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래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김대현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6월 26일 (금) 16:1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조정래는 전남 승주 출생. 동국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1970년 『현대문학』에 소설 「누명」이 추천되어 문단에 등단하였다..

대한민국의 소설가. 1943년 8월 17일 전라남도 승주군 쌍암면 죽학리(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에서 출생. 종교는 불교이며, 법명은 인천이다. 등단작은 '누명'. 대표작은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 정글만리 등이 있다. 소설이 하도 잘 나가서 서울특별시에 빌딩을 산 경력이 있으며 운전기사까지 따로 뒀다.

공처가로 유명하다. 공처가를 넘어서 '경처가'를 자처한다. 본인이 쓴 원고의 첫 독자도 사모님이고 사모님의 지적 사항을 100% 수용하는 편이라고 한다. 부인도 유명한 시인이라 가능한것 같다.

소설 창작에 전념하면서 한때 출판사를 운영하기도 하였고, 1984년 종합 문학지인 『한국문학』을 인수하여 1980년대 후반까지 편집을 주간하기도 하였다. 그의 초기소설은 토속적인 공간을 소설적으로 재구성한 「청산댁」(1972), 현실의 비리와 삶의 모순을 고발하고 있는 「폭력교사」(1971), 「비탈진 음지」(1973), 「천동설 시대」(1974), 「이방지대」(1975) 등이 있다. 1970년대 후반 이후 지속적으로 한국전쟁과 민족분단의 문제를 소설적 주제로 삼은 그는 「한, 그 그늘의 자리」(1977), 「유형의 땅」(1981), 「인간의 계단」(1982), 「박토의 혼」(1983) 등을 발표하였다.

수상경력

대회 년도 수상작
현대문학상 1981 '유형의 땅'
대한민국문학상 1982 '인간의 문'
대한민국 문학상 1983 '불놀이'
소설문학작품상 1984 '메아리 메아리'
단재문학상 1991 '태백산맥'
노신문학상 1998 '태백산맥'

연구또는 비평

제목 저자 비고
조정래 소설 연구: 분단소설을 중심으로(2002) 김옥연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조정래 '태백산맥'의 서사담론 연구(2012) 전영의 전남대학교 대학원
조정래 '태백산맥'의 연구: 인물과 삶의 양상을 중심으로(2006) 김복덕 학위논문(석사)
황홀한 글감옥: 조정래 작가 생활 사십 년 자전 에세이(2009) 박요철 참언론시사in북
조정래: 민족의 삶과 역사적 진실(2010) 유임하, 고명철 외 글누림 출판사
조정래 '아리랑'에 출연하는 공감연대 고찰(2014) 우수영 현대문학이론학회
조정래 '태백산맥'에 등장하는 동학담론(2017) 우수영 동학학회, 동학학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