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원연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3번째 줄: 3번째 줄:
 
|-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춘원연구'''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춘원연구'''
 +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작품명''' || 춘원연구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작품명''' || [[춘원연구]]
+
| style="text-align:center;"|'''저자''' || [[김동인]]
 
|-  
 
|-  
| style="text-align:center;"|'''저자''' || [[김동인]]
+
| style="text-align:center;"|'''출판년도''' || 1934
 
|-  
 
|-  
| style="text-align:center;"|'''창작년도''' || 1934
+
| style="text-align:center;"|'''성격''' || 비평
 
|-  
 
|-  
 
|}
 
|}
 
</onlyinclude>
 
</onlyinclude>
  
'''춘원연구'''
+
==작품소개==
==개요==
+
 
[[김동인]]이 지은 춘원 이광수(李光洙) 소설에 대한 비평서이다. 1934년 12월부터 1935년 10월까지≪삼천리 三千里≫, 1938년 1월부터 4월까지≪삼천리문학 三千里文學≫, 그리고 1938년 10월부터 1939년 6월까지 다시 ≪삼천리≫에 발표되었다. 그 뒤 전영택(田榮澤)과 백철(白鐵)의 서(序), 정비석(鄭飛石)의 발문을 붙이고, 비평문 <조선근대소설고 朝鮮近代小說考> 등을 합하여 1956년에 신구문화사(新丘文化社)에서 ≪춘원연구≫라는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
[[김동인]]이 지은 춘원 이광수(李光洙) 소설에 대한 비평서이다.  
 +
 
 +
1934년 12월부터 1935년 10월까지≪삼천리 三千里≫, 1938년 1월부터 4월까지≪삼천리문학 三千里文學≫, 그리고 1938년 10월부터 1939년 6월까지 다시 ≪삼천리≫에 발표되었다.  
 +
 
 +
그 뒤 전영택(田榮澤)과 백철(白鐵)의 서(序), 정비석(鄭飛石)의 발문을 붙이고, 비평문 <조선근대소설고 朝鮮近代小說考> 등을 합하여 1956년에 신구문화사(新丘文化社)에서 ≪춘원연구≫라는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
 
  
 
==내용==
 
==내용==
전체 연재순서는 ① 서언(緖言), ② 춘원 이광수, ③ <어린 벗에게>와 <소년의 비애(悲哀)> 기타, ④ <무정 無情>과 <개척자 開拓者>, ⑤ 기미(己未) 전후, ⑥ <가실> 이하 단편, ⑦ 물어(物語 : 이야기)와 사화(史話)와 소설, ⑧ <허생전 許生傳>, ⑨ <일설 춘향전 一說春香傳>, ⑩ <재생 再生>, ⑪ <마의태자 麻衣太子>, ⑫ <무정>에서 <마의태자>까지, ⑬ 단종 전후 역사와 문헌, ⑭ 춘원의 <단종애사 端宗哀史>, ⑮ <흙> 등 총 15장으로 구성되었다.
+
전체 연재순서는  
 +
 
 +
① 서언(緖言), ② 춘원 이광수, ③ <어린 벗에게>와 <소년의 비애(悲哀)> 기타, ④ <무정 無情>과 <개척자 開拓者>, ⑤ 기미(己未) 전후, ⑥ <가실> 이하 단편, ⑦ 물어(物語 : 이야기)와 사화(史話)와 소설, ⑧ <허생전 許生傳>, ⑨ <일설 춘향전 一說春香傳>, ⑩ <재생 再生>, ⑪ <마의태자 麻衣太子>, ⑫ <무정>에서 <마의태자>까지, ⑬ 단종 전후 역사와 문헌, ⑭ 춘원의 <단종애사 端宗哀史>, ⑮ <흙> 등 총 15장으로 구성되었다.
 +
 
 +
그러나 단행본으로 출간될 때 ⑤와 ⑥이 누락되었고, ⑬과 ⑭가 합쳐져서 ‘춘원의 단종애사’라는 항목으로 묶였다.  
  
그러나 단행본으로 출간될 때 ⑤와 ⑥이 누락되었고, ⑬과 ⑭가 합쳐져서 ‘춘원의 단종애사’라는 항목으로 묶였다. 전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이광수의 소설을 <허생전>·<일설 춘향전>과 같은 물어와 <마의태자>·<단종애사>·<이순신>과 같은 사화, <무정>·<재생>·<군상 群像>·<흙>·<유정 有情> 등 소설의 세 가지로 나누고, 주로 <무정>·<단종애사>·<재생>·<흙>을 평설(評說)하는 데에 집중하였다.
+
전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이광수의 소설을 <허생전>·<일설 춘향전>과 같은 물어와 <마의태자>·<단종애사>·<이순신>과 같은 사화, <무정>·<재생>·<군상 群像>·<흙>·<유정 有情> 등 소설의 세 가지로 나누고, 주로 <무정>·<단종애사>·<재생>·<흙>을 평설(評說)하는 데에 집중하였다.
  
 
<무정>에 대해서는 인물 성격의 불통일, 구조의 파탄, 민족애의 고조 등을 들어 비판하는 한편, 구어체 문장과 사실적인 인물·장면 묘사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도 보이고 있다.
 
<무정>에 대해서는 인물 성격의 불통일, 구조의 파탄, 민족애의 고조 등을 들어 비판하는 한편, 구어체 문장과 사실적인 인물·장면 묘사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도 보이고 있다.
27번째 줄: 38번째 줄:
  
 
또한 <단종애사>에서도 사적인 고증의 결핍과 성격의 불통일, ‘사실(史實)의 재생’일 뿐이라는 역사소설 의식의 결여를 지적하였다. <흙>에서는 그것이 <무정>·<재생>의 재판일 뿐이라고 신랄하게 비평하였다.
 
또한 <단종애사>에서도 사적인 고증의 결핍과 성격의 불통일, ‘사실(史實)의 재생’일 뿐이라는 역사소설 의식의 결여를 지적하였다. <흙>에서는 그것이 <무정>·<재생>의 재판일 뿐이라고 신랄하게 비평하였다.
 +
 +
==전문==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03287&cid=51280&categoryId=51354 춘원연구 전문]
 +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김동인]] || [[춘원연구]] || A는 B를 집필했다 ||
 +
|}
 +
 +
==참고문헌==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29710&cid=46645&categoryId=4664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03290&cid=51280&categoryId=51354 네이버 공유마당]
 +
 +
[[분류:작품]] [[분류: 정민정]]

2019년 6월 4일 (화) 10:07 판


작품소개

김동인이 지은 춘원 이광수(李光洙) 소설에 대한 비평서이다.

1934년 12월부터 1935년 10월까지≪삼천리 三千里≫, 1938년 1월부터 4월까지≪삼천리문학 三千里文學≫, 그리고 1938년 10월부터 1939년 6월까지 다시 ≪삼천리≫에 발표되었다.

그 뒤 전영택(田榮澤)과 백철(白鐵)의 서(序), 정비석(鄭飛石)의 발문을 붙이고, 비평문 <조선근대소설고 朝鮮近代小說考> 등을 합하여 1956년에 신구문화사(新丘文化社)에서 ≪춘원연구≫라는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내용

전체 연재순서는

① 서언(緖言), ② 춘원 이광수, ③ <어린 벗에게>와 <소년의 비애(悲哀)> 기타, ④ <무정 無情>과 <개척자 開拓者>, ⑤ 기미(己未) 전후, ⑥ <가실> 이하 단편, ⑦ 물어(物語 : 이야기)와 사화(史話)와 소설, ⑧ <허생전 許生傳>, ⑨ <일설 춘향전 一說春香傳>, ⑩ <재생 再生>, ⑪ <마의태자 麻衣太子>, ⑫ <무정>에서 <마의태자>까지, ⑬ 단종 전후 역사와 문헌, ⑭ 춘원의 <단종애사 端宗哀史>, ⑮ <흙> 등 총 15장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단행본으로 출간될 때 ⑤와 ⑥이 누락되었고, ⑬과 ⑭가 합쳐져서 ‘춘원의 단종애사’라는 항목으로 묶였다.

전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이광수의 소설을 <허생전>·<일설 춘향전>과 같은 물어와 <마의태자>·<단종애사>·<이순신>과 같은 사화, <무정>·<재생>·<군상 群像>·<흙>·<유정 有情> 등 소설의 세 가지로 나누고, 주로 <무정>·<단종애사>·<재생>·<흙>을 평설(評說)하는 데에 집중하였다.

<무정>에 대해서는 인물 성격의 불통일, 구조의 파탄, 민족애의 고조 등을 들어 비판하는 한편, 구어체 문장과 사실적인 인물·장면 묘사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재생>에서는 상편과 하편의 인물 성격의 불통일성, 신파 비극적 결구(結構), 합리적인 소설 진행의 결여 등을 들어 ‘인생(人生)을 보여주지 못한 소설’이라고 혹평하였다.

또한 <단종애사>에서도 사적인 고증의 결핍과 성격의 불통일, ‘사실(史實)의 재생’일 뿐이라는 역사소설 의식의 결여를 지적하였다. <흙>에서는 그것이 <무정>·<재생>의 재판일 뿐이라고 신랄하게 비평하였다.

전문

춘원연구 전문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동인 춘원연구 A는 B를 집필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공유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