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미사리 유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
 
(문서를 비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불국사'''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미사리1.jpg|300px|]] '''<br/>[https://gjicp.ggcf.kr/archives/artwork/%ED%95%98%EB%82%A8-%EB%AF%B8%EC%82%AC%EB%A6%AC-%EC%9C%A0%EC%A0%81 경기문화재연구원],<br/>'''공공누리 제4유형'''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명칭''' ||'''하남 미사리 유적'''
 
|-
 
| style="text-align:center;"|'''위치''' ||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 557번지'''
 
|-
 
| style="text-align:center;"|'''지정구분''' || '''국가지정문화재'''
 
|-
 
| style="text-align:center;"|'''종목 및 지정번호''' || '''사적 제269호'''
 
|-
 
| style="text-align:center;"|'''유형분류''' || '''유적건조물'''
 
|-
 
| style="text-align:center;"|'''지정일''' || '''1979.10.25'''
 
|-
 
| style="text-align:center;"|'''시대''' || '''선사시대'''
 
|-
 
| style="text-align:center;"|'''등재연도''' || '''1995년'''
 
|-
 
|}
 
</onlyinclude>
 
 
 
'''하남 미사리 유적지'''
 
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신석기시대~백제시대 집터·토기류·고상식건물 관련 생활유적.
 
=='''역사'''==
 
하남 미사리 유적(河南 渼沙里 遺蹟)은 사적 제269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 557번지 외 이다.
 
 
이 유적은 1960년에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에는 신석기시대의 유물만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여러 차례에 걸친 발굴 조사를 통하여 신석기시대부터 고려시대에 이르는 유물과 유구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미사동 유적은 선사시대부터 역사시대에 걸친 한강 하류 지역의 고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신석기시대의 집터와 화덕자리 그리고 많은 종류의 석기와 빗살무늬토기가 발굴되었다. 이 곳의 신석기시대 문화 성격은 미사동보다 약간 하류 쪽에 있는 암사동 유적과 여러 가지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청동기시대 지층에서는 집터와 화덕자리를 비롯하여 다양한 석기와 민토기, 붉은간그릇, 검은간그릇, 구멍무늬토기, 덧띠토기 등이 나왔다. 삼한시대의 지층에서는 움집과 지상 가옥의 집자리, 부뚜막 시설 등이 확인되어 고대 건축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여러 종류의 철제 유물, 토기, 석기, 옥제품 등과 함께 유리구슬을 만드는 데 쓰인 거푸집과 1세기 무렵으로 보이는 청동거울도 이 시기의 문화층에서 나왔다. 미사동 유적에서 드러난 백제시대 경작지(밭)의 발굴 성과는 당시의 사회 경제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역사'''===
 
===='''창건기'''====
 
 
 
=='''국보'''==
 
==='''다보탑'''===
 
 
 
==='''석가탑'''===
 
 
<gallery>
 
 
파일:석가탑1.png|300px| |'''1930년대 석가탑'''<br/>[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160234&menuNo=200018 공유마당],<br/>'''CC BY'''
 
파일:석가탑2.jpg|300픽셀| |'''석가탑(by Sirén, Osvald)'''<br/>[https://www.europeana.eu/portal/en/record/91669/SMVK_OM_Bildarkiv_200415.html 유로피아나],<br/>'''CC BY-NC-ND'''
 
파일:석가탑4.png|300픽셀||'''석가탑(by Tonio Vega) '''<br/>[https://www.flickr.com/photos/71368551@N00/338799100/ filckr],<br/>'''CC BY-NC'''
 
파일:석가탑3.jpg|300픽셀||'''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br/>[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1_1_0&ccbaCpno=1113700210000# 문화재청],<br/>'''공공누리 제1유형'''
 
 
 
</gallery>
 
 
 
파일:석조1.jpg|300픽셀||'''불국사 석조 '''<br/>[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15230000,37&pageNo=5_1_1_0# 문화재청],<br/>'''공공누리 제1유형'''
 
파일:석조2.jpg|300px| |'''불국사석조'''<br/>[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1,00980000,37&pageNo=5_1_1_0# 문화재청],<br/>'''공공누리 제1유형'''
 
파일:석조3.jpg|300픽셀| |'''불국사 석조'''<br/>[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15230000,37&pageNo=5_1_1_0# 문화재청],<br/>'''공공누리 제1유형'''
 
 
 
 
</gallery>
 
 
=='''교통'''==
 
{{
 
#display_map:
 
Seoul City;
 
35.789626, 129.331332
 
|service=googlemaps3
 
|width=400
 
|height=300
 
|type=normal
 
|overlays=videos-1,wikipedia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zoom=14
 
}}
 
[https://www.google.co.kr/maps/place/%EC%84%9C%EC%9A%B8%ED%8A%B9%EB%B3%84%EC%8B%9C+%EC%84%B1%EB%B6%81%EA%B5%AC/@37.6023243,126.9902165,13z/data=!3m1!4b1!4m5!3m4!1s0x357cbc914445e619:0x6c9b1237a957b524!8m2!3d37.589116!4d127.0182146?hl=ko Google Maps] '''비상업적 이용 - 공정 이용 가능'''
 
 
*'''대중교통'''
 
 
 
 
 
 
*'''자가 운전'''
 
 
==관련 자료==
 
 
 
 
=='''참고문헌/출처'''==
 
* [https://www.youtube.com Youtube]
 
* [https://gjicp.ggcf.kr/archives/artwork/%ED%95%98%EB%82%A8-%EB%AF%B8%EC%82%AC%EB%A6%AC-%EC%9C%A0%EC%A0%81 경기문화재연구원]
 
 
* [https://www.google.co.kr/maps/place/%EC%84%9C%EC%9A%B8%ED%8A%B9%EB%B3%84%EC%8B%9C+%EC%84%B1%EB%B6%81%EA%B5%AC/@37.6023243,126.9902165,13z/data=!3m1!4b1!4m5!3m4!1s0x357cbc914445e619:0x6c9b1237a957b524!8m2!3d37.589116!4d127.0182146?hl=ko Google Maps] '''비상업적 이용 - 공정 이용 가능'''
 
* [http://www.archives.go.kr/next/search/showDetailPopup.do?rc_code=1310377&rc_rfile_no=200200065599&rc_ritem_no=000000000004#viewer 국가기록원]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표시'''
 
* [https://know.tour.go.kr/dbservice/reso/detail.do?res_cd=4713-A-25540&res_type=A 관광지식정보시스템]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표시'''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이재희]]
 
 
[[분류:경주 문화재]] [[분류:불국사]] [[분류:국보]] [[분류:지식의 공유(N)]]
 

2019년 12월 1일 (일) 21:00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