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믿어도 될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뉴스, 믿어도 될까?'''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뉴스, 믿어도 될까?'''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뉴스, 믿어도 될까.jpg|230px]]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뉴스, 믿어도 될까.jpg|240px]]
 +
|-
 +
|}
 +
</onlyinclude>
 +
 
 +
 
 +
=='''책 정보'''==
 +
 
 +
{|class="wikitable"
 +
|-
 +
|제목|| 뉴스, 믿어도 될까?
 +
|-
 +
|저자|| 구본권 글 / 안병현 그림
 +
|-
 +
|출판연도|| 2018
 +
|-
 +
|출판사|| 풀빛
 
|-  
 
|-  
| style="text-align:left;"|'''저자''' || 구본권 글 / 안병현 그림
+
|쪽수|| 296쪽
 
|-  
 
|-  
| style="text-align:left;"|'''출판연도''' || 2018
+
|추천 사이트|| [https://www.readread.or.kr/blue-square/read-books-clutter/?mod=document&uid=1859=/ 책따세]
|-
 
| style="text-align:left;"|'''출판사''' || 풀빛
 
|-
 
| style="text-align:left;"|'''쪽수''' || 296쪽
 
|-
 
| style="text-align:left;"|'''추천 사이트''' || [https://www.readread.or.kr/?s=%EB%89%B4%EC%8A%A4%2C+%EB%AF%BF%EC%96%B4%EB%8F%84+%EB%90%A0%EA%B9%8C=/ 책따세]
 
|-
 
 
|}
 
|}
</onlyinclude>
+
 
 +
 
 +
 
 +
 
  
  
23번째 줄: 35번째 줄:
  
 
  구본권, 안병현 작가가 쓴 <뉴스, 믿어도 될까?>는 책따세에서 추천하고 있는 책으로 뉴스, 즉 언론과 정보의 사실 여부와 관련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책이다.
 
  구본권, 안병현 작가가 쓴 <뉴스, 믿어도 될까?>는 책따세에서 추천하고 있는 책으로 뉴스, 즉 언론과 정보의 사실 여부와 관련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책이다.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앞서 언론의 영향력, 권한, 뉴스의 객관성 등 언론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후 우리가 언론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앞서 언론의 영향력, 권한, 뉴스의 객관성 등 언론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후 우리가 언론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함께 느껴볼 수 있는 책이다.
이 과정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함께 느껴볼 수 있는 책이다.
 
 
  생소할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내용 만을 다루기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뉴스의 환경, 특징 등을 먼저 살펴본 후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청소년들도 어렵지 않게 다가갈 수 있을 만한 책이라고 느꼈다.
 
  생소할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내용 만을 다루기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뉴스의 환경, 특징 등을 먼저 살펴본 후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청소년들도 어렵지 않게 다가갈 수 있을 만한 책이라고 느꼈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심도있게 다루거나 전문적인 내용을 첨가하기보다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단어 선택, 문장을 이용하고 실제 있었던 뉴스 사례를 덧붙인다.
+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심도있게 다루거나 전문적인 내용을 첨가하기보다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단어 선택, 문장을 이용하고 실제 있었던 뉴스 사례를 덧붙인다. 때문에 미디어 리터러시를 처음 접하는 청소년들이 어렵지 않게 접근할 수 있고, 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인지에 대해 더욱 관심 갖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 줄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때문에 미디어 리터러시를 처음 접하는 청소년들이 어렵지 않게 접근할 수 있고, 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인지에 대해 더욱 관심 갖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 줄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청소년들이 공식적인 언론에서 보도한 정보라 해서 그대로 수용하기보다 비판적으로 흡수한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책이라고 본다.
 
  청소년들이 공식적인 언론에서 보도한 정보라 해서 그대로 수용하기보다 비판적으로 흡수한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책이라고 본다.

2021년 6월 12일 (토) 18:53 기준 최신판


책 정보

제목 뉴스, 믿어도 될까?
저자 구본권 글 / 안병현 그림
출판연도 2018
출판사 풀빛
쪽수 296쪽
추천 사이트 책따세




추천 이유

구본권, 안병현 작가가 쓴 <뉴스, 믿어도 될까?>는 책따세에서 추천하고 있는 책으로 뉴스, 즉 언론과 정보의 사실 여부와 관련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책이다.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앞서 언론의 영향력, 권한, 뉴스의 객관성 등 언론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후 우리가 언론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함께 느껴볼 수 있는 책이다.
생소할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내용 만을 다루기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뉴스의 환경, 특징 등을 먼저 살펴본 후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청소년들도 어렵지 않게 다가갈 수 있을 만한 책이라고 느꼈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심도있게 다루거나 전문적인 내용을 첨가하기보다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단어 선택, 문장을 이용하고 실제 있었던 뉴스 사례를 덧붙인다. 때문에 미디어 리터러시를 처음 접하는 청소년들이 어렵지 않게 접근할 수 있고, 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인지에 대해 더욱 관심 갖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 줄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청소년들이 공식적인 언론에서 보도한 정보라 해서 그대로 수용하기보다 비판적으로 흡수한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책이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