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치소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줄거리)
(줄거리)
22번째 줄: 22번째 줄:
  
 
==줄거리==
 
==줄거리==
1966년 10월 『현대문학』 142호에 발표되었고, 1973년 같은 제목으로 간행된 단편집 『까치소리』에 수록되어 있다. 1967년에 이 작품으로 3·1문화상을 수상하였다.
+
봉수는 자기를 짝사랑하는 정임이를 뿌리치고 정순이와 약혼한다. 그 무렵 6.25가 일어나서 봉수는 군에 입대하였다. 그 후 봉수는 행방불명이 되어 버린다.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오기는커녕, 전사한 아들을 한없이 기다리는 봉수 어머니의 금방이라도 숨 넘어갈 듯한 기침 소리만 격해진다. 정순이는 같은 마을에 사는 상호에게 개가한다. 하지만 죽은 줄만 알고 있던 봉수는 한 팔이 없는 장애인이 되어 돌아온다. 이미 다른 남자의 아내와 아이 엄마가 된 정순이였지만, 봉수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았다. 정순이를 잊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문제를 모두 망각한 채 다시 자신의 여자로 만들려고 악착같이 매달리며 마을에 소란을 일으킨 것이다. 마침내 봉수는 정순이가 자신을 배신했다고 생각하여 복수하기로 결심한다. 그리하여 마침내는 상호의 집안이 망하게 되고 정순이는 자결한다. 이에 충격을 받은 봉수는 정신착란을 일으키고 거리를 휘젓고 다닌다. 전쟁은 그를 육체적 불구자로만 만든 것이 아니라, 정신적 불구자로도 만든 것이다.
 
 
이 작품은 개방적인 액자소설 구조로서, 작품 모두(冒頭)에 1인칭 서사적 자아인 ‘나’가 ‘나의 생명을 물려다오’라는 표제로 된 책의 수기내용을 공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여러 번 사경을 겪은 봉수(나)가 자해하여 상처를 내면서까지 죽음을 거부하고, ‘추악한 장물’로서의 목숨을 택하게 된 것은 고향의 정순에 대한 사랑 때문이다.
 
 
 
그런데 막상 제대하여 돌아와 보니 정순은 상호의 기만에 속아 그의 아내가 되어 있고, 집안에는 천식에 걸린 노모가 회나무에서 까치가 울 때마다 기침을 하며 죽여달라고 한다. 그 때마다 봉수는 야릇하게도 진짜 어머니의 목을 졸라주고 싶은 살의를 느끼곤 한다.
 
 
 
어느 날 상호를 통해 정순을 만난 봉수는 정순에게 상호를 버리고 자기와 결혼하자고 간청한다. 그러나 그럴 수 없다는 정순의 편지를 받게 되자, 자살 충동까지 느끼며 밖으로 뛰어나왔다가 상호의 누이 영숙을 만나게 되고 그녀를 능욕한다. 그 때, 까치소리가 들려오자 봉수는 충동적인 살의를 느끼고, 마침내 영숙을 죽인다.
 
  
 
==작품해설==
 
==작품해설==

2019년 6월 12일 (수) 23:50 판



줄거리

봉수는 자기를 짝사랑하는 정임이를 뿌리치고 정순이와 약혼한다. 그 무렵 6.25가 일어나서 봉수는 군에 입대하였다. 그 후 봉수는 행방불명이 되어 버린다.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오기는커녕, 전사한 아들을 한없이 기다리는 봉수 어머니의 금방이라도 숨 넘어갈 듯한 기침 소리만 격해진다. 정순이는 같은 마을에 사는 상호에게 개가한다. 하지만 죽은 줄만 알고 있던 봉수는 한 팔이 없는 장애인이 되어 돌아온다. 이미 다른 남자의 아내와 아이 엄마가 된 정순이였지만, 봉수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았다. 정순이를 잊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문제를 모두 망각한 채 다시 자신의 여자로 만들려고 악착같이 매달리며 마을에 소란을 일으킨 것이다. 마침내 봉수는 정순이가 자신을 배신했다고 생각하여 복수하기로 결심한다. 그리하여 마침내는 상호의 집안이 망하게 되고 정순이는 자결한다. 이에 충격을 받은 봉수는 정신착란을 일으키고 거리를 휘젓고 다닌다. 전쟁은 그를 육체적 불구자로만 만든 것이 아니라, 정신적 불구자로도 만든 것이다.

작품해설

작품 까치소리는 까치 우는 소리가 표상하는 숙명론과 전장의 상황에 처한 병사의 심리가 병렬적으로 전개된다. 전장은 죽음에의 위협이 상존하는 곳이며, 병사는 그 운명에 불가분하게 결박된 존재이다. 주인공 봉수는 스스로 둘째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을 자르는 자해행위를 통해 죽음이 지배하는 전장으로부터 벗어난다. 그가 전장을 벗어나는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는 것은 고향에 있는 애인 정순의 존재이다. 따라서 정순은 단순히 이성으로서가 아니라 죽음으로부터의 탈출이며, 삶에의 욕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고향에 돌아와서 발견한 것은 정순과 상호의 결혼이라는 배반의 현실이며, 기다림에 지쳐버린 어머니의 기침소리일 뿐이다. 여기에 이르면 죽음과 고통의 전장으로부터 벗어나려던 봉수의 시도는 무산되고 만다. 곧 전선을 도망쳐 나온 명분이 무산되고 자신의 삶은 소매치기의 추악한 '장물'에 불과하다는 자책과 자조에 빠져들게 된다. 결국 봉수는 어머니의 '죽여달라'는 절규에 이끌리면서 살의와 공격성을 드러내게 된다. 저녁 까치가 우짖는 불길한 시간에 상호의 누이인 영숙을 능욕하고 살해하는 것이다.

김동리의 후기작에 속하는 까치소리에서는 6·25전쟁이라는 시대성을 작가의 독특한 운명관과 연관지었음을 엿볼 수 있다. 곧 죽음에의 불안과 삶에의 욕구, 적에 대한 분노와 전우에 대한 죄책감 등 전장에서 볼 수 있는 병사들의 복합적인 심리상태와 그것의 귀결점을 까치소리라고 하는 반복되는 상징을 통한 결합에서 그의 운명관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네트워크 그래프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까치소리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