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개요)
18번째 줄: 18번째 줄:
 
'''작품명'''
 
'''작품명'''
 
==개요==
 
==개요==
〈동승〉은 1939년 발표된 작품으로, 동아일보사 주최의 연극 대회에서 공연된 단막극이다. 해방 후 작품집 '동승'에 실렸다. 〈동승〉은 함세덕이 학창 시절 금강산에 놀러 갔다가 본 사미승에게서 얻은 환상을 작품화한 것이라고 한다. 심산유곡의 작은 산사를 무대로 한, 한 동승의 환속 이야기이다.
+
〈동승〉은 1939년 발표된 작품으로, 동아일보사 주최의 연극 대회에서 공연된 단막극이다. 해방 후 작품집 '동승'에 실렸다. 〈동승〉은 함세덕이 학창 시절 금강산에 놀러 갔다가 본 사미승에게서 얻은 환상을 작품화한 것인데, 심산유곡의 작은 산사를 무대로 한 동승의 환속 이야기이다.
  
 
==줄거리==
 
==줄거리==

2018년 6월 15일 (금) 17:43 판


작품명

개요

〈동승〉은 1939년 발표된 작품으로, 동아일보사 주최의 연극 대회에서 공연된 단막극이다. 해방 후 작품집 '동승'에 실렸다. 〈동승〉은 함세덕이 학창 시절 금강산에 놀러 갔다가 본 사미승에게서 얻은 환상을 작품화한 것인데, 심산유곡의 작은 산사를 무대로 한 동승의 환속 이야기이다.

줄거리

14살의 어린 사미승 도념은 얼굴도 모르는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속에 남모르게 세상에 대한 동경을 키운다. 그러나 엄한 주지승의 밑에서 애만 태울 뿐 어찌할 바를 모른다. 그러던 어느 날, 절에 자식을 잃고 슬픔에 잠긴 미망인이 불공을 드리러 온다. 미망인은 도념에게 연민과 애정을 느끼고, 도념도 그녀에게서 모성을 느끼고 그녀를 따라 환속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주지승은 이를 강력하게 제지하였고, 도념이 미망인에게 목도리를 주기 위해 토끼를 죽인 일에 대한 엄벌을 내린다. 결국 도념은 눈 오는 어느 날, 몰래 절을 떠나기로 마음먹는다.

작품 설명

  • 이야기

언뜻 보기에 이 작품은 자식을 잃은 여인과 부모를 모르는 어린아이 사이의 사랑 이야기로 여겨진다.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이 희곡이 단순히 속세의 삶에 대한 관조나 초월적 사랑의 이야기만은 아니라는 것을, 오히려 삶에 대한 강한 애착과 갈증을 담고 있는 이야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린 소년이 눈이 퍽퍽 내리는 안정의 세계를 버리고 얼굴도 모르는 어머니를 찾아 홀로 떠나가는 것이다. 한 소년의 길떠남이 상징하는 것, 그것은 바로 삶에 대한 강한 갈증과 집념과 다름없다.


  • 구성

〈동승〉의 구성을 살펴보면, 관객의 관심을 집중시키기 위한 극의 시작 장면, 급전 장치, 파국부의 효과적인 장면 처리 등이 특징으로 드러난다. 이 밖에 재 올리는 장면을 이용한 구경꾼들의 왁자지껄한 분위기와 이에는 전혀 무관심한 도념의 태도, 또 절의 금칙 사항에 별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도념의 행동은 주인공의 심리와 연관된 특별한 의미 구조로서 주목된다. 이에 단막극 형식을 빌렸으되 희곡 구성의 기본적 원리를 깨뜨리지 않고 5단계 구성을 완벽하게 갖추었다는 점 또한 확인된다.

공연·영화 정보

동승공연1.jpg 1991.12.01 ~ 1991.12.14 극단 연우무대가 문예회관에서 공연
동승영화.jpg 2003.04.11 영화 동승 개봉
동승공연2.jpg 2004.11.05 ~ 2004.11.07 세종오페라단이 노원문화예술회관에서 공연


참고문헌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네이버 영화

이희환, 〈함세덕론: 닫힌 시대, 무대의열림을 향하여〉

네이버 지식백과, 현대문학대사전, 권영민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