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달빛 0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3번째 줄: 3번째 줄:
 
[[김승옥]]의 저서
 
[[김승옥]]의 저서
  
이 소설은 1965년에 발표되어 많은 화제를 낳았다. 여기에서는 김승옥 특유의 개체와 개체와의 관계, 즉 인간관계가 중요한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구청직원인 '나'와 25세 대학원생인 '안(安)', 그리고 가난뱅이임이 분명한 삼십오륙 세 가량의 '사내'가 포장마차 안에서 우연히 만난다. 이들은 "안 형, 파리를 사랑하십니까?", "김 형, 꿈틀거리는 것을 사랑하십니까?" 하는 따위의 대화를 나누며 술을 마시고 밤거리를 어울려 다니다가 하룻밤을 같이 보내게 된다. 혼자 있기 싫다고 하던 30대의 사나이는 그 다음날 자살체로 발견되고 나머지 둘은 각각 헤어진다. 현실에서 소외된 고독한 세 인물은 서로 무심히 만나고 헤어지는 단순한 사건을 통해 각자 나름의 개별성을 확인할 뿐, 아무런 사회적 연대성도 느끼지 못한다. 한국소설이 취락주의(聚落主義)·인정주의에서 개인주의에로 변모하는 경향을 다룬 작품으로서, 새로운 인간형의 제시가 이채로우며 한국소설의 개인적 존재 상황에의 변모와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
소설가 김승옥이 1977년에 발표한 단편소설이다. 제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본래는 연작소설로 계획했던 것이나, 0장을 쓴 이후로는 두 번 다시 같은 서울의 달빛이라는 제목으로 작품을 내지 못하여 단편소설이 되어버린 케이스다.
 +
이 작품은 1960년대 새로운 문체의 미학, 감수성의 혁명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등단한 김승옥의 소설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연작 형태로 기획하고 썼으나 이후 소설 창작 활동을 중단하다시피 한 작가의 사정으로 더 이상의 후속편은 없다. 참신한 구어체의 문장, 내적 체험의 시간을 치밀하게 재구성한 플롯, 피상적이고 일시적인 사회성보다 본질적인 의식의 내부에서 주제를 끌어낸 문제의식, 관념이나 정감을 감각적인 영상으로 기술하는 표현기법 등이 문학적 공감을 자아낸다.
 +
이 작품은 1960년대 새로운 문체의 미학, 감수성의 혁명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등단한 김승옥의 소설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연작 형태로 기획하고 썼으나 이후 소설 창작 활동을 중단하다시피 한 작가의 사정으로 더 이상의 후속편은 없다. 참신한 구어체의 문장, 내적 체험의 시간을 치밀하게 재구성한 플롯, 피상적이고 일시적인 사회성보다 본질적인 의식의 내부에서 주제를 끌어낸 문제의식, 관념이나 정감을 감각적인 영상으로 기술하는 표현기법 등이 문학적 공감을 자아낸다.
  
 
'''도서 문헌정보'''
 
'''도서 문헌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제목
 
!제목
|서울 1964년 겨울
+
|서울의 달빛 0장
 
|-
 
|-
 
!저자
 
!저자
14번째 줄: 16번째 줄:
 
|-
 
|-
 
!발행년도
 
!발행년도
|1965
+
|1977
 
|-
 
|-
 
!ISBN
 
!ISBN

2020년 6월 20일 (토) 16:57 판

서울의 달빛0장.jpg

소개

김승옥의 저서

소설가 김승옥이 1977년에 발표한 단편소설이다. 제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본래는 연작소설로 계획했던 것이나, 0장을 쓴 이후로는 두 번 다시 같은 서울의 달빛이라는 제목으로 작품을 내지 못하여 단편소설이 되어버린 케이스다. 이 작품은 1960년대 새로운 문체의 미학, 감수성의 혁명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등단한 김승옥의 소설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연작 형태로 기획하고 썼으나 이후 소설 창작 활동을 중단하다시피 한 작가의 사정으로 더 이상의 후속편은 없다. 참신한 구어체의 문장, 내적 체험의 시간을 치밀하게 재구성한 플롯, 피상적이고 일시적인 사회성보다 본질적인 의식의 내부에서 주제를 끌어낸 문제의식, 관념이나 정감을 감각적인 영상으로 기술하는 표현기법 등이 문학적 공감을 자아낸다. 이 작품은 1960년대 새로운 문체의 미학, 감수성의 혁명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등단한 김승옥의 소설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연작 형태로 기획하고 썼으나 이후 소설 창작 활동을 중단하다시피 한 작가의 사정으로 더 이상의 후속편은 없다. 참신한 구어체의 문장, 내적 체험의 시간을 치밀하게 재구성한 플롯, 피상적이고 일시적인 사회성보다 본질적인 의식의 내부에서 주제를 끌어낸 문제의식, 관념이나 정감을 감각적인 영상으로 기술하는 표현기법 등이 문학적 공감을 자아낸다.

도서 문헌정보

제목 서울의 달빛 0장
저자 김승옥
발행년도 1977
ISBN 8932035679, 9788932035673
길이 434페이지

관련 도서

나비의 전설(2002년 제9회 이수문학상 수상작품집)

윤후명 - 2002. 5. 25. - 270페이지


설렘 (외전증보판)

이래경 - 2015. 1. 20.


겨레의 얼을 찾아서(민족의 혼을 찾아 떠나는 여행)

박정학 - 2007 - 271페이지


당신들의천국: 이청준장편소설

이청준 - 1993 - 446페이지


한국을 알자

손대준 - 2008. 3. 10. - 160페이지

RDF 및 온톨로지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 A가 B를 집필했다.
김승옥 동인문학상 A가 B를 수상했다.
서울 1964년 겨울 동인문학상 A가 B를 수상했다.

작성자

이건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