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징 필 산수화조도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17번째 줄: 17번째 줄:
  
 
|}
 
|}
 
+
‘이징 산수화조도첩’은 조선 중기 소경산수(小景山水)와 화조영모(花鳥翎毛)로 명성이 높았던 허주(虛舟) 이징(李澄, 1581~)의 그림 18점과 택당(澤堂) 이식(李植, 1584~1647), 백주(白洲) 이명한(李明漢, 1595~1645) 등 당시 유명 문인들의 제시 37점을 수록한 시서화(詩書畵) 합벽첩(合壁帖)이다. 이때는 이징이 조선 최고의 화가로 인조의 총애를 받아 화원(畵員)들을 지도하기 위해 도화서(圖畫署) 교수(敎授)로 임용된 시기로서, 그의 예술적 기량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때이다. 이 서화첩은 이징이 화조․영모 분야를 비롯해 산수에 있어서도 17세기 회화를 선도한 역량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 기준작으로서 의의가 있다. 기년작(紀年作)이 많지 않은 조선 중기 산수화조화 중 드물게 작가와 제작시기를 알 수 있는 작품이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서화 합벽첩으로 한국회화사 연구에 있어 가치가 높다.
이징 산수화조도첩은 허주 이징의 그림 18점과 택당 이식, 백주 이명한등 당시 유명문인들의 제시 37점을 수록한 시서화 합벽첩이다. 가장 오래된 시서화 합벽척이다.
 
  
 
==작성자==
 
==작성자==

2022년 11월 28일 (월) 17:07 판

소개

보물 제1985호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jpg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수량/면적 1첩
지정(등록)일 2018.06.27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시대 1642년(인조 20) 추정
관리자 간송미술문화재단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은 조선 중기 소경산수(小景山水)와 화조영모(花鳥翎毛)로 명성이 높았던 허주(虛舟) 이징(李澄, 1581~)의 그림 18점과 택당(澤堂) 이식(李植, 1584~1647), 백주(白洲) 이명한(李明漢, 1595~1645) 등 당시 유명 문인들의 제시 37점을 수록한 시서화(詩書畵) 합벽첩(合壁帖)이다. 이때는 이징이 조선 최고의 화가로 인조의 총애를 받아 화원(畵員)들을 지도하기 위해 도화서(圖畫署) 교수(敎授)로 임용된 시기로서, 그의 예술적 기량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때이다. 이 서화첩은 이징이 화조․영모 분야를 비롯해 산수에 있어서도 17세기 회화를 선도한 역량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 기준작으로서 의의가 있다. 기년작(紀年作)이 많지 않은 조선 중기 산수화조화 중 드물게 작가와 제작시기를 알 수 있는 작품이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서화 합벽첩으로 한국회화사 연구에 있어 가치가 높다.

작성자

전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