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주의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임예찬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6월 15일 (금) 14:51 판 (새 문서: 사실주의 ==정의== 경험적인 현실을 유일한 세계, 가치, 방법으로 인식하려는 문예사조(예술사조). ==내용==사실주의(또는 현실주의)는 r...)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실주의


정의

경험적인 현실을 유일한 세계, 가치, 방법으로 인식하려는 문예사조(예술사조).


==내용==사실주의(또는 현실주의)는 res(실물)에 어원을 둔 realism의 역어이다. 경험적인 현실 외의 이상적·초월적 세계의 존재 증거가 없다고 보는 일원론적 세계관에서 진리나 진실, 미학적 가치, 예술창작의 방법 등을 뭉뚱그려 통칭한다. 따라서 이상주의적 경향(고전주의·낭만주의·심미주의 등)과 자의식(自意識)의 절대성 및 회의주의를 바닥에 깔고 있는 모더니즘(modernism)과 대립된다.

리얼리즘은 ‘당대 사회의 객관적 묘사’로 보는 19세기의 근대 리얼리즘(사실주의, 자연주의)과, 사회적 변혁 이데올로기와 결합된 리얼리즘(변증법적 리얼리즘,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두 갈래로 대별할 수 있다. 19세기의 리얼리즘은 당대 사회현실의 객관적 묘사, 또는 있는 그대로의 세계의 반영을 특색으로 한다.

≪창조≫(1919) 무렵부터 개화기 및 추원의 계몽주의에 맞서서 “인생의 회화”, “인생문제의 제시”라는 근대 리얼리즘론을 표방한 김동인(金東仁)을 비롯하여 현진건(玄鎭健)·염상섭(廉想涉)·전영택(田榮澤) 등의 소설작품이 초기의 구체적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리얼리즘의 한 분파인 자연주의는 엄밀한 의미에서 예술창작의 특수성을 무시하고 그 방법을 과학과 일치시키려는 무모한 시도에 불과하다. 이러한 점에서 리얼리즘의 본질적 개념을 진전시킨 것은 아니다.


개인주의에 의거한 채 사회의 미래에 대한 전망의 결여라는 점에서,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결부된 문학사조라기보다는 그것의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1922년 무렵부터 사실주의와 자연주의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사회적 관점을 도입하고 이념으로서 리얼리즘을 탐구하기 시작한다.


일제 말 암흑기(1940∼1945)의 전향·부역·종군(從軍)·침묵 등을 거쳐 광복을 맞은 리얼리즘 논의는, 김남천·이원조·임화 중심의 문학건설 총본부(1945.8.16.)와, 한효·이기영·한설야 중심의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1945.9.17.)으로의 양분된 발족과 당(남로당)과의 연결로, 당시의 건국 이데올로기에 상응하는 진보적 리얼리즘(인민연대독재에 의한 진보적 민주주의 국가 건설과 상응)과 사회주의 리얼리즘(일당 독재 사회주의 국가 건설과 상응)으로 갈린다. 그러나 남로당의 지령에 따라 두 단체가 조선문학가동맹(1946.2.8.∼9.)으로 통합함으로써 진보적 리얼리즘 쪽으로 귀결된다(김윤식).


≪현대문학≫이나 ≪월간문학≫을 압도한 듯한 ≪창작과 비평≫(1966)의 창간도 한국 리얼리즘 성장에 기여한다. 특권층의 부패 풍자(김지하, <五賊>, 사상계, 1970.5.), 변두리 노동자들의 생태(황석영, <객지>, 1974) 등 산업화로 1970년대 계층사회의 모순 인식은 바로 모순의 근원에 대한 질문의 심화다.

일제 식민지시대의 리얼리즘, 특히 변증법적 리얼리즘과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경우, ① 실천(창작)보다 왕성한 이론이 앞섰고, ② 소련의 경우에는 사회주의 체제를 어느 정도 갖춘 현실사회를 기반으로 한 점, 당(공산당)과 단체(라프, 소련작가동맹)와 작가와의 3중 연결로 묶여 있는 점이 지적될 수 있으나 한국의 경우에는 그런 연대가 없고, ③ 일본을 매개로 수입된 복사(複寫) 이론의 공소성을 면할 수 없다. 광복 후, 특히 6·25 이후 사회현실 및 문학사조의 양극구도에서 자생적 리얼리즘으로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사실주의 문학

지나친 공상이나 이상을 추구하는 낭만주의에 반발하면서, 자연 환경과 삶의 모습을 객관적인 상태 그대로 나타내려는 문학적 경향.

19세기 후반 낭만주의는 지나친 이상주의에 빠져 있거나, 퇴폐적이고 허무주의적인 모습을 띄었다. 이러한 낭만주의에 반발하면서 등장한 것이 '사실주의'이다. '사실주의 문학'에서는 아무리 부정적이라 할지라도 현실을 과장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것을 바탕으로 삼고 있다.


한국의 사실주의는 김동인의 「약한 자의 슬픔」, 전영택의 「천치? 백치?」를 그 시작으로 볼 수 있다. 그 후 염상섭과 현진건의 자연주의적 작품이 사실주의 문학에 포함되기도 하며, 1920∼30년대에는 신경향파의 사회적 리얼리즘, 김유정의 토착적 리얼리즘, 이상의 심리적 리얼리즘 등이 나타난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 "사실주의".<한국민족문학대백과사전>
  • "사실주의 문학".<대교학습백과>

작성자 및 기여자

임예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