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3번째 줄: 23번째 줄:
 
|-
 
|-
 
|}
 
|}
 +
 +
 +
=='''생애'''==
 +
본명은 김시종(金始鍾)이고 본관은 선산(善山)이다. 경상북도 경주에서 아버지 김임수(金任守)와 어머니 허임순(許任順)의 3남 2녀 중 막내로 출생하였다.
 +
 +
1934년 '백로(시)', 1935년 '화랑의 후예', 1936년 '산화'가 연이어 당선되면서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
 +
인생의 구경(究境)을 탐구하는 문학 정신을 주창하였다. 또한 운명의 문제를 폭넓게 형상화하였고, 해방 후에는 새로운 휴머니즘을 작품에 구현하고자 했다.
 +
 +
김동리가 쓴 소설의 주제는 대체로 '운명'이다. 이것은 곧 그가 추구한 '생명이 구경적 형식'을 그는 스스로 '운명'으로 파악했음을 의미한다. 주요작품으로는 《사반의 십자가》,《무녀도》등이 있다.
 +
 +
소설가 손소희(孫素熙)는 그의 2번째 부인이고 소설가 서영은(徐永恩)은 3번째 부인이며 동양철학자 김범부(金凡父)는 첫째 형이다.
 +
 +
1995년 6월 17일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2019년 6월 5일 (수) 20:07 판


생애

본명은 김시종(金始鍾)이고 본관은 선산(善山)이다. 경상북도 경주에서 아버지 김임수(金任守)와 어머니 허임순(許任順)의 3남 2녀 중 막내로 출생하였다.

1934년 '백로(시)', 1935년 '화랑의 후예', 1936년 '산화'가 연이어 당선되면서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인생의 구경(究境)을 탐구하는 문학 정신을 주창하였다. 또한 운명의 문제를 폭넓게 형상화하였고, 해방 후에는 새로운 휴머니즘을 작품에 구현하고자 했다.

김동리가 쓴 소설의 주제는 대체로 '운명'이다. 이것은 곧 그가 추구한 '생명이 구경적 형식'을 그는 스스로 '운명'으로 파악했음을 의미한다. 주요작품으로는 《사반의 십자가》,《무녀도》등이 있다.

소설가 손소희(孫素熙)는 그의 2번째 부인이고 소설가 서영은(徐永恩)은 3번째 부인이며 동양철학자 김범부(金凡父)는 첫째 형이다.

1995년 6월 17일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