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무집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허무집.png
 강은교 시인의 첫 시집으로, 1971년에 70년대 동인회에서 300부 한정판으로 출간되었다. 1968년, '사상계' 신인상으로 등단한 이후 2,3년간 집중적으로 시를 써서 첫 시집을 상재한다. 임정남, 정희성, 윤후명, 강은교 등이 참여한 시집으로써, 대표작 가운데 하나로 뽑히는 '자전' 연작시를 비롯한 초기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제목부터 "허무집"이듯 이 시집은 존재론적 고독과 허무를 집중적인 주제로 삼은 시집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제목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를 '허무의 시인'이라고 명명하게 되는 첫 출발점을 이룬다. 그의 초기 시편들을 두고 허무와 고독이 깊이 침윤된 존재 탐구의 세계로 해석하는 관행은 이 시집으로부터 발원한 것이다. 그는 스스로 그 서문에서 "내 서투른 허무의 말들을" 읽어 달라고 요구했는데, 그만큼 그는 이 시집에서 "허무"라는 개념에 풍부하고도 개성적인 시적 상상력을 부여하였고, 나아가 '고독'이나 '사랑'에 대해서도 신선하고 충격적인 시적 재해석을 시도하였다. 그래서 이 시집은 허무와 생명 의식을 통해 삶의 근원적 존재 원리를 탐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거기에 작고 하찮은 사물들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보태면 강은교 초기시를 설명하는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가 허무의 사물과 삶에 대한 인식이 심화될 수 있었던 계기 중 하나로 뇌종양 병고에 있었다는 의견도 있다고 한다.

대표작 소개

자전1

  • 자전1

날이 저문다

먼 곳에서 빈 뜰이 넘어진다

무한천공 바람 겹겹이

사람은 혼자 펄럭이고

조금씩 파도치는 거리의 집들

끝까지 남아있는 햇빛 하나가

어딜까 어딜까 도시를 끌고 간다.


날이 저문다

날마다 우리나라에

아름다운 여자들은 떨어져 쌓인다

잠 속에서도 빨리빨리 걸으며

침상 밖으로 흩어지는

모래는 끝없고

한 겹씩 벗겨지는 생사의

저 캄캄한 수세기를 향하여

아무도 자기의 살을 감출 수는 없다.


집이 흐느낀다

날이 저문다

바람에 같혀

일평생이 낙과처럼 흔들린다

높은 지붕마다 남몰래 하늘의 넓은 시계 소리를 걸어놓으며

광야에 쌓이는

아, 아름다운 모래의 여자들

부서지면서 우리는 가장 긴 그림자를 뒤에 남겼다.


자전1 설명 및 평가

 "허무집"의 '자전1'은 삭막하고 횡량한 내면 풍경을 잘 드러내주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도회지의 스산한 황혼녘에, 화자는 한계 상황에 맞선 죽음의 도시 한 가운데 서 있는 듯 한 시이다. 60년대 4.19 혁명에서 비롯된 정치적 격동의 현장에서  구조적으로 내재된 폭력의 긴장 관계를 직접적으로 체험하며 인간을 억압하는 공포에 질린 인간으로서의 자신을 발견한 듯하다.

우리가 물이 되어

  • 우리가 물이 되어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가문 어느 집에선들 좋아하지 않으랴.

우리가 키 큰 나무와 함께 서서

우르르 우르르 비오는 소리로 흐른다면.


흐르고 흘러서 저물녘엔

저 혼자 깊어지는 강물에 누워

죽은 나무뿌리를 적시기도 한다면.

아아, 아직 처녀인

부끄러운 바다에 닿는다면.


그러나 지금 우리는

불로 만나려 한다.

벌써 숯이 된 뼈 하나가

세상에 불타는 것들을 쓰다듬고 있나니


만리 밖에서 기다리는 그대여

저 불 지난 뒤에

흐르는 물로 만나자.

푸시시 푸시시 불 꺼지는 소리로 말하면서

올 때는 인적 그친

넓고 깨끗한 하늘로 오라.


우리가 물이 되어 설명 및 평가

 강은교의 시세계에서 볼 수 있는 초기의 허무주의적 경향은 1980년대 이후 일상적 삶에 대한 관심과 함께 보다 긍정적인 관점으로 삶을 바라보는 태도로 전환한다. 이 작품은 이같은 시적 변화의 과정을 통해 도달하고 있는 너그럽고도 포근한 정서를 기반으로 삶에 대한 사랑의 깊은 의미를 노래하고 있다. 이 작품은 전체 4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연부터 제2연까지는 물이라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우리들의 만남을 희구한다. 여기서 물은 생명이며 축복이다. 죽은 나무를 적시며 강물을 이루고 바다로 나가는 물이 된다는 것은 생의 궁극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3연에서는 시상이 전환된다. 여기서는 물의 화해로움과 사랑의 의미 대신에 불의 이미지로 이루어진 현실적인 투쟁적 만남이 문제시된다. 불은 파괴이며 징벌이며 죽음이다. 불의 만남은 열정적인 승화라기보다는 생명이 없는 숯으로 남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시인은 제4연에서 불의 고통과 번뇌와 파괴와 죽음을 모두 넘어선 다음에 다시 물로 만나기를 희구한다. 이것은 삶에 대한 긍정이면서 동시에 강한 희망이라고 할 수 있다.

관련 영상

  • 강은교 - 자전1

  • 강은교 - 우리가 물이 되어 (1986)

RDF 및 온톨로지

RDF

항목A 항목B 관계
강은교 허무집 (A)가 (B)를 편찬하다
강은교 허무집 (A)는 (B)와 관계가 있다
허무집 우리가물이되어 (A)가 (B)를 수록하다
허무집 자전1 (A)가 (B)를 수록하다

온톨로지

허무집 온톨로지.png

허무집 평가

 이 시집은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바라본 존재론적 심연을 내용으로 삼고 있다. 존재의 근원과 비의를 찾기 위해 시인은 어둡고 깊은 허무의 세계로 침잠한다. 삶과 죽음의 이미지가 어지럽게 교차하는 이 시집은 뿌리에서 나서 뿌리로 돌아가는 생명의 원리와 재생의 역동적인 여정을 그려낸다. 허무의 뿌리까지 내려간 시인은 생과 사가 맞물려 순환하는 드넓은 생명의 장을 발견하며 이를 보편적인 운명과 생명의 원리로 파악하게 된다. 그래서 이 시집은 죽음과 생명의 신비를 동시에 탐색하고 존재론적인 허무와 어둠을 형상화하는 강은교 시의 첫 출발점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네이버 카페 - 강은교

네이버 블로그 - 허무집

다음 블로그 - 허무집

네이버 블로그 - 허무집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