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창작물/기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포켓몬 고(Pokemon Go))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디지털 창작물 (게임)'''=
 
  
=='''설명'''===
 
  
게임은 디지털 창작물의 정수 그 자체이다
+
=='''GPS기술'''==
개발자들은 컴퓨터와 디지털 기술의 발달을 통해 기존에는 존재하지 않던 입체적인 캐릭터들을 구현했음
 
  
게임은 디지털 기술(특히 컴퓨터)의 발전에 맞추어 같이 발전해온 대표적인 케이스이다.
+
* 해외의 경우 구글(GOOGLE)과의 전속 계약을 통해 가능해졌다.
 +
 
 +
* 구글에서 서비스하는 구글 맵과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이면 서비스 지역의 지형을 기반으로 캐릭터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파악하여 정확한 정보를 메인 프로세스에 업데이트 한다.
 +
  이를 기반으로 실제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행동 상태를 파악하고 게임에 재적용하는 과정을 거쳐 캐릭터의 상태나 활동 등을 기록하는 형태로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
 
 +
** 다만 한국 및 일부 국가의 경우 지도반출 문제로 인해 구글맵 API대신 지도의 위키버전인 오픈스트리트맵을 이용중이다.
 +
  '오픈스트리트맵'이란 자발적인 편집자의 기여를 통해 제작되는 지도로써 부정확하고 부족한 지도 데이터이다.
 +
 
 +
 
 +
=='''3D 모델링'''==
 +
3D 모델링 툴을 이용하여 모델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제작 과정은 모델링과 렌더링으로 나뉜다.
 +
===모델링(Modeling)===
 +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해 컴퓨터 내부의 가상공간에 3차원 모형을 만들어내는 행위를 의미한다. 만들어진 3차원 모형을 모델이라 부르며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한다.
  
*왜? ->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통해 이전 사회보다 더 많은 더 새로운 여가 생활들이 생겨났고 굳이 외부로 나가지 않아도 어디서든 즐길 수 있는 새로운 여가(게임)가 발전했기 때문
+
===렌더링(Rendering)===
 +
모델링 후 모델의 재질과 조명등을 설정하여 실제 물체처럼 출력하는 과정이다.
 +
====과정====
 +
*투영(Projection): 3차원 오브젝트를 2차원 스크린에 비추는 과정
 +
*클리핑(Clipping): 디스플레이 밖(모니터 또는 윈도우 창에 나오지 않는 부분)의 오브젝트 부분(보이지 않는 부분)을 처리하는 과정
 +
*은면처리(Hidden Surface): 오브젝트의 보이는 부분과 보이지 않는 부분을 처리하는 과정
 +
*셰이딩(Shading): 음영, 조명 빛, 광원의 빛, 반사광, 투명한 효과 등을 처리하는 과정
 +
*매핑(Mapping): 오브젝트의 표면에 텍스처 등을 씌워 질감과 반사된 풍경 등을 처리하는 과정
  
='''디지털 기술과 연계된 게임'''=
+
===대표적인 제작툴===
 +
*3D맥스 (3D MAX)
 +
[[파일:3d맥스.png|290픽셀]]
 +
*지브러시 (Z-brush)
 +
[[파일:z브러쉬.jpeg|240픽셀]]
 +
*솔리드웍스 (Solidworks)
 +
[[파일:솔리드워크스.png|320픽셀]]
 +
*마야 (Maya)
 +
[[파일:마야.png|280픽셀]]
  
=='''포켓몬 고(Pokemon Go)'''==
+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
확장현실(XR)은 다양한 몰입형 및 인터랙티브 기술 영역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용어로,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을 망라한다. 모바일 장치, VR 헤드셋과 안경 및 기타 기술 등을 통해 XR에 접근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이 도입된 우리에게 아주 친숙한 케이스의 게임이며, AR기술을 도입한 게임이다
+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사용자를 가상 세계로 몰입시키는 기술. VR 장비를 착용하면 사용자는 완전히 가상의 환경에 녹아들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주변의 실제 세계를 완전히 차단하고, 가상 세계에서 시각적 및 청각적인 체험을 할 수 있다.
  
==='''GPS기술'''===
+
==='''예시'''===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caption="VR 게임">
 +
파일:SUPERHOT.jpg|SUPERHOT
 +
파일:Beat Saber.jpg|Beat Saber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caption="VR 훈련">
 +
파일:VR군사훈련.jpg|군사 훈련
 +
파일:VR항공기엔진정비훈련.jpg|항공기 엔진 정비 훈련
 +
</gallery>
  
* 해외의 경우 구글(GOOGLE)과의 전속 계약을 통해 가능해졌다.
 
  
* 구글에서 서비스하는 구글 맵과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이면 서비스 지역의 지형을 기반으로 캐릭터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파악하여 정확한 정보를 메인 프로세스에 업데이트 한다.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이를 기반으로 실제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행동 상태를 파악하고 게임에 재적용하는 과정을 거쳐 캐릭터의 상태나 활동 등을 기록하는 형태로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
실제 세계에 가상의 요소들을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의 융합을 제공하는 기술. 사용자는 AR 장비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제 세계를 보면서 가상의 객체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다만 한국 및 일부 국가의 경우 지도반출 문제로 인해 구글맵 API대신 지도의 위키버전인 오픈스트리트맵을 이용중이다.
+
==='''예시'''===
  '오픈스트리트맵'이란 자발적인 편집자의 기여를 통해 제작되는 지도로써 부정확하고 부족한 지도 데이터이다.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caption="AR 게임">
 +
파일:포켓몬 고.jpg|[[포켓몬 고(Pokemon Go)]]
 +
파일:MarioHomeCircuit.jpg|Mario Kart Live: Home Circuit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caption="AR 교육">
 +
파일:AR교육앱.jpg|교육 어플리케이션
 +
파일:AR코딩교육.jpg|코딩 교육
 +
</gallery>
  
===='''포켓몬 고 게임의 작동 방식'''====
+
=='''혼합현실(Mixed Reality)'''==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실제 세계와 가상 세계의 융합을 제공하는 기술. 사용자는 실제 환경에서 가상 객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MR은 가상 객체가 실제 객체와 혼합되어 하나의 새로운 환경을 형성한다.
! 순서 || 과정
 
|-
 
| [[1]] || 구글 인공위성과 구글 맵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한다
 
|-
 
| [[2]] || 서비스 가능 및 지원 가능 여부를 심사한다
 
|-
 
| [[3]] || 서비스 가능이 확인되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GPS 위치 기능을 작동한다
 
|-
 
| [[4]] || 사용자의 움직임을 포켓몬 고 메인 프로세스에 업데이트한다
 
|-
 
| [[5]] || 업데이트된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전화에 재적용한다
 
|-
 
| [[6]] || 위의 과정을 계속 반복한다
 
|}
 
  
==='''그래픽 모델링'''===
+
='''홀로그램'''=
 +
빛의 간섭 현상으로 입체 영상을 구현되는 기술.
 +
==원리==
 +
2개의 레이저 광선을 하나는 반사경에, 다른 하나는 피사체에 쏘아서 피사체에 난반사된 빛과 반사경에서 반사된 빛이 겹쳐지면 빛의 간섭 현상이 일어난다.
 +
===아날로그 방식===
 +
간섭 무늬를 기록하여 정지 입체 이미지를 만든다.
 +
===디지털 방식===
 +
수학적 계산과 처리를 통해 간섭 무늬를 만들고 데이터로 기록하여 3D 영상을 재생한다.
  
*  포켓몬 고에 나오는 포켓몬들의 움직임과 모델링은 모두 3D모델링 작업으로 만들어졌다. 닌텐도와의 스폰서쉽을 통해 포켓몬의 특징에 맞는 모델링 작업을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는 이전처럼 여러개의 그림을 통해 이어붙여 적당한 움직임을 기반으로 삼고 캐릭터 움직임을 만드는 것이 아닌, 하나의 입체적인 캐릭터 디자인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위별로 움직임을 프로그래밍하여 보다 나은 움직임을 재현하는 기술이 도입되었다.
+
[[분류:일조]]

2023년 6월 18일 (일) 03:31 기준 최신판


GPS기술

  • 해외의 경우 구글(GOOGLE)과의 전속 계약을 통해 가능해졌다.
  • 구글에서 서비스하는 구글 맵과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이면 서비스 지역의 지형을 기반으로 캐릭터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파악하여 정확한 정보를 메인 프로세스에 업데이트 한다.
 이를 기반으로 실제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행동 상태를 파악하고 게임에 재적용하는 과정을 거쳐 캐릭터의 상태나 활동 등을 기록하는 형태로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 다만 한국 및 일부 국가의 경우 지도반출 문제로 인해 구글맵 API대신 지도의 위키버전인 오픈스트리트맵을 이용중이다.
 '오픈스트리트맵'이란 자발적인 편집자의 기여를 통해 제작되는 지도로써 부정확하고 부족한 지도 데이터이다.


3D 모델링

3D 모델링 툴을 이용하여 모델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제작 과정은 모델링과 렌더링으로 나뉜다.

모델링(Modeling)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해 컴퓨터 내부의 가상공간에 3차원 모형을 만들어내는 행위를 의미한다. 만들어진 3차원 모형을 모델이라 부르며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한다.

렌더링(Rendering)

모델링 후 모델의 재질과 조명등을 설정하여 실제 물체처럼 출력하는 과정이다.

과정

  • 투영(Projection): 3차원 오브젝트를 2차원 스크린에 비추는 과정
  • 클리핑(Clipping): 디스플레이 밖(모니터 또는 윈도우 창에 나오지 않는 부분)의 오브젝트 부분(보이지 않는 부분)을 처리하는 과정
  • 은면처리(Hidden Surface): 오브젝트의 보이는 부분과 보이지 않는 부분을 처리하는 과정
  • 셰이딩(Shading): 음영, 조명 빛, 광원의 빛, 반사광, 투명한 효과 등을 처리하는 과정
  • 매핑(Mapping): 오브젝트의 표면에 텍스처 등을 씌워 질감과 반사된 풍경 등을 처리하는 과정

대표적인 제작툴

  • 3D맥스 (3D MAX)

3d맥스.png

  • 지브러시 (Z-brush)

Z브러쉬.jpeg

  • 솔리드웍스 (Solidworks)

솔리드워크스.png

  • 마야 (Maya)

마야.png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확장현실(XR)은 다양한 몰입형 및 인터랙티브 기술 영역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용어로,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을 망라한다. 모바일 장치, VR 헤드셋과 안경 및 기타 기술 등을 통해 XR에 접근할 수 있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사용자를 가상 세계로 몰입시키는 기술. VR 장비를 착용하면 사용자는 완전히 가상의 환경에 녹아들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주변의 실제 세계를 완전히 차단하고, 가상 세계에서 시각적 및 청각적인 체험을 할 수 있다.

예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실제 세계에 가상의 요소들을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의 융합을 제공하는 기술. 사용자는 AR 장비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제 세계를 보면서 가상의 객체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시

혼합현실(Mixed Reality)

실제 세계와 가상 세계의 융합을 제공하는 기술. 사용자는 실제 환경에서 가상 객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MR은 가상 객체가 실제 객체와 혼합되어 하나의 새로운 환경을 형성한다.

홀로그램

빛의 간섭 현상으로 입체 영상을 구현되는 기술.

원리

2개의 레이저 광선을 하나는 반사경에, 다른 하나는 피사체에 쏘아서 피사체에 난반사된 빛과 반사경에서 반사된 빛이 겹쳐지면 빛의 간섭 현상이 일어난다.

아날로그 방식

간섭 무늬를 기록하여 정지 입체 이미지를 만든다.

디지털 방식

수학적 계산과 처리를 통해 간섭 무늬를 만들고 데이터로 기록하여 3D 영상을 재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