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미사리'''= 미사동(渼沙洞)은 경기도 하남시의 법정동이자 행정동군이다. 한강 변에 선사시대 유적과 조정경기장, 경정장 등이 있다. 서...)
 
2번째 줄: 2번째 줄:
 
미사동(渼沙洞)은 경기도 하남시의 법정동이자 행정동군이다. 한강 변에 선사시대 유적과 조정경기장, 경정장 등이 있다.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과 연담화된 지역으로,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C%82%AC%EA%B0%95%EB%B3%80%EB%8F%84%EC%8B%9C 미사강변도시]]가 개발되면서 인구가 급증하였다.
 
미사동(渼沙洞)은 경기도 하남시의 법정동이자 행정동군이다. 한강 변에 선사시대 유적과 조정경기장, 경정장 등이 있다.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과 연담화된 지역으로,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C%82%AC%EA%B0%95%EB%B3%80%EB%8F%84%EC%8B%9C 미사강변도시]]가 개발되면서 인구가 급증하였다.
  
 +
=='''하남 미사리 유적지'''==
 +
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신석기시대~백제시대 집터·토기류·고상식건물 관련 생활유적.
  
'''하남 미사리 유적지'''
 
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신석기시대~백제시대 집터·토기류·고상식건물 관련 생활유적.
 
 
<onlyinclude>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31번째 줄: 31번째 줄:
 
|}
 
|}
 
</onlyinclude>
 
</onlyinclude>
=='''역사'''==
+
==='''역사'''===
 
하남 미사리 유적(河南 渼沙里 遺蹟)은 사적 제269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 557번지 외 이다.
 
하남 미사리 유적(河南 渼沙里 遺蹟)은 사적 제269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 557번지 외 이다.
  

2019년 12월 1일 (일) 21:04 판

미사리

미사동(渼沙洞)은 경기도 하남시의 법정동이자 행정동군이다. 한강 변에 선사시대 유적과 조정경기장, 경정장 등이 있다.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과 연담화된 지역으로, [미사강변도시]가 개발되면서 인구가 급증하였다.

하남 미사리 유적지

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신석기시대~백제시대 집터·토기류·고상식건물 관련 생활유적.


역사

하남 미사리 유적(河南 渼沙里 遺蹟)은 사적 제269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 557번지 외 이다.

이 유적은 1960년에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에는 신석기시대의 유물만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여러 차례에 걸친 발굴 조사를 통하여 신석기시대부터 고려시대에 이르는 유물과 유구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미사동 유적은 선사시대부터 역사시대에 걸친 한강 하류 지역의 고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미사리2.jpg
경기문화재연구원,
공공누리 제4유형


신석기시대의 집터와 화덕자리 그리고 많은 종류의 석기와 빗살무늬토기가 발굴되었다. 이 곳의 신석기시대 문화 성격은 미사동보다 약간 하류 쪽에 있는 암사동 유적과 여러 가지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청동기시대 지층에서는 집터와 화덕자리를 비롯하여 다양한 석기와 민토기, 붉은간그릇, 검은간그릇, 구멍무늬토기, 덧띠토기 등이 나왔다. 삼한시대의 지층에서는 움집과 지상 가옥의 집자리, 부뚜막 시설 등이 확인되어 고대 건축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미사리3.jpg
경기문화재연구원,
공공누리 제4유형


여러 종류의 철제 유물, 토기, 석기, 옥제품 등과 함께 유리구슬을 만드는 데 쓰인 거푸집과 1세기 무렵으로 보이는 청동거울도 이 시기의 문화층에서 나왔다. 미사동 유적에서 드러난 백제시대 경작지(밭)의 발굴 성과는 당시의 사회 경제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성

이 유적은 1960년 김원용(金元龍)에 의해 신석기시대의 유적으로 학계에 보고된 이래로 수차에 걸쳐 지표조사가 실시되었으며, 1980년에는 사적지 일대에 대한 긴급 발굴 조사가 실시되어 신석기시대의 유적으로만 알려져 오던 미사리유적이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초기 철기시대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밝혀지게 되었다.

1980년대 후반 한강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유적 일대의 강류 폭을 확장하여 강 안을 정비하고자 하는 계획이 수립되어, 이곳 일대가 하천으로 편입되어 유적이 멸실될 위기에 처하게 되자 ‘미사리선사유적발굴조사단’이 구성되어 유적에 대한 구제 발굴을 실시하게 되었다.

미사리4.jpg
경기문화재연구원,
공공누리 제4유형


조사는 1987년부터 1992년에 이르기까지 모두 3차에 걸쳐서 이루어졌는데, 이 조사를 통하여 신석기시대에서부터 초기 백제에 이르는 시기의 취락지와 유물이 확인되었으며, 1992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백제시대의 밭이 대규모로 발굴되었고, 이러한 조사 성과에 힘입어 멸실 위기에 처해 있던 유적의 대부분이 보존되게 되었다

미사리5.jpg
경기문화재연구원,
공공누리 제4유형
.
미사리 유적은 원래 한강 중류에 위치한 하중도(河中島)로 원래 섬의 서쪽은 한강 본류가 흐르고 동쪽은 지류가 흘렀으나, 동쪽의 지류는 서울올림픽 조정경기장의 건설로 현재는 완전히 막혀 버렸다. 미사리 섬의 크기는 남북 4km, 동서 1.5km 가량 된다. 유적이 있는 한강 중류 일대는 강안을 따라 해발 50m 내외의 나지막한 야산 또는 구릉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들 구릉과 야산 사이에는 주변 화강암 산지의 풍화토가 퇴적되어 형성된 충적평야가 발달해 있다. 이러한 지형적인 조건으로 선사시대에서 역사시대에 이르는 많은 유적이 확인·조사되고 있다.

창건기

국보

다보탑

석가탑


파일:석조1.jpg|300픽셀||불국사 석조
문화재청,
공공누리 제1유형 파일:석조2.jpg|300px| |불국사석조
문화재청,
공공누리 제1유형 파일:석조3.jpg|300픽셀| |불국사 석조
문화재청,
공공누리 제1유형


</gallery>

교통

지도를 불러오는 중...

Google Maps 비상업적 이용 - 공정 이용 가능

  • 대중교통



  • 자가 운전

관련 자료

참고문헌/출처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이재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