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개정안 부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성자 및 기여자)
(관련항목)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3번째 줄: 53번째 줄:
 
==줄거리==
 
==줄거리==
  
 +
한국의 갑작스런 상업주의, 돈의 가치가 최고가 되는 현실에 대해 비판한다.
  
 
==출판 및 공연 정보==
 
==출판 및 공연 정보==
*출판: <이근삼 전집 1>
+
*출판: <이근삼 전집 1>
2008.12.13, 연극과 인간
+
      2008.12.13, 연극과 인간
 
+
      319p-----인생개정안 부결
319p-----인생개정안 부결
 
  
  
66번째 줄: 66번째 줄:
  
 
옛날 '예그린' 사무실에 드나들 때 쓴 것인데, 본래 '국립극단'에서 공연될 예정으로 프린트까지 다 마련해 놓았다가 갑자기 중지된 불운한 극이다. 이 극에 나오는 주인공이 정계를 휩쓰는 어떤 인물의 출세담 같다는 말이 들렸기 때문이다. 중지 되었다는 말을 듣고 섭섭한 생각이 들기보다는 웃음이 나왔다. 그리고 한국의 오늘날(1966년)을 또 한 번 생각해 보았다.
 
옛날 '예그린' 사무실에 드나들 때 쓴 것인데, 본래 '국립극단'에서 공연될 예정으로 프린트까지 다 마련해 놓았다가 갑자기 중지된 불운한 극이다. 이 극에 나오는 주인공이 정계를 휩쓰는 어떤 인물의 출세담 같다는 말이 들렸기 때문이다. 중지 되었다는 말을 듣고 섭섭한 생각이 들기보다는 웃음이 나왔다. 그리고 한국의 오늘날(1966년)을 또 한 번 생각해 보았다.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4283&mobile&cid=40942&categoryId=34426 몰리에르]의 『가짜신사』를 다분히 의식하고 썼다.
  
 
==관련항목==
 
==관련항목==
72번째 줄: 74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주어(S)]] || [[목적어(O)]] || A는 B를 ~하다(P) ||  
+
| [[이근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4283&mobile&cid=40942&categoryId=34426 몰리에르] || A는 B를 의식했다. ||  
  
 
|}
 
|}
79번째 줄: 81번째 줄:
  
 
이근삼 전집 1권 (희곡)
 
이근삼 전집 1권 (희곡)
 +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70nana&logNo=60009695476 네이버 블로그]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2018년 6월 24일 (일) 23:20 기준 최신판


제목


개요

등장인물

오석구 (신흥실업공사사장)

박 씨 (오석구의 처)

오철구 (오석구의 아들)

옥분 (철구의 약혼녀, 벙어리)

복석 (극의 설명역, 부사장)

유돈불 (백두산은행의 두치)

오석팔 (위대한 극작가)

나여사 (4·6 고아원장)

성음성 (음악교사)

김 은 (무용선생, 오석구의 정부)

김팔자 (육고집 백정)

미나미 (복석의 일본인 친구)

텔레비전 정령

냉장고 정령

피아노 정령

줄거리

한국의 갑작스런 상업주의, 돈의 가치가 최고가 되는 현실에 대해 비판한다.

출판 및 공연 정보

*출판: <이근삼 전집 1>
      2008.12.13, 연극과 인간
      319p-----인생개정안 부결


*공연: 국립극단 서 급 중지됨

작가 서문

옛날 '예그린' 사무실에 드나들 때 쓴 것인데, 본래 '국립극단'에서 공연될 예정으로 프린트까지 다 마련해 놓았다가 갑자기 중지된 불운한 극이다. 이 극에 나오는 주인공이 정계를 휩쓰는 어떤 인물의 출세담 같다는 말이 들렸기 때문이다. 중지 되었다는 말을 듣고 섭섭한 생각이 들기보다는 웃음이 나왔다. 그리고 한국의 오늘날(1966년)을 또 한 번 생각해 보았다.

몰리에르의 『가짜신사』를 다분히 의식하고 썼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근삼 몰리에르 A는 B를 의식했다.

참고문헌

이근삼 전집 1권 (희곡)

네이버 블로그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최승현

기여자: 김민지-출판정보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