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생애)
(출생과 문단 등단)
22번째 줄: 22번째 줄:
  
 
==='''출생과 문단 등단'''===
 
==='''출생과 문단 등단'''===
박영희는 1901년 12월 20일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공옥소학교를 졸업한 후, 배재고등보통학교로 진학하였고, 재학 중 나도향(羅稻香)·김기진(金基鎭)·김복진(金復鎭)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1919년 3월 5일 만세운동에 참가해, 체포되었으나 훈계 방면되기도 했다. 1920년 3월 배재고보를 수료한 뒤 일본 도쿄의 세이소쿠 영어학교에 입학하여 수학했으며, 일본 유학을 마치고 1921년 귀국한 뒤, 박종화,황석우 등과 함께 한국 최초의 시 동인지 《장미촌》을 발행하며 창간호에 〈적(笛)의 비곡(悲曲)〉, 〈과거의 왕국〉을 발표하여 등단했다. 같은 해 《신청년》에 동인으로 참가했고, 1922년에는 《백조》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감상적인 내용을 담은 낭만주의적 시를 썼다.  
+
박영희는 1901년 12월 20일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공옥소학교를 졸업한 후, 배재고등보통학교로 진학하였고, 재학 중 나도향(羅稻香), 김기진(金基鎭), 김복진(金復鎭)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1919년 3월 5일 만세운동에 참가해, 체포되었으나 훈계 방면되기도 했다. 1920년 3월 배재고보를 수료한 뒤 일본 도쿄의 세이소쿠 영어학교에 입학하여 수학했으며, 일본 유학을 마치고 1921년 귀국한 뒤, 박종화,황석우 등과 함께 한국 최초의 시 동인지 《장미촌》을 발행하며 창간호에 〈적(笛)의 비곡(悲曲)〉, 〈과거의 왕국〉을 발표하여 등단했다. 같은 해 《신청년》에 동인으로 참가했고, 1922년 1월 낭만주의와 상징주의 문학을 소개한 잡지 『백조(白潮)』의 동인으로 활동하며 창간호에 「미소의 허화시(虛華詩)」 등 7편의 시와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의 희곡 「루 살로메(Lou Salome)」를 번역해 실었다. 1924년 4월에는 개벽사(開闢社)에서 학예부장을 맡았으며, 같은 해 10월 신경향파 문학단체 파스큘라(PASKYULA)를 결성하였다.
  
 
==='''카프 활동'''===
 
==='''카프 활동'''===

2019년 6월 16일 (일) 02:09 판

소개글

박영희는 1901년 12월 20일부터 1950년까지 활동한 일제 강점기 조선의 친일 사회주의 문학평론가, 시인, 소설가, 언론인이다. 1920년대 대표적인 카프 문학가로 활동했지만 1933년에 카프에서 탈퇴했고, 이후 순수 문학과 예술주의로 방향을 전환했다. 일제 강점기 말기 중일 전쟁 발발과 함께 사상 전향을 발표하고 친일 문학가로 변절했다.

생애

출생과 문단 등단

박영희는 1901년 12월 20일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공옥소학교를 졸업한 후, 배재고등보통학교로 진학하였고, 재학 중 나도향(羅稻香), 김기진(金基鎭), 김복진(金復鎭)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1919년 3월 5일 만세운동에 참가해, 체포되었으나 훈계 방면되기도 했다. 1920년 3월 배재고보를 수료한 뒤 일본 도쿄의 세이소쿠 영어학교에 입학하여 수학했으며, 일본 유학을 마치고 1921년 귀국한 뒤, 박종화,황석우 등과 함께 한국 최초의 시 동인지 《장미촌》을 발행하며 창간호에 〈적(笛)의 비곡(悲曲)〉, 〈과거의 왕국〉을 발표하여 등단했다. 같은 해 《신청년》에 동인으로 참가했고, 1922년 1월 낭만주의와 상징주의 문학을 소개한 잡지 『백조(白潮)』의 동인으로 활동하며 창간호에 「미소의 허화시(虛華詩)」 등 7편의 시와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의 희곡 「루 살로메(Lou Salome)」를 번역해 실었다. 1924년 4월에는 개벽사(開闢社)에서 학예부장을 맡았으며, 같은 해 10월 신경향파 문학단체 파스큘라(PASKYULA)를 결성하였다.

카프 활동

신간회 활동

전향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