 일대
한옥의 비율 22.5%
  • 현황: 앵두마을 한옥밀집지역의 면적은 31,245㎡이다. 한옥 38동, 비한옥 169동이 위치하고 있으며 한옥의 비율은 22.5%이다.

앵두마을의 한옥 38동은 가 등급 10동, 나 등급 6동, 다 등급 22동으로 구분된다.


지도를 불러오는 중...

참고사이트

  • 성북구청 : http://sb.go.kr/ (성북구에서 저작권재산의 전부를 보유하고 있거나 자유이용허락표시에 대한 권리자의 동의를 받은 경우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표시기준(공공누리, KOGL)"을 부착하여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
  • 서울한옥포털 : http://hanok.seoul.go.kr/front/index.do (서울특별시가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 공공누리 1유형 부착 자료)
  • 서울정보소통광장 : http://opengov.seoul.go.kr/public/4078415 (CC BY,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 성북구청 공식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orysb (게시글 별로 CCL 마크 부착되어 있음 BY-NC-ND)

선잠단지

선잠단지.jpg 저작자 : 국가문화유산포탈, 공공누리 4유형


  • 소개 : 서울 선잠단지(서울 先蠶壇址)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에 있는 조선시대에 중국 고대 황제의 황비 서릉씨를 누에신(잠신蠶神)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83호로 지정되었다. 면적 528평의 국유지이다. 누에치기를 처음 했다는 중국 고대 황제의 황비 서릉씨를 누에신(잠신蠶神)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이 단은 고려 성종 2년(983)에 처음 쌓은 것으로, 단의 앞쪽 끝에 뽕나무를 심고 궁중의 잠실(蠶室)에서 누에를 키우게 하였다. 세종대왕은 누에를 키우는 일을 크게 장려했는데, 각 도마다 좋은 장소를 골라 뽕나무를 심도록 하였으며, 한 곳 이상의 잠실을 지어 누에를 키우도록 하였다. 그러다가 중종 원년(1506)에는 여러 도에 있는 잠실을 서울 근처로 모이도록 하였는데 지금의 강남 잠실이 바로 옛 잠실들이 모여 있던 곳이다. 선잠단의 설치 이후 매년 3월에 제사를 지내다가 1908년 잠신이 의지할 자리인 신위를 사직단으로 옮기면서 지금은 그 터만이 남게 되었다.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9]]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제사유적 / 제사터
수량/면적 1,475㎡
지정(등록)일 1963.01.21
소재지 서울 성북구 성북동 64-1번지
시대 조선시대
관리자(관리단체) 성북구

문화재로 지정된 성북구의 한옥

사적

  • 만해 한용운 심우장 : 사적 제550호

사적심우장.jpg

출처 : 국가문화유산포털[[10]] 공공누리 제1유형

1984년 7월 5일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7호로 지정되었다가 2019년 4월 8일 지정해제 되고 사적 제550호로 지정되었다.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11]]
분류 등록문화재
수량/면적 1동, 88.6㎡(보호구역386.4㎡)
지정(등록)일 2019.04.08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29길 24 (성북동, 만해 한용운 심우장)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성북구
관리자(관리단체)

시도민속문화재

  • 장교동 한규설 가옥 :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7호

한규설대감가.jpg

출처 : 국가문화유산포털[[12]]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13]]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건물 8棟, 토지 403.5㎡
지정(등록)일 1977.03.17
소재지 서울 성북구 정릉3동 855-2번지 국민대학교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국민대학교
  • 성북동 이종석 별장 :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10호

이재준가.jpg

출처 : 국가문화유산포털[[14]]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15]]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건물 2棟, 토지 234.5㎡
지정(등록)일 1977.03.17
소재지 서울 성북구 성북로 지하 131 (성북동)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대한예수교장로회덕수교회
  • 상허 이태준 가옥 :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11호

이태준가옥.jpg

출처 : 국가문화유산포털[[16]]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17]]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건물 1棟, 토지 126.8㎡
지정(등록)일 1977.03.17
소재지 서울성북구 성북로26길 8 (성북동)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내용
관리자(관리단체) 내용
  • 장위동 김진흥 가옥 :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25호

김진흥가.jpg

출처 : 국가문화유산포털[[18]]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19]]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건물 3棟, 토지 778.8㎡
지정(등록)일 1977.09.05
소재지 서울 성북구 돌곶이로34길 4-11 (장위동)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김진흥

문화재자료

최사영고택.jpg

출처 : 국가문화유산포털[[20]]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21]]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건물 1棟, 토지 153㎡
지정(등록)일 2007.05.30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9-21
시대 대한제국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등록문화재

  • 서울 돈암장 : 등록문화재 제91호

돈암장대문.JPG

출처 : 국가문화유산포털[[22]]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23]]
분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인물기념시설
수량/면적 1동(한옥 본채) 건축면적 155.17㎡
지정(등록)일 2004.09.04
소재지 서울 성북구 동소문로3길 84 (동소문동4가)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자(소유단체) 김***
관리자(관리단체) 내용
  • 서울 성북동 최순우 가옥 : 등록문화재 제268호

최순우옛집.jpg

출처 : 국가문화유산포털[[24]]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25]]
분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인물기념시설
수량/면적 2동(1층) 연면적 안채 62.46㎡, 바깥채 39.46㎡
지정(등록)일 2006.09.19
소재지 서울 성북구 성북로15길 9, , 128-18 (성북동)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자(소유단체) 재***
관리자(관리단체) 재***


지도를 불러오는 중...

참고사이트

  • 성북구청 : http://sb.go.kr/ (성북구에서 저작권재산의 전부를 보유하고 있거나 자유이용허락표시에 대한 권리자의 동의를 받은 경우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표시기준(공공누리, KOGL)"을 부착하여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
  • 서울한옥포털 : http://hanok.seoul.go.kr/front/index.do (서울특별시가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 공공누리 1유형 부착 자료)
  •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C%98%A5 (CC BY-SA)
  • 서울정보소통광장 : http://opengov.seoul.go.kr/public/4078415 (CC BY,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 성북구청 공식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orysb (게시글 별로 CCL 마크 부착되어 있음 BY-NC-ND)

등록문화재

  • 서울 돈암장 : 등록문화재 제91호

돈암장대문.JPG[[26]]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27]]
분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인물기념시설
수량/면적 1동(한옥 본채) 건축면적 155.17㎡
지정(등록)일 2004.09.04
소재지 서울 성북구 동소문로3길 84 (동소문동4가)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자(소유단체) 김***
관리자(관리단체) 내용
  • 서울 성북동 최순우 가옥 : 등록문화재 제268호

최순우옛집.jpg[[28]]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29]]
분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인물기념시설
수량/면적 2동(1층) 연면적 안채 62.46㎡, 바깥채 39.46㎡
지정(등록)일 2006.09.19
소재지 서울 성북구 성북로15길 9, , 128-18 (성북동)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자(소유단체) 재***
관리자(관리단체) 재***


지도를 불러오는 중...

참고사이트

  • 성북구청 : http://sb.go.kr/ (성북구에서 저작권재산의 전부를 보유하고 있거나 자유이용허락표시에 대한 권리자의 동의를 받은 경우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표시기준(공공누리, KOGL)"을 부착하여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
  • 서울한옥포털 : http://hanok.seoul.go.kr/front/index.do (서울특별시가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 공공누리 1유형 부착 자료)
  •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C%98%A5 (CC BY-SA)
  • 서울정보소통광장 : http://opengov.seoul.go.kr/public/4078415 (CC BY,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 성북구청 공식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orysb (게시글 별로 CCL 마크 부착되어 있음 BY-NC-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