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소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9번째 줄: 9번째 줄:
 
가정소설이란 용어는 서구문학의 경우 크게 언급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사정은중국이나 일본에서도 마찬가지여서 가정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읽을거리 정도의의미만을 가지고 있다.  
 
가정소설이란 용어는 서구문학의 경우 크게 언급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사정은중국이나 일본에서도 마찬가지여서 가정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읽을거리 정도의의미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문학의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 한국 고대소설 중에는 이에 해당하는작품들이 많은데, 그들 중에는 본처와 첩 사이의 갈등을 다루고 있는 《사씨남정기》와 같은 작품들이 있고 전처 소생과 후처, 혹은 후처 소생 사이의갈등을 다루고 있는 《장화홍련전》 《콩쥐팥쥐》와 같은 작품들이 있다. 가정소설은 흔히 적통주의(適統主義)라는 명분론적 논리를 표면에 내세우고 있다. 고대소설을 황당무계한 것으로 비판하면서 치지도외(置之度外)했던 조선시대 사대부계층으로부터도 가정소설만큼은 감계(鑑戒)의 뜻이 함축되어 있는 작품으로 호평을받았던 것은 바로 이 같은 명분론에 힘입은 결과이다.
+
그러나 한국문학의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 한국 고대소설 중에는 이에 해당하는 작품들이 많은데, 그들 중에는 본처와 첩 사이의 갈등을 다루고 있는 김만중의 『사씨남정기』와 같은 작품들이 있고 전처소생과 후처, 혹은 후처 소생 사이의 갈등을 다루고 있는 『장화홍련전』, 『콩쥐팥쥐』, 조성기의 『창선감의록』과 같은 작품들이 있다. 『창선감의록』은 조정을 중심으로 한 권력의 쟁탈이나 변경에서 해적과 싸우는 전쟁 등의 사건이 있으나, 내용의 중심무대는 화진의 가정이다. 결국 가장 강조된 사상은 '효사상'이며 부차적으로 강조된 것은 형제간의 우애와 국가에 대한 충성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상을 부귀와 연관시켜 '위선자필창(爲善者必昌) 위악자필패(爲惡者必敗)'한다는 관념에 따라 귀결시키고 있다.
  
 +
가정소설은 흔히 적통주의(適統主義)라는 명분론적 논리를 표면에 내세우고 있다. 고대소설을 황당무계한 것으로 비판하면서 치지도외(置之度外)했던 조선시대 사대부 계층으로부터도 가정소설만큼은 감계(鑑戒)의 뜻이 함축되어 있는 작품으로 호평을 받았던 것은 바로 이 같은 명분론에 힘입은 결과이다.(김학균)
  
 
==가정소설 목록==
 
==가정소설 목록==
 
+
사씨남정기 장화홍련전 양풍운전 콩쥐팥쥐전  김취경전 어룡전 창선감의록 반씨전 옥린몽 정을선전 천수석 황월선전 화문록 김인항전 월영낭자전 조생원전 숙영낭자전 옥낭자전 옥단춘전 심청전 흥부전  완월회맹연 명주보월빙 임화정연 진대방전 적성의전 김태자전 신유복전
 
==관련항목==
 
==관련항목==
  
19번째 줄: 20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두산백과
+
문학비평용어사전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최규민
 
최규민

2019년 6월 15일 (토) 12:24 판

요약

가정을 배경으로 하여 가정문제나 가족생활, 또는 가족관계를 소재로 삼는 소설.


소개

가정소설이란 명칭은 한국문학, 특히 고대소설 연구를 시도한 안자산(安自山) ·정형용(鄭亨容) 등이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이후 고대소설의 한 유형으로 인정받게되었다. 이때 가정소설은 《사씨남정기》나 《장화홍련전》과 같이 가정사를 소재로한 작품을 지칭하는 단순한 개념이었다. 그 후 가문소설, 가족사 소설 등의 새로운용어가 도입됨에 따라 이들 개념어와의 변별성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가정사를다루되 당대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작품들을 구분하여 가정소설이라고 규정하게되었다.

가정소설이란 용어는 서구문학의 경우 크게 언급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사정은중국이나 일본에서도 마찬가지여서 가정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읽을거리 정도의의미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문학의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 한국 고대소설 중에는 이에 해당하는 작품들이 많은데, 그들 중에는 본처와 첩 사이의 갈등을 다루고 있는 김만중의 『사씨남정기』와 같은 작품들이 있고 전처소생과 후처, 혹은 후처 소생 사이의 갈등을 다루고 있는 『장화홍련전』, 『콩쥐팥쥐』, 조성기의 『창선감의록』과 같은 작품들이 있다. 『창선감의록』은 조정을 중심으로 한 권력의 쟁탈이나 변경에서 해적과 싸우는 전쟁 등의 사건이 있으나, 내용의 중심무대는 화진의 가정이다. 결국 가장 강조된 사상은 '효사상'이며 부차적으로 강조된 것은 형제간의 우애와 국가에 대한 충성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상을 부귀와 연관시켜 '위선자필창(爲善者必昌) 위악자필패(爲惡者必敗)'한다는 관념에 따라 귀결시키고 있다.

가정소설은 흔히 적통주의(適統主義)라는 명분론적 논리를 표면에 내세우고 있다. 고대소설을 황당무계한 것으로 비판하면서 치지도외(置之度外)했던 조선시대 사대부 계층으로부터도 가정소설만큼은 감계(鑑戒)의 뜻이 함축되어 있는 작품으로 호평을 받았던 것은 바로 이 같은 명분론에 힘입은 결과이다.(김학균)

가정소설 목록

사씨남정기 장화홍련전 양풍운전 콩쥐팥쥐전 김취경전 어룡전 창선감의록 반씨전 옥린몽 정을선전 천수석 황월선전 화문록 김인항전 월영낭자전 조생원전 숙영낭자전 옥낭자전 옥단춘전 심청전 흥부전 완월회맹연 명주보월빙 임화정연 진대방전 적성의전 김태자전 신유복전

관련항목

관련연구

참고문헌

문학비평용어사전

작성자 및 기여자

최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