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대공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연혁 및 현황)
(연표 및 시설현황)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7번째 줄: 7번째 줄: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명칭''' || [[어린이대공원]]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명칭''' || [[어린이대공원]]
 +
|-
 +
| style="text-align:center;"|'''이칭''' || 유강원(裕康園), 유릉(裕陵)터
 
|-  
 
|-  
 
| style="text-align:center;"|'''위치''' || [[파일:대한민국.png|30px]]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216(능동)
 
| style="text-align:center;"|'''위치''' || [[파일:대한민국.png|30px]]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216(능동)
|-  
+
|-
 
| style="text-align:center;"|'''면적''' || 536,088.50㎡
 
| style="text-align:center;"|'''면적''' || 536,088.50㎡
 
|-
 
|-
16번째 줄: 18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이용시간''' || AM 5:00 ~ PM 10:00
 
| style="text-align:center;"|'''이용시간''' || AM 5:00 ~ PM 10:00
 
|-
 
|-
| style="text-align:center;"|'''이용요금''' || 무료
+
| style="text-align:center;"|'''문의 및 안내''' || 02-450-9311
 
|-
 
|-
| style="text-align:center;"|'''관리자''' ||  
+
| style="text-align:center;"|'''홈페이지''' || [http://www.sisul.or.kr/open_content/childrenpark/ 서울어린이대공원]
 
|-
 
|-
 
|}
 
|}
24번째 줄: 26번째 줄:
  
 
=='''개요'''==
 
=='''개요'''==
어린이대공원(Children's Grand Park)은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에 위치한 어린이 가족테마공원이다. 1973년 5월 5일 제1회 어린이날에 개장하였으며, 약 53만여m2의 넓은 공간으로 개장 당시에는 동양 최대의 규모였다. 2009년 5월 5일에 이용시민들의 관람 편의성 향상을 위해 낡고 불편해진 시설을 교체는 단계적 리모델링 사업을 통해 재탄생하였다. 도심 속 푸른 숲과 파란 잔디의 녹지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어 어린이는 물론 일반시민을 위한 휴식 및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교양시설 및 동물원, 식물원, 놀이시설 등을 갖춘 학습교육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
원래의 이름는 [[유강원]](裕康園)이었지만, 흔히 [[유릉(裕陵)터]]로 불리던 곳이었기 때문에, 어린이대공원이 있는 지역의 이름도 능동이다. 유릉터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비 [[순명황후]] 민씨의 능터로서, 1904년에 승하하자 이곳에 장사하였다가 1926년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으로 옮겨 순종의 능 옆에 합장하였다. 그 뒤 유릉터라는 이름만 남아 있었다.
 +
 +
이곳은 1930년대부터 최초의 골프장으로 개발되어 1960년대까지 이어왔다. 그러나 위치가 도심에서 너무 가까울 뿐만 아니라, 당시만 해도 골프에 대한 인식이 보편적이지 않아 너무 사치스러운 운동이라는 비난도 있어서 옮기기로 계획되어 있었다.[[박정희 대통령]]이 골프장을 옮기고 어린이를 위한 대공원으로 만들라고 지시를 내린 것은 1970년 12월 4일이었으나, 우여곡절 끝에 공원 조성공사를 기공한 것은 1972년 11월 초부터의 일이다. 그러나 마침 겨울철이라서 제대로 공사가 진척되지 못하다가 1973년 봄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갔으며, 이른바 100일 작전이라는 불철주야의 강행군을 전개하였다.
 +
 +
당시 서울시가 벌인 공사 중 지하철 건설 다음 가는 대역사였다. 1973년 5월 5일(제51회 어린이날) 오전 10시, 박정희 대통령 내외가 참석하여 성대하게 준공식을 가졌으며, 그날 오후의 무료 개장 때는 30만 명 이상의 시민·어린이가 모여들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낡고 불편해진 시설들에 대하여 리모델링을 실시하여 2009년 5월 5일에 쾌적한 공원으로 재탄생하였다.
  
=='''역사'''==
 
  
===연혁 및 현황===
 
1970년대 어린이들의 소원 중 하나는 서울어린이대공원에 가서 청룡열차(88열차로 이름이 바뀜)를 타는 것이었다. 당시 창경궁 내 창경원(동물원)과 서울어린이대공원은 어린이들이 가장 가고 싶어 하는 양대 테마파크였다. 지금처럼 테마 공원이 많지 않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어린이들에게는 말 그대로 ‘꿈의 동산’이었다.
 
  
1973년 5월 5일 어린이날에 맞춰서 개장한 서울어린이대공원은 자연 환경을 그대로 살려 동물원, 식물원, 어린이종합유희장, 분수대, 야외수영장, 야외 음악당, 관망대와 식당 등을 갖추었다. 당시로서는 동양 최대 규모의 종합 어린이 놀이 시설인 아이랜드는 어린이들에게 더없이 즐거운 곳이었다. 국내 최초 시속 75km 고속, 4회전, 스크류 주행으로 짜릿한 스릴을 안겨준 놀이동산의 '랜드마크'였던 청룡열차, 하늘 높이 올라가 공원 전체를 내려다 볼 수 있던 대관람차 등은 당시 어린 시절을 보낸 이에게는 잊지 못할 추억이기도 하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style="width:50%|어린이대공원 기공식 참석 모습(1972)||style="width:50%"|어린이대공원 개원식(1973)
 +
|-
 +
|[[파일:어대기공식참석1.PNG|300px|left]]|| [[파일:개원식1.PNG|300px]]
 +
|}
  
서울어린이대공원은 개장 6일 만에 30만 명이 입장하는 등 관람객이 너무 많아 입장을 제한했고, 1977년 어린이날에는 하루 관람객 숫자가 73만 5천 명을 기록하였다. 서울어린이대공원과 창경원의 양강 구도는 70년대 말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했다. 창경원 동물원과 놀이시설은 78년 서울대공원으로 자리를 옮겼고 1983년 창경원은 창경궁으로 복원이 결정되었다. 1976년 용인에 에버랜드(옛 용인자연농원)가 개장되고, 1984년 경기도 과천에 같은 서울대공원이 개장하였고, 첨단 시설의 실내테마파크인 롯데월드(1989년 개장)와 강북구 드림랜드(1987년 개장· 2009년 공원으로 바뀜)와 같은 민간 테마파크들이 들어서면서 서울어린이대공원은 방문객이 줄어들었고 최고 테마파크의 자리를 내주게 된다.
 
그러나 1980년 지하철 2호선 화양역(현재의 건대입구역) 개통으로 지하철과 연계되었고, 지금은 지하철 5호선 아차산역과 7호선 어린이대공원역에서도 바로 연결돼 접근성이 좋은 도심공원으로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다. 2006년 10월 4일부터 영리 시설을 제외한 공원 전역을 무료로 개방하면서 시민들의 휴식과 쉼터로도 각광받고 있다. 2016년 어린이날에도 서울시의 주요 공원 중 가장 많은 사람이 찾은 공원은 서울어린이대공원으로 29만 6,165명을 기록했다.
 
  
서울어린이대공원이 위치한 서울시 광진구 능동로 216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황후였던 순명효황후 민씨의 유릉(裕陵, 1904년)이 있었던 능터로, 1904년 순명효황후가 승하하자 이곳에 장사하였다가 1926년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으로 옮겨 순종의 능옆에 합장하였다. ‘유릉(裕陵)터’로 불리었기 때문에 어린이대공원이 있는 동네 이름도 능동이다. 1930년대부터 골프장이었던 이곳을 1970년 12월 어린이를 위한 대공원으로 만들기로 결정되어 1973년 준공식을 가졌다. 개원 당시의 총면적은 71만㎡ 정도였으나 1975년 어린이회관이 들어서고, 1977년 리틀엔젤스학교가 들어서며 부지를 매각하여 현재 면적은 53만㎡ 정도이다. 전체 면적의 62%가 다양한 수족과 잔디로 이루어진 도심 속 푸른 숲으로 나무 사이사이에 놀이시설과 동물원, 식물원, 분수대 등이 있고, 방정환의 동상을 비롯하여 유관순(柳寬順), 조만식(曺晩植), 이승훈(李昇薰), 송진우(宋鎭禹) 등의 동상과 국민교육헌장비, 어린이헌장비 등의 기념비도 있다. 2006년 무료 개방 이후에는 주변의 구의동, 능동, 중곡동 주민의 동네 공원으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서울어린이대공원은 그동안 순차적으로 시설 보강과 재시공 공사를 거쳐 2009년 5월 5일 1차 재단장했다. 동물 우리도 바꾸고, 개장 36년 만에 야외음악당, 음악분수, 바다동물관 등의 시설도 재정비했다. 2012년 재건축을 위해 2년 동안 문을 닫고 공사에 들어가, 2014년 8월 27일 다시 문을 열었다. 놀이동산의 낡은 시설을 첨단 시설들로 교체하여 화려한 변신을 했다. '원조 롤러코스터'인 1970년대 청룡열차와 1980년대 88열차의 명성을 이어갈 손자뻘인 서스펜디드 패밀리코스터가 들어섰고, 38m 높이에서 떨어지는 드롭 타워를 포함한 최신식 국내외 놀이기구 10종을 새롭게 들여왔다. 2016년 1월 장애가 있는 아이들과 장애가 없는 아이들 모두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무장애통합놀이터 ‘꿈틀꿈틀 놀이터’가 2800㎡ 규모로 들어섰고, 2018년까지 ‘동화공원’도 조성된다. 1970∼80년대 어린이들을 열광케 했던 청룡열차와 88열차는 이제 추억 속으로 사라졌지만, 어린이대공원의 진화는 계속되고 있다.
+
=='''연표 및 시설현황'''==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82번째 줄: 86번째 줄:
 
|'''2014. 08. 27'''||놀이동산 재조성 완료 및 재개장
 
|'''2014. 08. 27'''||놀이동산 재조성 완료 및 재개장
 
|}
 
|}
 +
 +
 +
 +
 +
1973년 5월 5일 어린이날 개장한 가족 단위 휴식공간으로, 당시 서울컨트리클럽 골프장 부지를 무상기증받고 사유지를 매입하여 공원을 건설하였다. 1986년 5월 5일부터 어린이 입장료를 무료화하였으며, 2006년 10월 14일부터 전 연령 무료 개방하였다. 2007년 11월 공원 재조성사업 공사를 시작하였고, 완료 후 2009년 5월 5일 재개장하였다. 면적은 전체 약 53만 6,088㎡로, 녹지 및 수림 약 27만 2,422㎡, 잔디 약 5만 836㎡, 시설 약 21만 2,829㎡ 등이며, 전체 둘레는 약 4㎞이다.
 +
공원 출입문은 정문, 동문, 서문, 남문, 북문, 후문, 능동문, 회관문, 구의문 등 9개가 있으며, 주요 시설로 동물나라, 놀이동산, 자연나라 등이 있다. 
 +
 +
===동물나라===
 +
95종 4,100마리의 동물들이 있으며, 초식동물마을에는 큰뿔소, 캥거루, 얼룩말 등이 있다. 원숭이마을에는 침팬지와 일본원숭이 등이 있으며, 맹수마을에는 사자 등이 있다. 꼬마동물마을에는 미어캣, 프레리독, 왈라루, 사막여우, 스컹크 등이 있으며, 물새장에는 자카스펭귄이 있다. 이외에도 사슴마을, 들새마을, 열대동물관 등이 있으며, 동물 먹이주기 관람과 체험을 할 수 있다.
 +
 +
<gallery>
 +
파일:맹수동물관.jpg|600px|맹수동물 <br/>
 +
파일:초식동물관.jpg|600px|초식동물 <br/>
 +
파일:바다동물관.jpg|600px|바다동물 <br/>
 +
</gallery>
 +
 +
===자연나라===
 +
식물원에는 1,500㎡ 면적에 286종의 온실식물이 있으며, 500㎡ 면적에 66종의 야생화가 전시되어 있다. 생태연못에는 해오라기, 고방오리, 백로 등이 생활하고 있으며, 그 옆에 전래동화마을이 있어 '햇님달님', '선녀와 나무꾼' 등의 전래동화 조형물과 대형 동화책을 볼 수 있다. 정문 주변에 있는 환경연못에는 도루박이, 미나리 등의 습지식물과 붕어, 미꾸라지 등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다. 이외에도 공원에서 발생한 폐기물로 예술작품을 만든 상상마을, 산책로를 따라 천하대장군과 지하여장군이 있는 장승촌, 텃밭 체험을 할 수 있는 어린이 텃밭 등이 있다. 
 +
 +
<gallery>
 +
파일:다육1.PNG|600px|다육식물 <br/>
 +
파일:관엽1.PNG|600px|관엽식물 <br/>
 +
파일:분재1.PNG|600px|분재 <br/>
 +
파일:야생화1.PNG|600px|야생화 <br/>
 +
</gallery>
 +
 +
===재미나라===
 +
놀이동산 아이랜드(iLAND)에는 슈퍼바이킹, 드롭타워, 범퍼카, 하늘열차, 웨이브스윙, 후룸라이더, 패밀리코스타, 유령의 집 등 다채로운 놀이기구가 있으며, 동물공연장과 돔아트홀이 있어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모험의나라 놀이터, 오즈의마법사 놀이터가 있으며, 어린이숲속캠핑체험장, 어린이교통안전체험관 등이 있다. 물놀이를 할 수 있는 물놀이형 수경시설도 있으며, 음악분수와 무지개 분수도 있다.
 +
 +
<gallery>
 +
파일:어대놀이동산.jpg|600px|놀이동산 <br/>
 +
파일:어대놀이터.jpg|600px|놀이터 <br/>
 +
파일:어대음악분수.jpg|600px|음악분수 <br/>
 +
</gallery>
 +
 +
===부대시설===
 +
야외공연장, 축구장, 테니스장, 풋살경기장, 키즈 오토파크 등이 있으며, 현충시설로 유관순열사상, 박연상 동상, 고하 송진우 선생 동상, 소파 방정환 선생 동상, 김동인 문학상, 남강 이승훈 선생 동상, 고당 조만식 선생 동상, 백마고지 3용사의 동상, 을지문덕 장군상, 존비코울터 장군상, 통일과 번영의 상 등이 있다.
 +
 +
<gallery>
 +
파일:능동숲속무대.jpg|600px|능동숲속무대 <br/>
 +
파일:열린무대.jpg|600px|열린무대 <br/>
 +
파일:어대운동시설.jpg|600px|운동시설 <br/>
 +
파일:테니스장.jpg|600px|테니스장 <br/>
 +
</gallery>
 +
 +
====이용시간====
 +
*공원:오전 5시~오후 10시
 +
*동물원:오전 9시~오후 5시
 +
*식물원: 4~10월에 오전 9시~오후 6시/11~3월에 오전 9시~오후 5시
 +
*놀이동산 아이랜드:오전 10시~오후 6시 30분
 +
 +
====이용금액====
 +
*공원입장료: 무료
 +
*놀이동산 아이랜드·공연·잔디구장 등: 유료
  
 
=='''사건'''==
 
=='''사건'''==
 +
===코끼리 탈출===
 +
2005년 4월 20일 오후 3시 10분 코끼리 6마리가 어린이대공원을 탈출하여 상가와 주택 등을 부수고, 주부(52세)가 부상을 입었다.
 +
 +
<youtube>3dss5GSowHI</youtube>
 +
 +
===사자 사육사 사망===
 +
2015년 2월 12일 낮에 동물원 맹수마을에서 사육사(52세)가 사자에 물려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
 +
<youtube>AiuH4yJX5Vc</youtube>
 +
 +
=='''찾아가는 길'''==
 +
{{
 +
#display_map:
 +
Seoul City;
 +
37.5482248,127.0808374
 +
|service=googlemaps3
 +
|width=400
 +
|height=35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zoom=15
 +
}}​
 +
*주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 능동로 216
 +
 +
=='''출처'''==
 +
 +
[http://www.sisul.or.kr/open_content/childrenpark 서울어린이대공원]
 +
 +
[http://theme.archives.go.kr/next/koreaOfRecord/viewMain.do 국가기록원]
 +
 +
[http://encykorea.aks.ac.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http://terms.naver.com 네이버 지식백과]
 +
 +
=='''작성자 및 관련검색'''==
 +
[[분류:디지털과 지식콘텐츠(2019)]] [[분류:이슬기]] [[분류:우리 마을대공원]] [[분류:어린이대공원]] [[분류:유강원]] [[분류:유릉터]]

2019년 11월 30일 (토) 17:27 기준 최신판


개요

원래의 이름는 유강원(裕康園)이었지만, 흔히 유릉(裕陵)터로 불리던 곳이었기 때문에, 어린이대공원이 있는 지역의 이름도 능동이다. 유릉터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비 순명황후 민씨의 능터로서, 1904년에 승하하자 이곳에 장사하였다가 1926년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으로 옮겨 순종의 능 옆에 합장하였다. 그 뒤 유릉터라는 이름만 남아 있었다.

이곳은 1930년대부터 최초의 골프장으로 개발되어 1960년대까지 이어왔다. 그러나 위치가 도심에서 너무 가까울 뿐만 아니라, 당시만 해도 골프에 대한 인식이 보편적이지 않아 너무 사치스러운 운동이라는 비난도 있어서 옮기기로 계획되어 있었다.박정희 대통령이 골프장을 옮기고 어린이를 위한 대공원으로 만들라고 지시를 내린 것은 1970년 12월 4일이었으나, 우여곡절 끝에 공원 조성공사를 기공한 것은 1972년 11월 초부터의 일이다. 그러나 마침 겨울철이라서 제대로 공사가 진척되지 못하다가 1973년 봄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갔으며, 이른바 100일 작전이라는 불철주야의 강행군을 전개하였다.

당시 서울시가 벌인 공사 중 지하철 건설 다음 가는 대역사였다. 1973년 5월 5일(제51회 어린이날) 오전 10시, 박정희 대통령 내외가 참석하여 성대하게 준공식을 가졌으며, 그날 오후의 무료 개장 때는 30만 명 이상의 시민·어린이가 모여들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낡고 불편해진 시설들에 대하여 리모델링을 실시하여 2009년 5월 5일에 쾌적한 공원으로 재탄생하였다.


어린이대공원 기공식 참석 모습(1972) 어린이대공원 개원식(1973)
어대기공식참석1.PNG
개원식1.PNG


연표 및 시설현황

어린이대공원 연표
년도 내용
1929. 06. 22 경성골프구락부 개장
1970. 12. 04 박정희 대통령 어린이대공원 건설 지시
1972. 06. 20 부지확보

(서울 컨트리구락부 무상기증 12만평, 사유지 매입 9만8천평)

1972. 11. 03 어린이대공원 건설 착공
1973. 05. 05 개원
1975. 11. 11 어린이회관 분리 - 31,238평
1977. 01. 31 선화학원 분리 - 7,000평
1986. 01. 01 공단 인수 (536,088㎡)
1986. 05. 05 어린이 입장료 무료화 조치
1997. 12. 24 환경테마공원 조성 1차공사 시작

(준공 1998. 12. 16)

1998. 12. 18 동물사 개선 1차공사 시작 (준공 1999. 12. 30)
2000. 03. 02 동물사 개선 2차공사 시작 (준공 2001. 2. 25)
2000. 04. 19 환경테마공원 조성 2차공사 시작 (준공 2001. 4. 13)
2006. 10. 14 무료개방
2007. 11 어린이대공원 재조성사업 공사 시작
2009. 05. 05 그랜드 오픈 - 36년만의 재탄생
2014. 08. 27 놀이동산 재조성 완료 및 재개장



1973년 5월 5일 어린이날 개장한 가족 단위 휴식공간으로, 당시 서울컨트리클럽 골프장 부지를 무상기증받고 사유지를 매입하여 공원을 건설하였다. 1986년 5월 5일부터 어린이 입장료를 무료화하였으며, 2006년 10월 14일부터 전 연령 무료 개방하였다. 2007년 11월 공원 재조성사업 공사를 시작하였고, 완료 후 2009년 5월 5일 재개장하였다. 면적은 전체 약 53만 6,088㎡로, 녹지 및 수림 약 27만 2,422㎡, 잔디 약 5만 836㎡, 시설 약 21만 2,829㎡ 등이며, 전체 둘레는 약 4㎞이다.
공원 출입문은 정문, 동문, 서문, 남문, 북문, 후문, 능동문, 회관문, 구의문 등 9개가 있으며, 주요 시설로 동물나라, 놀이동산, 자연나라 등이 있다.  

동물나라

95종 4,100마리의 동물들이 있으며, 초식동물마을에는 큰뿔소, 캥거루, 얼룩말 등이 있다. 원숭이마을에는 침팬지와 일본원숭이 등이 있으며, 맹수마을에는 사자 등이 있다. 꼬마동물마을에는 미어캣, 프레리독, 왈라루, 사막여우, 스컹크 등이 있으며, 물새장에는 자카스펭귄이 있다. 이외에도 사슴마을, 들새마을, 열대동물관 등이 있으며, 동물 먹이주기 관람과 체험을 할 수 있다.

자연나라

식물원에는 1,500㎡ 면적에 286종의 온실식물이 있으며, 500㎡ 면적에 66종의 야생화가 전시되어 있다. 생태연못에는 해오라기, 고방오리, 백로 등이 생활하고 있으며, 그 옆에 전래동화마을이 있어 '햇님달님', '선녀와 나무꾼' 등의 전래동화 조형물과 대형 동화책을 볼 수 있다. 정문 주변에 있는 환경연못에는 도루박이, 미나리 등의 습지식물과 붕어, 미꾸라지 등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다. 이외에도 공원에서 발생한 폐기물로 예술작품을 만든 상상마을, 산책로를 따라 천하대장군과 지하여장군이 있는 장승촌, 텃밭 체험을 할 수 있는 어린이 텃밭 등이 있다.

재미나라

놀이동산 아이랜드(iLAND)에는 슈퍼바이킹, 드롭타워, 범퍼카, 하늘열차, 웨이브스윙, 후룸라이더, 패밀리코스타, 유령의 집 등 다채로운 놀이기구가 있으며, 동물공연장과 돔아트홀이 있어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모험의나라 놀이터, 오즈의마법사 놀이터가 있으며, 어린이숲속캠핑체험장, 어린이교통안전체험관 등이 있다. 물놀이를 할 수 있는 물놀이형 수경시설도 있으며, 음악분수와 무지개 분수도 있다.

부대시설

야외공연장, 축구장, 테니스장, 풋살경기장, 키즈 오토파크 등이 있으며, 현충시설로 유관순열사상, 박연상 동상, 고하 송진우 선생 동상, 소파 방정환 선생 동상, 김동인 문학상, 남강 이승훈 선생 동상, 고당 조만식 선생 동상, 백마고지 3용사의 동상, 을지문덕 장군상, 존비코울터 장군상, 통일과 번영의 상 등이 있다.

이용시간

  • 공원:오전 5시~오후 10시
  • 동물원:오전 9시~오후 5시
  • 식물원: 4~10월에 오전 9시~오후 6시/11~3월에 오전 9시~오후 5시
  • 놀이동산 아이랜드:오전 10시~오후 6시 30분

이용금액

  • 공원입장료: 무료
  • 놀이동산 아이랜드·공연·잔디구장 등: 유료

사건

코끼리 탈출

2005년 4월 20일 오후 3시 10분 코끼리 6마리가 어린이대공원을 탈출하여 상가와 주택 등을 부수고, 주부(52세)가 부상을 입었다.

사자 사육사 사망

2015년 2월 12일 낮에 동물원 맹수마을에서 사육사(52세)가 사자에 물려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찾아가는 길

지도를 불러오는 중...
  • 주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 능동로 216

출처

서울어린이대공원

국가기록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작성자 및 관련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