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태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8번째 줄: 28번째 줄:
 
'''오태석(1940년~)'''
 
'''오태석(1940년~)'''
 
==생애==
 
==생애==
작가의 출생부터 생애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이 곳에 기술합니다.
+
 
 +
1940년 충청남도 서천에서 태어났다.
 +
1967년 조선일보 신촌문예에서 희곡 '웨딩드레서'당선 이후 쉼 없이 희곡 창작과 연출을 계속해 왔다. 50년간 약70여편을 썼고, 1년에 한 편 이상 작품을 발표해왔다.
  
 
==작품세계 (활동내역) ==
 
==작품세계 (활동내역) ==
117번째 줄: 119번째 줄:
  
 
'''로미오와 줄리엣'''
 
'''로미오와 줄리엣'''
==개요==
+
==작품설명==
 
+
오태석 본인이 꼽은 대표작으로 셰익스피어의 원작에 한국점 춤사위와 해학적 정서를 접목한 작품으로 2995년 9월 초연한 뒤 20여년간 사랑을 받고 있다.
산 불
+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 남녀의 사랑에 초점을 맞췄던 원작의 골격에 우리의 전통적인 소리와 몸짓, 색을 더해 한국적으로 재해석 한 것이 특징이다.
제1막
+
오방색 커튼과 대청마루, 청사초롱 등이 배치된 무대 위에 한국무용과 풍물 장단도 어우러진다.3.4조,4.4조 등 우리말의 운율을 살린 노래 같은 대사들은 관객의 흥을 돋운다. 
제2막
+
끝으로 장영남,박희순,이신호,정지영,정진작,송영광이라는 배우들을 배출하였다.
제3막
 
제4막
 
제5막
 
 
 
  
 
==줄거리==
 
==줄거리==
  
 +
“마음을 사로잡는 남국의 싱그런 봄 향기도, 밤이 되어 귀에 안기는 꾀꼬리 울음소리의 애련함도, 활짝 피어나는 장미의 요염함도, 모두 고스란히 이 작품 속에 담겨 있다  극평가 사뮈엘 콜리지의 지적대로
 +
<로미오와 줄리엣>은 세익스피어가 오직 사랑의 이야기만을 주체적 소재로 쓴 유일한 서정비극이다. 케플렛 가문과 몬테규 가문, 두 원수 집안간의 원한과 싸움의 불꽃이 튀기는 피의 도가니 속에서 로미오, 줄리엣 한 쌍의 연인이 태어나고 두 가문의 분노의 불길 속에서 슬프고 처절한 사랑의 종말을 맡게되는 애절한 사랑 이야기를 역동적인 몸짓과 해학을 담아 그린 작품이다.
  
  
152번째 줄: 152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국립중앙도서관 산불
+
PLAY DB
http://www.nl.go.kr/nl/search/SearchDetail.nl?category_code=ct&service=KOLIS&vdkvgwkey=61509309&colltype=DAN_HOLD&place_code_info=100&place_name_info=%EC%84%9C%EA%B3%A0%EC%9E%90%EB%A3%8C%EC%8B%A0%EC%B2%AD%EB%8C%80%281%EC%B8%B5%29&manage_code=MA&shape_code=B&refLoc=null&category=dan&srchFlag=Y&h_kwd=%EC%82%B0%EB%B6%88&lic_yn=L&mat_code=GM&topF1=title_author&kwd=%EC%82%B0%EB%B6%88&dan=&yon=&disabled=&media=&web=&map=&music=&etc=&archive=&cip=&kolisNet=&korcis=
+
http://www.playdb.co.kr/playdb/playdbDetail.asp?sReqPlayno=89666
 +
 
  
네이버포털검색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xearch&query=%EC%97%B0%EA%B7%B9+%EC%82%B0%EB%B6%88&oquery=%EC%97%B0%EA%B7%B9&tqi=TwGMAdpySDGsssiBx7ZssssstDV-116066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분류:작품]] [[분류:작성자이름]]  [[분류:기여자이름]]
+
[[분류:작품]] [[분류:정미영]]  [[분류:기여자이름]]

2018년 6월 1일 (금) 11:23 판


오태석(1940년~)

생애

1940년 충청남도 서천에서 태어났다. 1967년 조선일보 신촌문예에서 희곡 '웨딩드레서'당선 이후 쉼 없이 희곡 창작과 연출을 계속해 왔다. 50년간 약70여편을 썼고, 1년에 한 편 이상 작품을 발표해왔다.

작품세계 (활동내역)

작가(예술가)의 작품 세계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이곳에 기술합니다.


작가가 아닌 사람의 경우에는 주요한 업적을 중심으로 기술합니다.

작품 및 저서

<공연>

  • 템페스트
  • 한강은 흐른다
  • 백마강 달밤에
  • 마늘먹고 쑥먹고
  • 춘풍의 처
  • 자전거
  • 로미오와 줄리엣
  • 도토리
  • 분장실
  • 봄봄
  • 북청사자야 놀자
  • 도라지
  • 내사랑 DMZ
  • 용호상박
  • 심청이는 왜 두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
  • 백년언약
  • 이원승이원숭이
  • 황색여관
  • 영영사랑
  • 만파식적

<저서>

  • 한국 현대희곡선
  • 백마강 달밤에
  • 오태석 연극
  • 심청이는 왜 두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
  • 불효자는 웁니다
  • 도라지
  • 천년의 수인

기타(수상내역 등)

  • 1967 조선일보 신춘문예 웨딩드레스당선
  • 1967 한국일보 장막희곡부문 가작
  • 1967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 서울 연극제 대상
  • 1968 국립극장, 경향신문 공모 환절기 당선
  • 1987 서울연극제 대상
  • 1992 제28회 동아연극상 대상
  • 1993 제1회 대산문학상 희곡부문
  • 1994 한국예술평론가협회 최우수예술가
  • 2004 제36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 2005 제15회 호암상 예술상
  • 2012 제48회 동아연극상 대상,연출상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http://www.playdb.co.kr/artistdb/detail.asp?ManNo=2352

작성자 및 기여자



로미오와 줄리엣

작품설명

오태석 본인이 꼽은 대표작으로 셰익스피어의 원작에 한국점 춤사위와 해학적 정서를 접목한 작품으로 2995년 9월 초연한 뒤 20여년간 사랑을 받고 있다.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 남녀의 사랑에 초점을 맞췄던 원작의 골격에 우리의 전통적인 소리와 몸짓, 색을 더해 한국적으로 재해석 한 것이 특징이다. 오방색 커튼과 대청마루, 청사초롱 등이 배치된 무대 위에 한국무용과 풍물 장단도 어우러진다.3.4조,4.4조 등 우리말의 운율을 살린 노래 같은 대사들은 관객의 흥을 돋운다. 끝으로 장영남,박희순,이신호,정지영,정진작,송영광이라는 배우들을 배출하였다.

줄거리

“마음을 사로잡는 남국의 싱그런 봄 향기도, 밤이 되어 귀에 안기는 꾀꼬리 울음소리의 애련함도, 활짝 피어나는 장미의 요염함도, 모두 고스란히 이 작품 속에 담겨 있다  극평가 사뮈엘 콜리지의 지적대로 <로미오와 줄리엣>은 세익스피어가 오직 사랑의 이야기만을 주체적 소재로 쓴 유일한 서정비극이다. 케플렛 가문과 몬테규 가문, 두 원수 집안간의 원한과 싸움의 불꽃이 튀기는 피의 도가니 속에서 로미오, 줄리엣 한 쌍의 연인이 태어나고 두 가문의 분노의 불길 속에서 슬프고 처절한 사랑의 종말을 맡게되는 애절한 사랑 이야기를 역동적인 몸짓과 해학을 담아 그린 작품이다.


출판 및 공연 정보

  • 진주-경상남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2017.09.07~2017.09.08상연
  • 화성-동탄복합문화센터 반석아트홀에서 2017.07.01~2017.07.01상연
  • 명동예술극장에서 2017.05.25~2017.06.18 상연
  •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2016.03.23~2016.03.27 상연
  •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2009.09.29~2009.10.11 상연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PLAY DB http://www.playdb.co.kr/playdb/playdbDetail.asp?sReqPlayno=89666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