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화 관련 연구 자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단행본=== <gallery> 파일:이상화_단행본0.jpg|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시집. 서울: 창작시대사, 2011. 파일:이상화_단행본1.jpg|빼...)
 
(개요)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2010년 이후로 발행된 단행본 중에서 읽을 거리를 선정 및
 +
학술 논문은 2022년 기준 5개년치의 자료를 최신순으로 나열하였다.
 +
 
===단행본===
 
===단행본===
  
12번째 줄: 16번째 줄:
  
 
</gallery>
 
</gallery>
 +
  
 
===학술 논문===
 
===학술 논문===
이상화 시의 대종교 미학.한국근대문학연구,22(1),237-274.홍승진.(202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1497 이상화 시의 대종교 미학.한국근대문학연구,22(1),237-274.홍승진.(2021).]
  
이상화의 시 세계에 나타난 생명 회복 공간으로서의 ‘조선’.종교연구,81(1),177-199.유신지.(202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08881 이상화의 시 세계에 나타난 생명 회복 공간으로서의 ‘조선’.종교연구,81(1),177-199.유신지.(2021).]
  
이상화 시의 시어 양상 연구.한국시학연구,(64),9-30.박순원.(202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51573 이상화 시의 시어 양상 연구.한국시학연구,(64),9-30.박순원.(2020).]
  
이상화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의 양상.한국시학연구,(64),31-64.배선미.(202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51571 이상화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의 양상.한국시학연구,(64),31-64.배선미.(2020).]
  
이상화의 시에서 ‘생명(生命)’ -대정(大正)기 일본의 생명주의와 관련하여-.한국문학과 예술,30(),289-317.유병관.(2019).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79162 이상화의 시에서 ‘생명(生命)’ -대정(大正)기 일본의 생명주의와 관련하여-.한국문학과 예술,30(),289-317.유병관.(2019).]
  
이상화와 보들레르의 비교문학적 고찰 - 죽음의 문제를 중심으로.인문학연구,31(),163-205.김용민.(2019).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80737 이상화와 보들레르의 비교문학적 고찰 - 죽음의 문제를 중심으로.인문학연구,31(),163-205.김용민.(2019).]
  
이상화 시에 나타난 트라우마와 죽음충동.現代文學理論硏究 0.73:127-146.박한라.(2018).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60562 이상화 시에 나타난 트라우마와 죽음충동.現代文學理論硏究 0.73:127-146.박한라.(2018).]
  
이상화 시에서 드러난 남성 화자의 자기분열: 「그의 수줍은 연인에게」와 「어느 마돈나에게」와의 비 교를 중심으로." 比較文學 0.76:5-32.김한성.(2018).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98901 이상화 시에서 드러난 남성 화자의 자기분열: 「그의 수줍은 연인에게」와 「어느 마돈나에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比較文學 0.76:5-32.김한성.(2018).]
  
이상화 문학에 나타난 시적 상상력의 근원 연구.어문론총 74.301-329.유신지,여상임.(2017).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04228 이상화 문학에 나타난 시적 상상력의 근원 연구.어문론총 74.301-329.유신지,여상임.(2017).]

2022년 6월 12일 (일) 01:10 기준 최신판

개요

2010년 이후로 발행된 단행본 중에서 읽을 거리를 선정 및 학술 논문은 2022년 기준 5개년치의 자료를 최신순으로 나열하였다.

단행본


학술 논문

이상화 시의 대종교 미학.한국근대문학연구,22(1),237-274.홍승진.(2021).

이상화의 시 세계에 나타난 생명 회복 공간으로서의 ‘조선’.종교연구,81(1),177-199.유신지.(2021).

이상화 시의 시어 양상 연구.한국시학연구,(64),9-30.박순원.(2020).

이상화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의 양상.한국시학연구,(64),31-64.배선미.(2020).

이상화의 시에서 ‘생명(生命)’ -대정(大正)기 일본의 생명주의와 관련하여-.한국문학과 예술,30(),289-317.유병관.(2019).

이상화와 보들레르의 비교문학적 고찰 - 죽음의 문제를 중심으로.인문학연구,31(),163-205.김용민.(2019).

이상화 시에 나타난 트라우마와 죽음충동.現代文學理論硏究 0.73:127-146.박한라.(2018).

이상화 시에서 드러난 남성 화자의 자기분열: 「그의 수줍은 연인에게」와 「어느 마돈나에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比較文學 0.76:5-32.김한성.(2018).

이상화 문학에 나타난 시적 상상력의 근원 연구.어문론총 74.301-329.유신지,여상임.(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