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하종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김한음(2211038)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1월 30일 (수) 18:58 판 (새 문서: =='''김석신'''== 파일:김하종 작품.jpg 장안사 / 김하종 본관은 개성(開城). 자는 대여(大汝), 호는 유당(蕤堂)·유재(蕤齋) 또는 설호산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석신

김하종 작품.jpg

장안사 / 김하종

본관은 개성(開城). 자는 대여(大汝), 호는 유당(蕤堂)·유재(蕤齋) 또는 설호산인(雪壺山人). 화원으로 첨사(僉使)를 지낸 득신(得臣)의 아들이며, 건종(建鐘)의 동생이다. 그 역시 화원이었으며 벼슬은 첨사를 지냈다.아버지를 이어 인물화에 뛰어나 1830년 순조어진 원유관본(遠遊冠本) 도사(圖寫)를 비롯하여, 1852년과 1861년의 철종어진 도사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1851년에는 다른 화원들과 함께 「철종철인후가례도감의궤도 哲宗哲仁后嘉禮都監儀軌圖」를 제작한 바 있다.유작으로 전하는 인물화는 알려져 있지 않고, 1875년경에 그린 『해산첩 海山帖』이 전해오고 있다. 이 화첩에 실려 있는 그림들은 금강산과 설악산 등 영동명승(嶺東名勝)을 담은 진경산수(眞景山水)로서, 김홍도의 화풍을 따르면서도 필치와 형태 등은 다소 과장되고 경직된 느낌을 준다.


김하종 작품

장안사
철종철인후가례도감의궤도
등등

작성자

김한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