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공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과거-현재)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공원'''==
 
=='''공원'''==
공원(公園)은 공공녹지로서 자연지(自然地)나 또는 인공적으로 조성한 후생적 조경지.<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63565&cid=40942&categoryId=31884]
+
공원(公園)은 공공녹지로서 자연지(自然地)나 또는 인공적으로 조성한 후생적 조경지.<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63565&cid=40942&categoryId=31884]공원의 정의</ref>
공원의 정의</ref>
+
 
 
근린공원은 공원의 한 종류.
 
근린공원은 공원의 한 종류.
 
근린거주자 또는 근린생활권으로 구성된 지역생활권 거주자의 보건·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치된 공원.<ref>[https://ko.wikipedia.org/wiki/%EA%B3%B5%EC%9B%90]근린공원</ref>
 
근린거주자 또는 근린생활권으로 구성된 지역생활권 거주자의 보건·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치된 공원.<ref>[https://ko.wikipedia.org/wiki/%EA%B3%B5%EC%9B%90]근린공원</ref>
  
 
==='''성북근린공원'''===
 
==='''성북근린공원'''===
<ref>[http://parks.seoul.go.kr/parks/detailView.do?pIdx=122]서울의 공원_성북근린공원</ref>
+
 
 
[[파일:성북근린공원.png|350px|right]]
 
[[파일:성북근린공원.png|350px|right]]
 
{|class= "wikitable sortable"
 
{|class= "wikitable sortable"
26번째 줄: 26번째 줄:
 
|-
 
|-
 
|주요식물||소나무,팥배나무,밤나무,국수나무 등
 
|주요식물||소나무,팥배나무,밤나무,국수나무 등
|}
+
|}<ref>[http://parks.seoul.go.kr/parks/detailView.do?pIdx=122]서울의 공원_성북근린공원</ref>
  
 
*돈암동,성북동 일대에 걸쳐 있고 북악산길과 성북구민회관,고밀도 아파트 단지 등에 인접해 있다.  
 
*돈암동,성북동 일대에 걸쳐 있고 북악산길과 성북구민회관,고밀도 아파트 단지 등에 인접해 있다.  
  
 
*정상부에서 남측으로 서울 시내 전체 조망이 가능하며 북동측으로 정릉과 도봉산의 경관을 조망할 수 있다.
 
*정상부에서 남측으로 서울 시내 전체 조망이 가능하며 북동측으로 정릉과 도봉산의 경관을 조망할 수 있다.
 +
 +
*공원 초입에 있는 하늘 한마당은 문화공간이자, '북악하늘길'에 오르는 출발점이자,구민걷기대회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과거-현재'''====
 
===='''과거-현재'''====
<ref>[https://archive.sb.go.kr/isbcc/home/u/story/view/724.do]성북마을아카이브_성북근린공원</ref>
+
 
 
*과거: 이곳은 1980년에 공원으로, 1990년에 시민근린공원으로 지정되었지만 대부분 사유지여서 일반 시민들이 이용할 수 없는 공간이었다.
 
*과거: 이곳은 1980년에 공원으로, 1990년에 시민근린공원으로 지정되었지만 대부분 사유지여서 일반 시민들이 이용할 수 없는 공간이었다.
*현재: 도심공원 확대와 서울 둘레길 조성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공원내 사유지를 서울시에서 매입해 2008년 하늘한마당과 전망데크를 설치했고, 2009년 '동네뒷산공원화'사업을 추진하여 생태공원으로 탈바꿈하였다.
+
*현재: 도심공원 확대와 서울 둘레길 조성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공원내 사유지를 서울시에서 매입해 2008년 하늘한마당과 전망데크를 설치했고, 2009년 '동네뒷산공원화'사업을 추진하여 생태공원으로 탈바꿈하였다.<ref>[https://archive.sb.go.kr/isbcc/home/u/story/view/724.do]성북마을아카이브_성북근린공원</ref>
  
 
'''위치'''
 
'''위치'''
45번째 줄: 47번째 줄:
 
|zoom=16
 
|zoom=16
 
}}
 
}}
 +
  
 
==='''개운산근린공원'''===
 
==='''개운산근린공원'''===
<ref>[http://parks.seoul.go.kr/parks/detailView.do?pIdx=40]서울의 공원_개운산근린공원</ref>
+
 
 
[[파일:개운산공원_정자.png|400px|right]]
 
[[파일:개운산공원_정자.png|400px|right]]
 
{|class= "wikitable sortable"
 
{|class= "wikitable sortable"
62번째 줄: 65번째 줄:
 
|-
 
|-
 
|주요식물||수목 : 잣나무, 참나무류, 팥배나무, 산벚나무
 
|주요식물||수목 : 잣나무, 참나무류, 팥배나무, 산벚나무
|}
+
|}<ref>[http://parks.seoul.go.kr/parks/detailView.do?pIdx=40]서울의 공원_개운산근린공원</ref>
  
 
*개운산공원은 1940년 3월 12일 지정된 마을동산 성격의 산지형 공원.
 
*개운산공원은 1940년 3월 12일 지정된 마을동산 성격의 산지형 공원.
71번째 줄: 74번째 줄:
  
 
*개운산운동장에는 2003년에 66m의 지압보도와 정자 및 핸드레일을 설치하고 주변에 나무를 심어 가족이 함께 운동과 휴식을 겸할 수 있는 공원으로 많은 시민들이 이용한다.
 
*개운산운동장에는 2003년에 66m의 지압보도와 정자 및 핸드레일을 설치하고 주변에 나무를 심어 가족이 함께 운동과 휴식을 겸할 수 있는 공원으로 많은 시민들이 이용한다.
 
  
 
'''위치'''
 
'''위치'''
81번째 줄: 83번째 줄:
 
|zoom=16
 
|zoom=16
 
}}
 
}}
 +
  
 
==='''오동공원'''===
 
==='''오동공원'''===
<ref>[https://map.naver.com/v5/search/%EC%84%B1%EB%B6%81%EA%B5%AC%20%EC%98%A4%EB%8F%99%EA%B3%B5%EC%9B%90/place/19589072?c=14138583.8296726,4524443.2176325,13,0,0,0,dh&placePath=%3Fentry%253Dpll]오동공원</ref>
+
 
 
[[파일:오동공원1.png|섬네일|right]]
 
[[파일:오동공원1.png|섬네일|right]]
 
[[파일:오동공원2.png|섬네일|right]]
 
[[파일:오동공원2.png|섬네일|right]]
99번째 줄: 102번째 줄:
 
|-
 
|-
 
|공원길||2.5km,약 1시간30분 소요
 
|공원길||2.5km,약 1시간30분 소요
|}
+
|}<ref>[https://map.naver.com/v5/search/%EC%84%B1%EB%B6%81%EA%B5%AC%20%EC%98%A4%EB%8F%99%EA%B3%B5%EC%9B%90/place/19589072?c=14138583.8296726,4524443.2176325,13,0,0,0,dh&placePath=%3Fentry%253Dpll]오동공원</ref>
  
 
*1987년 4월 27일 시민근린공원으로 지정되었다.  
 
*1987년 4월 27일 시민근린공원으로 지정되었다.  
110번째 줄: 113번째 줄:
  
 
*공원 산자락에는 민간 자본을 유치하여 종합유희시설인 ‘드림랜드’를 설치하여, 서울 동북부 지역민들이 여가를 보내는 오락 장소로 활용한다.
 
*공원 산자락에는 민간 자본을 유치하여 종합유희시설인 ‘드림랜드’를 설치하여, 서울 동북부 지역민들이 여가를 보내는 오락 장소로 활용한다.
 
  
 
'''위치'''
 
'''위치'''
123번째 줄: 125번째 줄:
  
 
==='''청량근린공원'''===
 
==='''청량근린공원'''===
<ref>[http://parks.seoul.go.kr/parks/detailView.do?pIdx=69]서울의 공원_청량근린공원</ref>
+
 
 
[[파일:청량근린공원.png|350px|right]]
 
[[파일:청량근린공원.png|350px|right]]
 
{|class= "wikitable sortable"
 
{|class= "wikitable sortable"
 
!=|정보||내용
 
!=|정보||내용
 
|-
 
|-
|위치||서울 성북구 석관동 산1-77
+
|위치||서울 성북구 화랑로32길 146-37(석관동 409)
 
|-
 
|-
 
|개원||1940. 3. 12
 
|개원||1940. 3. 12
140번째 줄: 142번째 줄:
 
|-
 
|-
 
|주요식물||소나무, 단풍나무, 밤나무, 국수나무 등
 
|주요식물||소나무, 단풍나무, 밤나무, 국수나무 등
|}
+
|}<ref>[http://parks.seoul.go.kr/parks/detailView.do?pIdx=69]서울의 공원_청량근린공원</ref>
  
 
*성북구와 동대문구에 위치한 청량근린공원은 홍릉 및 의릉이 있어 대부분의 면적이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있다.  
 
*성북구와 동대문구에 위치한 청량근린공원은 홍릉 및 의릉이 있어 대부분의 면적이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있다.  
152번째 줄: 154번째 줄:
 
*성북구에서는 문화재청과 협의하여 문화재구역 일부를 개방하여 의릉 ~ 돌뫼어린이공원 ~ 성북정보도서관을 연결하는 환상의 산책로를 조성하였다.
 
*성북구에서는 문화재청과 협의하여 문화재구역 일부를 개방하여 의릉 ~ 돌뫼어린이공원 ~ 성북정보도서관을 연결하는 환상의 산책로를 조성하였다.
  
 +
===='''과거-현재'''====
 +
1940년 3월 12일에 개원하였고, 1995년 청량근린공원 조성이 계획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청량근린공원은 홍릉 및 의릉이 위치하고 있어서 대부분의 면적이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위치'''
 
'''위치'''

2021년 6월 17일 (목) 05:45 기준 최신판

성북구 공원 지도

소개

성북구에 있는 공원에 대해서 소개하고, 각 공원의 특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공원

공원(公園)은 공공녹지로서 자연지(自然地)나 또는 인공적으로 조성한 후생적 조경지.[1]

근린공원은 공원의 한 종류. 근린거주자 또는 근린생활권으로 구성된 지역생활권 거주자의 보건·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치된 공원.[2]

성북근린공원

성북근린공원.png
정보 내용
위치 서울 성북구 흥천사길 29
개원 1990.8.25
면적 총 137,759㎡
주요시설 생태연못,전망대,휴게광장,나무집,야외학습장,바닥분수 등
주요식물 소나무,팥배나무,밤나무,국수나무 등
[3]
  • 돈암동,성북동 일대에 걸쳐 있고 북악산길과 성북구민회관,고밀도 아파트 단지 등에 인접해 있다.
  • 정상부에서 남측으로 서울 시내 전체 조망이 가능하며 북동측으로 정릉과 도봉산의 경관을 조망할 수 있다.
  • 공원 초입에 있는 하늘 한마당은 문화공간이자, '북악하늘길'에 오르는 출발점이자,구민걷기대회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과거-현재

  • 과거: 이곳은 1980년에 공원으로, 1990년에 시민근린공원으로 지정되었지만 대부분 사유지여서 일반 시민들이 이용할 수 없는 공간이었다.
  • 현재: 도심공원 확대와 서울 둘레길 조성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공원내 사유지를 서울시에서 매입해 2008년 하늘한마당과 전망데크를 설치했고, 2009년 '동네뒷산공원화'사업을 추진하여 생태공원으로 탈바꿈하였다.[4]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개운산근린공원

개운산공원 정자.png
정보 내용
위치 서울 성북구 돈암동 산6-23
개원 1995. 5. 3
면적 322.174㎡
조경,이용시설 공원이용지원센터, 화장실, 산책로(산마루길, 목재데크산책로, 오솔길 등),

자연학습장, 지압보도, 축구장, 배드민턴장, 족구장, 정자 등

주요식물 수목 : 잣나무, 참나무류, 팥배나무, 산벚나무
[5]
  • 개운산공원은 1940년 3월 12일 지정된 마을동산 성격의 산지형 공원.
  • 개운산은 나라의 운명을 새롭게 열었다는 뜻의 개운사 절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 공원내에는 향토수목 32종 3,290주가 식재되어 있어 자연학습관찰로를 조성하여 어린이 및 학생들이 이용하고 있다.
  • 개운산운동장에는 2003년에 66m의 지압보도와 정자 및 핸드레일을 설치하고 주변에 나무를 심어 가족이 함께 운동과 휴식을 겸할 수 있는 공원으로 많은 시민들이 이용한다.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오동공원

오동공원1.png
오동공원2.png
정보 내용
위치 서울 성북구 화랑로13길 144
개원 1987.4.27
면적 약 300,000㎡
주요시설 쉼터와 구민체육관, 배드민턴장, 인조잔디구장,

테니스장, 산책로, 잔디밭

공원길 2.5km,약 1시간30분 소요
[6]
  • 1987년 4월 27일 시민근린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서울 강북구 번동·미아동 등의 5개 동과 성북구 월곡동에 걸쳐 있는 대단위공원으로 면적이 138만 2,260㎡에 이른다.
  • 공원에 오르면 북한산·도봉산·수락산·불암산이 병풍처럼 둘러쳐 있고 여러 시설들과 함께 울창한 숲이 조성되어 있다.
  • 특히 ‘꽃샘길’로 불리는 길이 400m 구간은 한 시민이 정성을 다해 꽃과 나무를 가꾸는 것으로 유명하다.
  • 공원 산자락에는 민간 자본을 유치하여 종합유희시설인 ‘드림랜드’를 설치하여, 서울 동북부 지역민들이 여가를 보내는 오락 장소로 활용한다.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청량근린공원

청량근린공원.png
정보 내용
위치 서울 성북구 화랑로32길 146-37(석관동 409)
개원 1940. 3. 12
면적 총 762,642㎡
조경시설 어른신건강마당, 산책로, 파고라
주요시설 어른신건강마당, 진입광장, 휴식광장, 입구연못, 파고라, 조경수원, 목교,

전망테크, 산림종합전시관, 야외학습장, 도서관, 공연장, 건강마당

주요식물 소나무, 단풍나무, 밤나무, 국수나무 등
[7]
  • 성북구와 동대문구에 위치한 청량근린공원은 홍릉 및 의릉이 있어 대부분의 면적이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있다.
  • 많은 부분이 보호구역인 만큼 사람이 손길이 닿지 않아 자연환경이 아름다우며 정상에서는 북한산, 수락산, 오동근린공원 등이 한눈에 들어온다.
  • 공원 내에는 어르신이 운동을 할 수 있는 어르신 건강마당이 있어 다양한 운동기구와 치매 예방을 위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 공원 인접에는 성북구 정보도서관이 있어 청소년 등이 공부하며 정서를 함양할 수 있는 최상의 역할을 하고 있다.
  • 성북구에서는 문화재청과 협의하여 문화재구역 일부를 개방하여 의릉 ~ 돌뫼어린이공원 ~ 성북정보도서관을 연결하는 환상의 산책로를 조성하였다.

과거-현재

1940년 3월 12일에 개원하였고, 1995년 청량근린공원 조성이 계획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청량근린공원은 홍릉 및 의릉이 위치하고 있어서 대부분의 면적이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출처 및 참고자료

  1. [1]공원의 정의
  2. [2]근린공원
  3. [3]서울의 공원_성북근린공원
  4. [4]성북마을아카이브_성북근린공원
  5. [5]서울의 공원_개운산근린공원
  6. [6]오동공원
  7. [7]서울의 공원_청량근린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