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주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1번째 줄: 1번째 줄:
  
 
==정의==
 
==정의==
경험적인 현실을 유일한 세계, 가치, 방법으로 인식하려는 문예사조(예술사조)이다.
+
경험적인 현실을 유일한 세계, 가치, 방법으로 인식하려는 문학 및 예술사조이다.
 
 
 
 
  
 
==내용==
 
==내용==

2018년 6월 20일 (수) 09:07 판

정의

경험적인 현실을 유일한 세계, 가치, 방법으로 인식하려는 문학 및 예술사조이다.

내용

사실주의(또는 현실주의)는 res(실물)에 어원을 둔 realism의 역어이다. 경험적인 현실 외의 이상적·초월적 세계의 존재 증거가 없다고 보는 일원론적 세계관에서 진리나 진실, 미학적 가치, 예술창작의 방법 등을 뭉뚱그려 통칭한다.


개인주의에 의거한 채 사회의 미래에 대한 전망의 결여라는 점에서,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결부된 문학사조라기보다는 그것의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1922년 무렵부터 사실주의와 자연주의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사회적 관점을 도입하고 이념으로서 리얼리즘을 탐구하기 시작한다.


≪현대문학≫이나 ≪월간문학≫을 압도한 듯한 ≪창작과 비평≫(1966)의 창간도 한국 리얼리즘 성장에 기여한다. 특권층의 부패 풍자(김지하, <五賊>, 사상계, 1970.5.), 변두리 노동자들의 생태(황석영, <객지>, 1974) 등 산업화로 1970년대 계층사회의 모순 인식은 바로 모순의 근원에 대한 질문을 심화시킨다.

일제 식민지시대의 리얼리즘, 특히 변증법적 리얼리즘과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경우, ① 실천(창작)보다 왕성한 이론이 앞섰고, ② 소련의 경우에는 사회주의 체제를 어느 정도 갖춘 현실사회를 기반으로 한 점, 당(공산당)과 단체(라프, 소련작가동맹)와 작가와의 3중 연결로 묶여 있는 점이 지적될 수 있으나 한국의 경우에는 그런 연대가 없고, ③ 일본을 매개로 수입된 복사(複寫) 이론의 공소성을 면할 수 없다. 광복 후, 특히 6·25 이후 사회현실 및 문학사조의 양극구도에서 자생적 리얼리즘으로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사실주의 문학

지나친 공상이나 이상을 추구하는 낭만주의에 반발하면서, 자연 환경과 삶의 모습을 객관적인 상태 그대로 나타내려는 문학적 경향.

19세기 후반 낭만주의는 지나친 이상주의에 빠져 있거나, 퇴폐적이고 허무주의적인 모습을 띄었다. 이러한 낭만주의에 반발하면서 등장한 것이 '사실주의'이다. '사실주의 문학'에서는 아무리 부정적이라 할지라도 현실을 과장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것을 바탕으로 삼고 있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사실주의 차범석 영향을 주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대교학습백과

작성자 및 기여자

임예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