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징 필 산수화조도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1번째 줄: 1번째 줄: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
  
==소개==
+
==="소개"===
 
[[파일:보물 제1985호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jpg|350px|left]]  
 
[[파일:보물 제1985호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jpg|350px|left]]  
  
{| cellpadding="10" cellspacing="0" border="1" width="100%"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40%;"
 +
!style="width:20%|분류 || style="width:50%"|내용
 
|-
 
|-
| 분류 ||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
|'''분류'''|| 유믈 / 일반회화 / 산수화
 
|-
 
|-
| 수량/면적 || 1첩
+
|'''수량 / 면적'''|| 1첩
 
|-
 
|-
| 지정(등록)일 || 2018.06.27
+
|'''지정(등록)일'''|| 2018.06.27
 
|-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
 
|-
| 시대 || 1642년(인조 20) 추정
+
|'''시대'''|| 1642년(인조 20) 추정
 
|-
 
|-
| 관리자 || 간송미술문화재단  
+
|'''관리자'''|| 간송미술문화재단
 
+
|'''시기'''|| 미상
 
|}
 
|}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은 조선 중기 [[소경산수(小景山水)]]와 [[화조영모(花鳥翎毛)]]로 명성이 높았던 [[허주(虛舟) 이징(李澄, 1581~)]]의 그림 18점과 택당(澤堂) 이식(李植, 1584~1647), 백주(白洲) 이명한(李明漢, 1595~1645) 등 당시 유명 문인들의 제시 37점을 수록한 시서화(詩書畵) 합벽첩(合壁帖)이다. 이때는 이징이 조선 최고의 화가로 인조의 총애를 받아 화원(畵員)들을 지도하기 위해 도화서(圖畫署) 교수(敎授)로 임용된 시기로서, 그의 예술적 기량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때이다. 이 서화첩은 이징이 화조․영모 분야를 비롯해 산수에 있어서도 17세기 회화를 선도한 역량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 기준작으로서 의의가 있다. 기년작(紀年作)이 많지 않은 조선 중기 산수화조화 중 드물게 작가와 제작시기를 알 수 있는 작품이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서화 합벽첩으로 한국회화사 연구에 있어 가치가 높다.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은 조선 중기 [[소경산수(小景山水)]]와 [[화조영모(花鳥翎毛)]]로 명성이 높았던 [[허주(虛舟) 이징(李澄, 1581~)]]의 그림 18점과 택당(澤堂) 이식(李植, 1584~1647), 백주(白洲) 이명한(李明漢, 1595~1645) 등 당시 유명 문인들의 제시 37점을 수록한 시서화(詩書畵) 합벽첩(合壁帖)이다. 이때는 이징이 조선 최고의 화가로 인조의 총애를 받아 화원(畵員)들을 지도하기 위해 도화서(圖畫署) 교수(敎授)로 임용된 시기로서, 그의 예술적 기량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때이다. 이 서화첩은 이징이 화조․영모 분야를 비롯해 산수에 있어서도 17세기 회화를 선도한 역량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 기준작으로서 의의가 있다. 기년작(紀年作)이 많지 않은 조선 중기 산수화조화 중 드물게 작가와 제작시기를 알 수 있는 작품이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서화 합벽첩으로 한국회화사 연구에 있어 가치가 높다.

2022년 11월 29일 (화) 22:04 판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

"소개"

보물 제1985호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jpg


분류 내용
분류 유믈 / 일반회화 / 산수화
수량 / 면적 1첩
지정(등록)일 2018.06.27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시대 1642년(인조 20) 추정
관리자 간송미술문화재단 시기 미상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은 조선 중기 소경산수(小景山水)화조영모(花鳥翎毛)로 명성이 높았던 허주(虛舟) 이징(李澄, 1581~)의 그림 18점과 택당(澤堂) 이식(李植, 1584~1647), 백주(白洲) 이명한(李明漢, 1595~1645) 등 당시 유명 문인들의 제시 37점을 수록한 시서화(詩書畵) 합벽첩(合壁帖)이다. 이때는 이징이 조선 최고의 화가로 인조의 총애를 받아 화원(畵員)들을 지도하기 위해 도화서(圖畫署) 교수(敎授)로 임용된 시기로서, 그의 예술적 기량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때이다. 이 서화첩은 이징이 화조․영모 분야를 비롯해 산수에 있어서도 17세기 회화를 선도한 역량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 기준작으로서 의의가 있다. 기년작(紀年作)이 많지 않은 조선 중기 산수화조화 중 드물게 작가와 제작시기를 알 수 있는 작품이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서화 합벽첩으로 한국회화사 연구에 있어 가치가 높다.

작성자

전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