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배경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국토의 분단

미·소의 분할 주둔

제2차 세계대전이 진행 중이던 1943년 11월 27일 미국, 영국, 중극 등 3개국 정상이 참석한 카이로 회담에서 우리나라는 일본으로부터의 독립을 약속받게 된다. 그러나 일본군의 항복과 무장해제를 명목으로 미국은 북위 38도선을 설정하여 이북지역은 소련군이, 이남지역에는 미국이 분할 주둔하게 된다.

미·소의 대립

제2차 세계대전기에 협조적이었던 미국과 소련은 대립하기 시작했고, 정치가들 사이에서도 이념적 대립이 생겼다. 당시 미국은 38도선 조치는 일본군 무장해제 등 전후처리를 위한 군사적인 조치였으며 잠정적 경계로 생각했다. 그러나 소련은 달랐다, 만주와 한반도를 겨냥한 소련군은 진격을 계속하여 8월 13일 청진에, 22일 평양에 각각 도달하였으며 8월 말에는 이미 북한 전역을 장악하였다. 그들은 이미 38도선을 정치적인 구획선으로 인식하고 정치적인 행보를 걷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소련은 남북간 왕래와 일체의 통신연락을 단절시키고 통일정부수립을 거부함으로써 한반도의 반영구적 정치적 분단을 강요했다. 한반도 통일을 시도했던 미국도 소련의 합의에 빈번히 실패하자 ‘단일정부 수립’이라는 성급한 정책으로 방향을 틀었다.

38선.jpg

▲ 6·25전쟁 전 38선 표지판.

출처 : 인천일보(http://www.incheonilbo.com)

남·북한 정부의 수립

1948년 5월 10일 38선 이남 지역에서는 UN감시 하에 자유 총선거가 실시되어 제헌국회가 구성되었으며, 북한 지역에서는 1948년 9월 9일 이른바 ‘흑백선서’에 의해 독자적 공산정권인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이 들어서게 된다. 결국 한반도에 두 개의 체재가 들어서게 되었고 두 체제가 한반도에서 함께 양립하기는 어려웠다. 또한, 두 체재의 이념이 달랐기에 분단으로 인한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소련과 미국의 지원 차이

소련의 적극적 북한 지원

소련의 북한 진주는 처음부터 한반도의 분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우선 38도선 이북에 장차 한반도의 적화통일과 남진정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강력한 군사기지를 확보하고, 시기가 성숙할 때까지 전력을 비축하려는 공산기지화 정책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었다. 소련은 북한에 최신 소련장비로 무장한 인민군을 창설하는 등 적화전략을 수행하기 위한 체제와 무력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1949년 8월 소련의 원자폭탄 실험과 10월의 중국대륙의 공산화는 자연스럽게 한반도의 공산화라는 과제로 이행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스탈린은 1949년 3월 모스크바를 방문한 김일성과 함께 회의를 개최하고 북한군의 전력화를 구체화하였으며, 그 이듬해인 1950년 4월 또다시 비밀리에 모스크바를 방문한 김일성과 함께 남침계획을 구체화하였다.

미국의 소극적 한국 지원

미국은 종전 후 국방예산의 감축과 미군의 감군으로 지상병력의 부족을 겪게 되자 1947년 5월부터 주한미군의 철수를 검토하기 시작했으며, 남한과 북한 정부 수립 이후 북한과 소련 측이 한반도에서의 외국군 철수를 제기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한반도에서 철군을 이행하게 되었다. 한반도에서 미군 철수 후 남·북한 간의 군사적인 불균형과 북한의 남침징후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오히려 이승만 대통령의 북침 가능성을 우려하여 한국군의 증강과 군사 원조에 매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는 북한의 군사력을 현저하게 증강시킨 소련의 군사정책과는 대조적이었다.

6.25 전쟁 발발

1950년 6월 25일 새벽4시 선제타격작전 계획에 따라 38도선 전 전선에 걸쳐 북한의 남침으로 6.25전쟁이 발발하였다. 6.25 전쟁은 북한군이 소련고문단과 함께 작성한 작전계획에 따라 남침함으로써 북한군 대 한국군의 전쟁으로 시작되었다.

창의적이조 6.25 전쟁

출처

국가기록원 http://theme.archives.go.kr/next/625/warBackground03.do

동북아역사넷 http://contents.nahf.or.kr/item/item.do?levelId=edeah.d_0006_0020_0020_0010

대한민국역사박물관 https://www.much.go.kr/L/AQkhKt2MH3.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