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토기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황토기


개요

황토기』(1939)를 집필한 김동리

김동리(金東里)가 지은 단편소설.

1939년 5월『문장(文章)』 제4호에 발표되었으며, 1949년 수선사인간사에서 김동리의 여러 단편소설을 묶어『황토기』를 간행하였으며, 이후 1959년 인간사에서『황토기』증보초판을 간행하였다. 우리의 구전적인 설화에 자주 등장하고 있는 절맥(絶脈)의 모티프(motif) 또는 상룡(傷龍)의 모티프 등 지역창조의 연기설화(緣起說話)를 전경(前景)으로 한 가운데, 이와 병렬하여 중심이야기를 제시함으로써 설화소설의 유기성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작품 초두에는 용이 등천의 기회를 놓치고 굴러 떨어져 흘린 피요, 혈을 찔려 맥이 끊어진 산이 흘린 피로 이루어졌다는 상룡설(傷龍說) 및 절맥설(絶脈說)의 황토골 유래로써, 추락과 저주 및 거세의 함축적 의미를 제시한다. 이러한 전락과 하강 및 거세의 숙명을 상속받은 황토골에서 억쇠득보라는 두 사람의 장사가 무모한 힘겨룸을 벌인다.


줄거리

억쇠는 원래 황토골의 타고난 장사이지만, 장사가 나면 불길한 조짐이라는 마을 사람들의 속신(俗信)과 아버지의 경고 때문에, 힘을 써보고 싶은 충동은 항상 느끼나 좀처럼 힘을 써보지 못한 채, 한번 힘을 제대로 쓸 날을 기다리며 시간을 허송한다. 분이의 주막에서 술 마시는 것으로 소일하던 어느 날, 억쇠득보라는 또 다른 장사를 만나 분이와 더불어 살게 되며, 분이를 트집 잡아 이들은 싸움을 벌이게 된다. 그 뒤 억쇠가 얌전한 설희를 들여앉히자 설희에게 마음을 둔 득보는 다시 억쇠와 격렬한 몸싸움을 벌인다. 그런데 이를 질투하던 분이설희를 죽이고 득보마저 찌른 채 달아나버리자, 득보는 수척한 몸으로 분이를 찾아 떠난다. 얼마 뒤 득보분이와의 사이에 낳은 딸만을 데리고 돌아오자, 이들은 이제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큰 싸움을 향하여 용냇가로 내려간다.

등장인물

* 억쇠
* 득보
* 분이
* 설희

의의와 평가

황토기의 초두에 제시된 설화추락·저주·거세라는 이 작품 내용의 전경적인 결구나 주제의 암시를 의미할 뿐 아니라, 구원희생이 아닌 저주받은 피의 상속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것은 흔히 김동리 문학에 전제되어 있는 원초적인 경험의 틀이다. 치솟는 힘을 바르게 써보지 못하고 있는 억쇠의 삶과 유랑의 삶을 사는 득보의 편력, 그들이 벌이는 무모한 힘겨룸의 이야기는 어떻게 보면 전설적인 만담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작품의 초두에서 밝힌 절맥설의 틀과 유기화시켜 볼 경우, 저주받은 운명의 땅인 우리나라의 상황을 상징화한 작품이라고도 해석된다.

작가는 서두에서 황토골의 세 가지 전설을 소개하고 있다. 상룡설(傷龍說), 쌍룡설(雙龍說), 절맥설(絶脈說)이 그것이다. 이 세 개의 전설은 주인공인 억쇠의 운명에 암시적인 조명을 던져 준다.

첫 번째 상룡설(傷龍說)의 황룡 한 쌍은 승천시에 바윗돌을 맞아 출혈한다. 이것은 황토골 장사인 억쇠의 비극적 좌절을 암시한다. 두 번째 쌍룡설(雙龍說)에선 황룡 한 쌍이 승천 전야에 '잠자리를 삼가지 않아' 여의주를 잃게 된다. 즉, 이 황룡의 좌절은 성(性)의 불근신(不謹愼)이 그 원인이었다. 억쇠의 생애를 두고 비장된 정력이 득보와의 무모한 싸움에서 소비된다는 것은 성(性)의 무절제로 좌절하는 황룡의 운명과 비슷한 것이다. 세 번째의 절맥설(絶脈說) 역시 억쇠의 좌절을 암시하지만 이것은 좀더 구체적이다. 장사가 날 곳에서 이미 당나라의 장수가 와서 혈(穴)을 찔렀으니 독수리가 날개를 찢기운 것이나 다름없다. 억쇠가 단순한 불세출(不世出)의 장사로 그치고 만다는 사실을 이 절맥설(絶脈說)이 구체적으로 시사(示唆)하고 있는 것이다.

주인공 억쇠는 '나라에서 안다'는 황토골 장사를 구현하고 있는 인물이다. 그가 불세출의 장사로 남아 있다는 사실, 그리고 힘을 쓸 날을 기다리며 헛되이 청장년 시절을 보냈다는 사실은, 그 자체가 가슴에 불을 간직한 억쇠에게는 허무한 일이다. 그러나 더욱 허무한 것은 억쇠의 허무 의식과 이에 따른 자포자기적인 정력 처리 방식이다. 사실 억쇠득보의 기묘한 우정(?)의 성립도 득보가 기운이 엄청나게 세다는 데서 비롯한다. 그것은 억쇠가 막연하나마 운명의 공감대를 느낀 것, 또 자기의 정력 처리의 적수를 만났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최초의 상봉에서 억쇠는 '문득 자기의 몸이 공중으로 스스로 떠오르는 듯한 즐거움'을 느끼며 그(득보)의 멱살을 놓았던 것이다. 천변(川邊)에서의 무승부 격투는 외관상 치정적 양상을 띠고 있지만, 억쇠에게는 좀더 근본적인 것으로 일종의 자포자기적 정력 처리였다. 격투에서 짐짓 수세를 취하면서 자기의 전 체력을 발휘하지 않는 것도 그것이 허무감에서 빚어진 태도이기 때문이었다. 그가 격투 중 주먹 세례를 연거푸 받으면서도 그저 흥소(興笑)를 터뜨리는 것도 자기가 비장해 왔던 힘의 무상성(無常性), 그리고 득보를 겨우 적수로 삼고 있다는 허무감이 주는 허탈 의식, 그리고 득보 같은 위인은 도저히 자기의 참다운 적수일 수가 없다는 공허감에서 터져 나온 흥소였던 것이다. 득보가 척상(脊傷)을 입었을 때 억쇠가 '죽든 않겠나, 죽든…'하고 진정으로 걱정하는 것도 득보를 잃음으로써 이러한 허무주의적 감정을 제공하는 자를 잃을까 두려워 했기 때문이었다.

억쇠와 득보의 허무한 격투, 치솟는 힘을 바르게 써 보지 못하는 억쇠의 아픔은, 쌍룡설(雙龍說) 및 절맥설(絶脈說)과 연관되면서 한국인이 지닌 운명론적 비극성을 강렬한 허무주의로 채색하고 있다

출판 및 기타 정보

*출판: 『문장(文章)』 제4호. (1939).
*영화: 《황토기(黃土記)》.(1979). 조문진 감독. 이진모각본.

영화 정보

《황토기(黃土記), 1979》

《황토기(黃土記), 1979》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황토기 김동리 A는 B에 만들어졌다(P)
황토기 1939 A는 B에 만들어졌다(P)
황토기(영화) 조문진 A는 B에 만들어졌다(P)
황토기(영화) 1979 A는 B에 만들어졌다(P)
황토기(영화) 황토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영화화)(P)
황토기 설화 A는 B의 성격을 띄고있다(P)
황토기 소설 A는 B의 성격을 띄고있다(P)
황토기(영화) 영화 A는 B의 성격을 띄고있다(P)
황토기 현대문학 A는 B에 해당한다(P)
황토기 단편소설 A는 B에 해당한다(P)
황토기 일제강점기소설 A는 B에 해당한다(P)
억쇠 황토기 A는 B에 등장한다(P)
억쇠 득보 A는 B와 싸운다(P)
억쇠 분이 A는 B를 사랑한다(P)
억쇠 설희 A는 B를 사랑한다(P)
득보 황토기 A는 B에 등장한다(P)
득보 억쇠 A는 B와 싸운다(P)
득보 분이 A는 B를 사랑한다(P)
득보 설희 A는 B를 사랑한다(P)
분이 황토기 A는 B에 등장한다(P)
분이 억쇠 A는 B를 사랑한다(P)
분이 득보 A는 B를 사랑한다(P)
분이 설희 A는 B를 죽인다(P)
설희 황토기 A는 B에 등장한다(P)
설희 억쇠 A는 B를 사랑한다(P)
설희 득보 A는 B를 사랑한다(P)

네트워크 그래프

YellowVillage.PNG

참고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황토기)

네이버 영화(황토기)

한국현대소설사(이재선, 홍성사, 1979)

「동리문학연구」(백철 외,『서라벌문학』8,서라벌예술대학,1973)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오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