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 한용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32번째 줄: 32번째 줄:
  
 
==생애==
 
==생애==
 +
 +
만해 한용운 심우장
 +
 +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만해(萬海) 한용운(1879~1944)이 지은 집으로 남향을 선호하는 한옥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북향집인데 독립운동가였던 그가 남향으로 터를 잡으면 조선총독부와 마주보게 되므로 이를 거부하고 반대편 산비탈의 북향터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일제에 저항하는 삶을 일관했던 한용운은 끝내 조국의 광복을 보지 못하고 1944년 이곳에서 생애를 마쳤다.
  
 
{{
 
{{
 
#display_map:
 
#display_map:
안동 도산면 원천리 881번지;
+
만해 한용운 심우장;
36.7399242,128.8633457
+
37.593723,126.9887072
 
|service=googlemaps3
 
|service=googlemaps3
 
|width=500
 
|width=500

2019년 11월 25일 (월) 15:03 판



개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함께 『조선불교유신론』, 『님의 침묵』, 『흑풍』, 『후회』 등을 저술한 승려.시인, 독립운동가.

유년시대에 관해서는 본인의 술회도 없고 측근에게도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유년시대는 대원군의 집정과 외세의 침략 등으로 나라 안팎이 어수선한 시기였다. 그 불행한 시대적 배경과 사회적 여건은 결국 그를 독립운동가로 성장시킨 간접적 요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생애

만해 한용운 심우장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만해(萬海) 한용운(1879~1944)이 지은 집으로 남향을 선호하는 한옥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북향집인데 독립운동가였던 그가 남향으로 터를 잡으면 조선총독부와 마주보게 되므로 이를 거부하고 반대편 산비탈의 북향터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일제에 저항하는 삶을 일관했던 한용운은 끝내 조국의 광복을 보지 못하고 1944년 이곳에서 생애를 마쳤다.

지도를 불러오는 중...


■【참고】 「신원카드」, 『독립운동사』 8권, 『이육사 평전』,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 30집·31집



주요활동

독립운동

  • 대구격문사건
  • 의열단 무장투쟁
  • 서대문형무소 수감


시 등 저서활동

  • 청포도
  • 광인의 태양
  • 광야
  • 계절의 오행


업적

  • 광주학생항일투쟁
  •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1기생 졸업
  • 의열단 활동



저서

참고자료

이육사 한국 위키피디아 문서
이육사 문학관 홈페이지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_이육사
이육사 위키문헌 문서
이육사 생가 위치(구글맵)
국가보훈처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