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필 풍악도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기본정보== ==소개== 작성자:강윤지)
 
1번째 줄: 1번째 줄:
 +
 +
 
==기본정보==
 
==기본정보==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
|-
==소개==
+
|지정유형||'''보물'''
 +
|-
 +
|지정일||2015년 4월 22일
 +
|-
 +
|종류||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
|-
 +
|시대||조선시대
 +
|-
 +
|소재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
 +
|소유(관리)||국립중앙박물관
 +
|-
 +
|}
  
  
10번째 줄: 26번째 줄:
  
  
 +
==소개==
 +
-조선 후기의 화가 겸재 정선이 36세 때인 1711년(숙종 37) 금강산을 여행한 뒤에 남긴 화첩으로, 신묘년(辛卯年)에 그려졌다 하여 '''《신묘년 풍악도첩》'''이라고도 부른다. 비단에 엷은 채색으로 그려진 세로 26.6~37.8㎝, 가로 23~37.6㎝의 그림 13폭과 화기(畵記) 1폭 등''' 총 14폭'''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금까지 연대가 밝혀진 정선의 작품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5년 4월 22일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이 화첩은 정선의 벗인 이병연(李秉淵, 1671∼1751)이 금강산 초입인 김화(金化)의 현감으로 부임한 다음 해인 1711년에, 겸재가 백석공(白石公)이라는 인물과 함께 금강산을 유람하고 그 일대의 경치를 그린 것으로, 화첩으로 제작된 것은 1807년(순조 7)이다. 내금강·외금강·해금강 등 금강산의 주요 명승을 담았으며, 산봉우리마다 명칭을 표시하고 길을 뚜렷이 표시하고 있어 조선시대 지도의 영향을 보여준다. 후기의 원숙한 화풍에 비하면 미숙함이 엿보이지만, 초창기의 활력과 열의로 가득 찬 그림들로서 정선의 진경산수화가 형성된 과정이 잘 드러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
[[분류:국립중앙박물관]][[분류:정선]][[분류:조선]][[분류:보물]][[분류:유물]][[분류:산수화]]
  
  

2022년 11월 30일 (수) 20:21 판


기본정보

지정유형 보물
지정일 2015년 4월 22일
종류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시대 조선시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소유(관리) 국립중앙박물관



소개

-조선 후기의 화가 겸재 정선이 36세 때인 1711년(숙종 37) 금강산을 여행한 뒤에 남긴 화첩으로, 신묘년(辛卯年)에 그려졌다 하여 《신묘년 풍악도첩》이라고도 부른다. 비단에 엷은 채색으로 그려진 세로 26.6~37.8㎝, 가로 23~37.6㎝의 그림 13폭과 화기(畵記) 1폭 등 총 14폭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금까지 연대가 밝혀진 정선의 작품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5년 4월 22일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화첩은 정선의 벗인 이병연(李秉淵, 1671∼1751)이 금강산 초입인 김화(金化)의 현감으로 부임한 다음 해인 1711년에, 겸재가 백석공(白石公)이라는 인물과 함께 금강산을 유람하고 그 일대의 경치를 그린 것으로, 화첩으로 제작된 것은 1807년(순조 7)이다. 내금강·외금강·해금강 등 금강산의 주요 명승을 담았으며, 산봉우리마다 명칭을 표시하고 길을 뚜렷이 표시하고 있어 조선시대 지도의 영향을 보여준다. 후기의 원숙한 화풍에 비하면 미숙함이 엿보이지만, 초창기의 활력과 열의로 가득 찬 그림들로서 정선의 진경산수화가 형성된 과정이 잘 드러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작성자:강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