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촌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제정취지)
(제정취지)
21번째 줄: 21번째 줄:
  
 
==제정취지==
 
==제정취지==
재단법인 인촌기념회와 동아일보사는 <독립자강>의 구국신념과 <공선사후>의 생활신조를 실천하는데 혼신의 정력을 기울였던 고 인촌 김성수선생의 유지를 현양하기 위하여 <인촌상>을 제정합니다.
+
재단법인 인촌기념회와 동아일보사는 <독립자강>의 구국신념과 <공선사후>의 생활신조를 실천하는데 혼신의 정력을 기울였던 고 인촌 김성수선생의 유지를 현양하기 위하여 <인촌상>을 제정합니다. 인촌상의 시상을 통해 일제하의 고난과 광복후의 진통을 겨레와 함께 극복하면서 민족주의의 성취, 민주주의의 실현, 민족문화의 창달에 헌신함으로써 겨레의 사표가 되었던 인촌선생의 큰 뜻이 항상 살아 있기를 기대합니다. 또한 인재의 양성없이는 민족적 자강을 성취할 수 없다는 확신에 따라 스스로 민족교육의 기수가 되기를 열망했으며 그의 주변에 모이는 인재들에게는 언제나 격려와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인촌선생의 높은 뜻도 인촌상의 시행을 통하여 실현되기를 바랍니다. 이 같은 우리의 소망을 담아 인촌상은 해마다 인촌선생의 탄신일(10월11일)에 시상하게 됩니다. 인촌기념회와 동아일보사는 인촌상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권위있고 가장 명예로운 상이 되도록 훌륭한 수상자를 발굴하고 그분들의 업적을 널리 알려 사회의 귀감이 되게하는 노력을 꾸준히 펼 방침입니다.
인촌상의 시상을 통해 일제하의 고난과 광복후의 진통을 겨레와 함께 극복하면서 민족주의의 성취, 민주주의의 실현, 민족문화의 창달에 헌신함으로써 겨레의 사표가 되었던 인촌선생의 큰 뜻이 항상 살아 있기를 기대합니다.
 
 
 
또한 인재의 양성없이는 민족적 자강을 성취할 수 없다는 확신에 따라 스스로 민족교육의 기수가 되기를 열망했으며 그의 주변에 모이는 인재들에게는 언제나 격려와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인촌선생의 높은 뜻도 인촌상의 시행을 통하여 실현되기를 바랍니다.
 
 
 
이 같은 우리의 소망을 담아 인촌상은 해마다 인촌선생의 탄신일(10월11일)에 시상하게 됩니다.
 
 
 
인촌기념회와 동아일보사는 인촌상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권위있고 가장 명예로운 상이 되도록 훌륭한 수상자를 발굴하고 그분들의 업적을 널리 알려 사회의 귀감이 되게하는 노력을 꾸준히 펼 방침입니다.
 
  
 
==상세항목==
 
==상세항목==

2019년 6월 6일 (목) 17:13 판


대한민국문학상

개요

1987년부터 인촌기념회와 동아일보사에서 주관하여 매년 10월11일에 교육, 언론·문화, 인문·사회, 과학·기술 5개분야 시상했던 상이다.

제정취지

재단법인 인촌기념회와 동아일보사는 <독립자강>의 구국신념과 <공선사후>의 생활신조를 실천하는데 혼신의 정력을 기울였던 고 인촌 김성수선생의 유지를 현양하기 위하여 <인촌상>을 제정합니다. 인촌상의 시상을 통해 일제하의 고난과 광복후의 진통을 겨레와 함께 극복하면서 민족주의의 성취, 민주주의의 실현, 민족문화의 창달에 헌신함으로써 겨레의 사표가 되었던 인촌선생의 큰 뜻이 항상 살아 있기를 기대합니다. 또한 인재의 양성없이는 민족적 자강을 성취할 수 없다는 확신에 따라 스스로 민족교육의 기수가 되기를 열망했으며 그의 주변에 모이는 인재들에게는 언제나 격려와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인촌선생의 높은 뜻도 인촌상의 시행을 통하여 실현되기를 바랍니다. 이 같은 우리의 소망을 담아 인촌상은 해마다 인촌선생의 탄신일(10월11일)에 시상하게 됩니다. 인촌기념회와 동아일보사는 인촌상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권위있고 가장 명예로운 상이 되도록 훌륭한 수상자를 발굴하고 그분들의 업적을 널리 알려 사회의 귀감이 되게하는 노력을 꾸준히 펼 방침입니다.

상세항목

문인들의 창작의욕 고취, 우수 번역가의 발굴 및 양성으로 한국문학의 진흥과 해외선양에 기여하고자 제정한 것이다.대상작품은 한국문화예술진흥원장이 정하는 기간에 발표된 대한민국 국민이 창작한 문학작품으로 본상과 우수상, 신인상을 두어 상장과 상금이 수여된다. 1976년에 반공문학상으로 시작하여 1980년에 그 명칭을 대한민국문학상으로 바꿨다. 1981년 신인부문을 첨가하였고, 1983년에는 흙의문학부문과 자유문학부문을 통합하여 일반부문으로 하고 새로이 번역부문을 첨가하였다. 1992년까지 시상하다가 폐지되었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강백 대한민국 문학상 A는 B를 수상하다(P)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대한민국문학상 [大韓民國文學賞] (두산백과)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