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승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1911077 노영서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6월 14일 (일) 03:30 판 (생애)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호승(1950.01.03~)

생애

정호승의 본관은 동래(東萊)이며 1950년 1월 3일 경남 하동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 1학년 때 대구로 이사하여 성장기를 보냈다. 중학교 1학년때 은행에 다니던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도시 변두리에서 매우 가난하게 생활하던 중 전국고교 문예 현상모집에서 “고교문예의 성찰”이라는 평론으로 당선되어 문예 장학금을 지급하는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1968년 입학했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을 졸업했다. 1973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시 「첨성대」 가 당선되어 시인으로 등단하였고, 1982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위령제」가 당선되어 소설가로도 등단하였다.

작품세계

작품 및 저서

시집

책 제목 출시년도 페이지 출판사 비고
슬픔이 기쁨에게 1979년 138쪽 창작과비평사
서울의 예수 1982년 132쪽 민음사
새벽편지 1987년 98쪽 민음사
별들은 따뜻하다 1990년 108쪽 창작과비평사
사랑하다가 죽어버려라 1997년 102쪽 창작과비평사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1998년 118쪽 열림원
눈물이 나면 기차를 타라 1999년 102쪽 창작과비평사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2002년 112쪽 열림원 어른이 읽는 동시집
이 짧은 시간 동안 2004년 154쪽 창비
포옹 2007년 131쪽 창비
참새 2010년 148쪽 처음주니어 동시집
밥값 2010년 120쪽 창비
여행 2013년 128쪽 창비
나는 희망을 거절한다 2017년 170쪽 창비
당신을 찾아서 2020년 184쪽 창비


소설

책 제목 출시년도 페이지 출판사 비고
서울에는 바다가 없다 1 1993년 336쪽 민음사 장편
서울에는 바다가 없다 2 1993년 702쪽 민음사 장편
서울에는 바다가 없다 3 1993년 1046쪽 민음사 장편
내가 켠 촛불 1993년 310쪽 서울문화사


동화

책 제목 출시년도 페이지 출판사 비고
에밀레종의 슬픔 1993년 222쪽 한양출판
바다로 날아간 까치 1996년 174쪽 창작과비평사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 1998년 39쪽, 36쪽 삼성당, 여명출판사
연인 1998년 144쪽 열림원 어른을 위한 동화
항아리 1999년 122쪽 열림원 어른을 위한 동화
모닥불 2000년 176쪽 현대문학북스 어른을 위한 동화
슬픈 에밀레종 2003년 240쪽 파랑새어린이
기차 이야기 2003년 184쪽 열림원 어른을 위한 동화
스무살을 위한 사랑의 동화1 2003년 162쪽 해냄출판사
스무살을 위한 사랑의 동화2 2003년 154쪽 해냄
비목어 2004년 168쪽 아침바다
너를 위하여 나는 무엇이 될까 2004년 248쪽 해냄출판사 어른을 위한 동화
산소처럼 소중한 정호승 동화집 1 2005년 204쪽 파랑새어린이
물처럼 소중한 정호승 동화집 2 2005년 192쪽 파랑새어린이
호기심 씨앗 동화 2006년 192쪽 애플비
의자 2010년 222쪽 열림원 어른을 위한 동화
못난 사과의 꿈 2010년 184쪽 처음주니어
못자국 2019년 248쪽 책읽는섬 어른을 위한 동화


산문집

책 제목 출시년도 페이지 출판사 비고
내 인생에 힘이 되어준 한마디 2006년 391쪽 비채
내 인생에 용기가 되어준 한마디 2013년 484쪽 비채


만화

책 제목 출시년도 페이지 출판사 비고
만화 항아리 2005년 166쪽 행복한만화가게


수상 내역

  • 1972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동시 「석굴암을 오르는 영희」 당선
  • 1973년 대한일보 신춘문예 시 「첨성대」 당선
  • 1982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단편소설 「위령제」 당선
  • 1989년 제3회 소월시문학상
  • 1997년 제10회 동서문학상 수상
  • 2000년 제12회 정지용문학상
  • 2001년 제11회 편운문학상
  • 2002년 제15회 경희문학상
  • 2006년 제9회 한국가톨릭문학상
  • 2008년 제23회 상화시인상
  • 2009년 제4회 지리산문학상
  • 2011년 제19회 공초문학상


2차 저작물

공연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