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 팔만대장경 (1978)"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화 호국팔만대장경(1978))
(인물 소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29번째 줄: 29번째 줄:
 
|}
 
|}
 
</onlyinclude>
 
</onlyinclude>
 +
 +
====영상 자료====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jLYWx2yz_F4&list=PLtE75ecr_aqliBD62ySAF18_iXMU-VM4s</youtube>
 +
 +
===역사적 배경===
 +
몽골의 고려에 대한 무리한 요구의 연속과 몽골 사신 저고여가 국경에서 자객에게 피살되는 사건을 계기로 두 나라의 관계가 악화되며, 몽골은 총 9차례의 고려 침공을 시작한다. 이 영화는 고려가 불교로 단결하여 몽골의 침공을 막기 위해 팔만 대장경을 편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
====인물 소개====
 +
'''주요 실존 인물'''
 +
 +
 +
[[파일: 홍세승김희라.PNG|300px|]]
 +
 +
홍세승( 배우 김희라)
 +
 +
[[파일: 수련정희.PNG|300px|]]
 +
 +
수련(배우 정희)
 +
 +
[[파일: 살례탑독고성.PNG|300px|]]
 +
 +
살례탑(배우 독고성)
 +
 +
고려-몽골 전쟁의 몽골 장수로 일반적으로는 살리타이라고 불린다. 몽골식 발음은 사리그타이(ᠰᠠᠷᠢᠳᠠᠭ)이며 '명궁' 이라는 뜻의 화이적 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
 +
[[파일: 수기대사박암.PNG|300px|]]
 +
 +
수기스님(배우 박암)
 +
 +
팔만대장경 편찬의 총 책임자였다.
 +
 +
 +
===영화 선정 이유===
 +
 +
====역사적 가치====
 +
1. 팔만대장경은 9차례의 몽골 침공을 이겨내기 위해서 만들어졌으며. 고려를 통합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충분하다.
 +
 +
2. 팔만대장경은 제작된 이후로도 약탈, 파손 등의 위험을 지나 오늘날까지 전해져 내려오는 살아있는 역사 그 자체이다
 +
 +
====연구적 가치====
 +
팔만대장경의 당시 동아시아의 불교 경전들을 모은 것이기 때문에 지금은 소실되어 볼 수 없는 불교 경전 또한 팔만 대장경을 통해서 연구하고 알릴 수 있다
 +
 +
===영화의 가치===
 +
영화는 과거 조상들이 우리나라를 지켜내고 정신적으로 통합되기 위해 노력한 내용을 아낌없이 담고 있기 때문에 팔만대장경이라는 역사적인 가치를 가진 유물을 알리고, 기억하게 하는 일을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2023년 6월 19일 (월) 08:41 기준 최신판

영화 호국팔만대장경(1978)


영상 자료

역사적 배경

몽골의 고려에 대한 무리한 요구의 연속과 몽골 사신 저고여가 국경에서 자객에게 피살되는 사건을 계기로 두 나라의 관계가 악화되며, 몽골은 총 9차례의 고려 침공을 시작한다. 이 영화는 고려가 불교로 단결하여 몽골의 침공을 막기 위해 팔만 대장경을 편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물 소개

주요 실존 인물


홍세승김희라.PNG

홍세승( 배우 김희라)

수련정희.PNG

수련(배우 정희)

살례탑독고성.PNG

살례탑(배우 독고성)

고려-몽골 전쟁의 몽골 장수로 일반적으로는 살리타이라고 불린다. 몽골식 발음은 사리그타이(ᠰᠠᠷᠢᠳᠠᠭ)이며 '명궁' 이라는 뜻의 화이적 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수기대사박암.PNG

수기스님(배우 박암)

팔만대장경 편찬의 총 책임자였다.


영화 선정 이유

역사적 가치

1. 팔만대장경은 9차례의 몽골 침공을 이겨내기 위해서 만들어졌으며. 고려를 통합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충분하다.

2. 팔만대장경은 제작된 이후로도 약탈, 파손 등의 위험을 지나 오늘날까지 전해져 내려오는 살아있는 역사 그 자체이다

연구적 가치

팔만대장경의 당시 동아시아의 불교 경전들을 모은 것이기 때문에 지금은 소실되어 볼 수 없는 불교 경전 또한 팔만 대장경을 통해서 연구하고 알릴 수 있다

영화의 가치

영화는 과거 조상들이 우리나라를 지켜내고 정신적으로 통합되기 위해 노력한 내용을 아낌없이 담고 있기 때문에 팔만대장경이라는 역사적인 가치를 가진 유물을 알리고, 기억하게 하는 일을 할 수 있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