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벌 (2003)"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물 설명)
(실제 영화와의 차이점)
89번째 줄: 89번째 줄:
  
 
===영화로 보는 역사===
 
===영화로 보는 역사===
====실제 영화와의 차이점====
+
====실제 역사와의 차이점====
 +
 
 
====영화 선정 이유 및 영화의 의의====
 
====영화 선정 이유 및 영화의 의의====

2023년 6월 17일 (토) 00:59 판

영화 황산벌(2003)


영화의 역사적 배경

계백의 백제군과 김유신의 신라군이 황산벌에서 벌인 싸움

백제 의자왕 때인 660년 황산벌에서 계백이 이끄는 백제군과 김유신이 이끄는 신라군이 벌인 큰 전투이다. 황산벌은 지금의 충청남도 연산 지방이다. 이 전투에서 신라군에 패하면서 백제는 멸망의 길로 접어들었다.

소개

예고편

황산벌 예고편 보러가기

줄거리

고구려, 신라, 백제 3국의 분쟁이 끊이질 않았던 660년, 딸의 원수인 백제 의자왕에게 앙심을 품은 김춘추(태종 무열왕)는 당나라와 나.당 연합군을 결성하여 김유신 장군에게 당나라의 사령관인 소정방과의 협상을 명령한다. 나이로 밀어부치려던 김유신. 불과 몇 년 차이로 소정방에게 밀리게 되고, 결국 7월 10일까지 조공을 조달해야 한다. 덕물도 앞바다까지 조공을 운반하기 위해선 백제군을 뚫어야 하는데, 백제에는 김유신의 영원한 숙적 계백 장군이 버티고 있으니... 고구려를 치러 가는 것일 거라고 애써 자위하던 그들은 신라군이 남하하여 탄현으로 오고 있다는 전갈에 신라와 당나라가 백제를 공격하려는 것임을 확인하며 불안에 휩싸인다. 그러나, 의자왕에게 적개심을 품은 중신들은 자신들의 군사를 내 주지 못하겠노라 엄포를 놓고, 의자왕은 자신의 마지막 충신 계백 장군을 부른다. 무언의 술 다섯 잔 속에 의자왕으로부터 황산벌 사수를 부탁받은 계백은 목숨 바쳐 싸우기 위해 자신의 일족까지 모두 죽이고 황산벌로 향하는데... 욕싸움, 인간장기 게임을 넘나드는 5천 백제군과 5만 신라군의 전투는 의외로 4전 4패로 백제군에게 유리하게 돌아가고 당나라와 약속한 7월 10일이 다가온다. 마지막 전투의 승리를 위해 김유신은 병사들의 독기 진작을 위한 ‘화랑 희생 시키기’ 전략을 마지막 카드로 내미는데... 과연 진정한 역사의 승리자는 누가 될 것인가?

인물 설명

  • 주요 실존 인물

<백제>

계백 (배우 박중훈)

  • 계백 (배우 박중훈)

우리는 명색이 결사대여! 아, 결사대가 일당 10도 못혀? 아 그들에게 단단히 일러라. 죽기 전에 신라놈들 열놈 죽였는가 안 죽였는가 나한테 확인 받고 뒤지라고! 알겠능가!
백제 5천 결사대의 지휘관. 역사대로 출전 전 자기 손으로 처자식의 목숨을 끊고 좌평들을 위협하여 결사대를 이끄는 인물.


의자왕 (배우 오지명)

  • 의자왕 (배우 오지명)

계백아... 니가... 거시기 혀야겄다
백제의 마지막 왕. 영화에서는 왕 답지 않게 서민적인 말투가 특징이다.


<신라>

김유신 (배우 정진영)

  • 김유신 (배우 정진영)

다 미친 기야, 전쟁은 미친 놈들 짓인 기야! 화랑들을 계속 보내! 꽃은 화려할 때 지는 기야!
신라의 대장군.


  • 그 외 영화 속 캐릭터
  • 거시기 (배우 이문식): 백제군의 일반 병사.
  • 계백 처 (배우 김선아): "호랭이는 가죽 땜시 디지고, 사람은 이름 땜시 디지는 거여”

영화로 보는 역사

실제 역사와의 차이점

영화 선정 이유 및 영화의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