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허구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공연 정보)
38번째 줄: 38번째 줄:
 
| [[파일:공연1.gif|200px]] || 2016.10.07 ~ 2016.10.31  || [http://www.ntck.or.kr/ko/performance/info/255693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 극장]에서 공연.
 
| [[파일:공연1.gif|200px]] || 2016.10.07 ~ 2016.10.31  || [http://www.ntck.or.kr/ko/performance/info/255693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 극장]에서 공연.
 
|-
 
|-
| [[파일:공연2.jpg|200px]] || 2018.05.09 ~ 2018.05.11 || 우진문화공간에서 공연.
+
| [[파일:공연2.jpg|200px]] || 2018.05.09 ~ 2018.05.11 || [http://www.woojin.or.kr/ 우진문화공간]에서 공연.
 
|}
 
|}
  

2018년 6월 15일 (금) 12:18 판


작품명

개요

<산허구리>는 1936년 9월에 창작된 단막극으로, 함세덕은 산허구리를 <조선문학>에 실으면서 등단했다. 주요 등장인물은 복실네 일가 다섯 사람이다. 희곡은 '캄캄한 어두움 속에 늠실늠실 물결치는 거치른 바다가'에 위치한 서해안 어느 어촌의 누추한 토막에서 일어나는 일가족의 슬픈 이야기를 담고 있다.

줄거리

노어부는 거친 바다에서 가산을 탕진하고 그의 한 다리마저 상어에게 뜯겨 불구가 된 후, 술로 하루하루를 보낸다. 그의 큰아들과 큰 사위는 몇 해 전에 고기잡이를 나가 바다에 수장되었다. 둘째 아들 복조도 아버지와 형의 뒤를 이어 다시 바다로 나갔지만, 시간이 지나도 돌아오지 않는다. 노어부의 아내인 어머니는 둘째아들 복조가 탄 배가 며칠째 돌아오지 않자 실성한 상태로 복조를 애타게 기다린다. 남편을 잃고 조개 도적질로 연명하는 큰 딸 분어미, 둘째 딸 복실, 셋째 아들 석이는 그런 어머니를 안타깝게 바라보며 가장 역할을 했던 복조가 무사히 돌아오기를 바란다. 하지만 풍랑 속에서 겨우 살아 돌아온 어부에 의해 복조가 죽었다는 사실이 전해진다. 마을 사람들에 의해 복조의 시신이 발견되어 가족 앞에 놓이지만, 어머니는 자신의 아들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마을을 헤맨다. 막내아들 석이는 자신의 가족을 깊게 휘감고 있는 비극적인 불행의 근원이 무엇인지 고민한다.

작품 설명

  • 이야기


  • 구성


공연 정보

공연1.gif 2016.10.07 ~ 2016.10.31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 극장에서 공연.
공연2.jpg 2018.05.09 ~ 2018.05.11 우진문화공간에서 공연.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PlayDB

네이버지식백과

이희환, <함세덕론: 닫힌 시대, 열린 무대를 향하여>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