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38번째 줄: 38번째 줄:
 
|소설문학작품상||1984|| '메아리 메아리'
 
|소설문학작품상||1984|| '메아리 메아리'
 
|-
 
|-
|제2회 제비꽃시인상<ref>http://www.newspim.com/news/view/20081229000185 "한국저축銀, 도종환 시인 등 제비꽃시인상 수여" 한기진(2008.12.29)뉴스핌.</ref>||2008||
+
|단재문학상||1991|| '태백산맥'
 
|-
 
|-
|제22회 정지용 문학상||2009|| '바이올린 켜는 여자'로 수상
+
|노신문학상||1998|| '태백산맥'
 
|-
 
|-
|제5회 윤동주 문학 대상<ref>http://www.segye.com/newsView/20100406001595 "도종환 시인, 윤동주 문학상 대상 수상" 조용호(2010.04.06)세계일보.</ref>||2010|| 지진 외 9편
 
|-
 
|제13회 백석문학상<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5356731 "제13회 백석문학상에 도종환 씨" 김영현(2011.11.04)연합뉴스.</ref>||2011|| '세 시에서 다섯 시 사이'로 수상
 
|-
 
|제20회 공초문학상 ||2012|| '나무에 기대어'로 수상
 
|-
 
|제1회 신석정문학상||2014|| '세 시에서 다섯 시 사이'로 수상
 
|-
 
|제20회 가톨릭 문학상|| 2017|| '시월 바다'로 수상
 
|}
 

2020년 6월 26일 (금) 15:47 판


소개

조정래는 전남 승주 출생. 동국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1970년 『현대문학』에 소설 「누명」이 추천되어 문단에 등단하였다..

대한민국의 소설가. 1943년 8월 17일 전라남도 승주군 쌍암면 죽학리(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에서 출생. 종교는 불교이며, 법명은 인천이다. 등단작은 '누명'. 대표작은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 정글만리 등이 있다. 소설이 하도 잘 나가서 서울특별시에 빌딩을 산 경력이 있으며 운전기사까지 따로 뒀다.

공처가로 유명하다. 공처가를 넘어서 '경처가'를 자처한다. 본인이 쓴 원고의 첫 독자도 사모님이고 사모님의 지적 사항을 100% 수용하는 편이라고 한다. 부인도 유명한 시인이라 가능한것 같다.

소설 창작에 전념하면서 한때 출판사를 운영하기도 하였고, 1984년 종합 문학지인 『한국문학』을 인수하여 1980년대 후반까지 편집을 주간하기도 하였다. 그의 초기소설은 토속적인 공간을 소설적으로 재구성한 「청산댁」(1972), 현실의 비리와 삶의 모순을 고발하고 있는 「폭력교사」(1971), 「비탈진 음지」(1973), 「천동설 시대」(1974), 「이방지대」(1975) 등이 있다. 1970년대 후반 이후 지속적으로 한국전쟁과 민족분단의 문제를 소설적 주제로 삼은 그는 「한, 그 그늘의 자리」(1977), 「유형의 땅」(1981), 「인간의 계단」(1982), 「박토의 혼」(1983) 등을 발표하였다.

수상경력

대회 년도 수상작
현대문학상 1981 '유형의 땅'
대한민국문학상 1982 '인간의 문'
소설문학작품상 1984 '메아리 메아리'
단재문학상 1991 '태백산맥'
노신문학상 1998 '태백산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