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로 가는 전봉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93번째 줄: 93번째 줄:
 
==관련 일화==
 
==관련 일화==
 
*시인은“나의 20대 초반이 80년대였고, 전라도로 상징되는 역사적 상황이 안일한 서정시만 써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내가 발 딛고 서 있는 한국의 역사적 현실이 오순도순 같이 모여 살지 못하던 내 가족의 상황과도 흡사했다”라며 당시의 심정을 밝혔다
 
*시인은“나의 20대 초반이 80년대였고, 전라도로 상징되는 역사적 상황이 안일한 서정시만 써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내가 발 딛고 서 있는 한국의 역사적 현실이 오순도순 같이 모여 살지 못하던 내 가족의 상황과도 흡사했다”라며 당시의 심정을 밝혔다
 +
 +
==작성자 및 기여자==
 +
작성자: [[한수진]]

2020년 6월 20일 (토) 16:08 기준 최신판

소개

  • 1985년(민음사 刊)에 출간된 안도현 시인의 첫 시집
  • 이십대의 청년기를 통과해나가는 시인의 풋풋하고 건강한 삶의 언어들이 따뜻하게 전달되는 시편들로 가득차 있다

전문

서울로 가는 전봉준
안도현
눈 내리는 만경들 건너가네

해진 짚신에 상투 하나 떠가네

가는 길 그리운 이 아무도 없네

녹두꽃 자지러지게 피면 돌아올거나

울며 울지 않으며 가는

우리 봉준이

풀잎들이 북향하여 일제히 성긴 머리를 푸네 


그 누가 알기나 하리

처음에는 우리 모두 이름 없는 들꽃이었더니

들꽃 중에서도 저 하늘 보기 두려워

그늘 깊은 땅 속으로 젖은 발 내리고 싶어하던

잔뿌리였더니


그대 떠나기 전에 우리는

목 쉰 그대의 칼집도 찾아주지 못하고

조선 호랑이처럼 모여 울어주지도 못하였네

그보다도 더운 국밥 한 그릇 말아주지 못하였네

못다 한 그 사랑 원망이라도 하듯

속절없이 눈발은 그치지 않고

한 자 세 치 눈 쌓이는 소리까지 들여오나니


그 누가 알기나 하리

겨울이라 꽁꽁 숨어 우는 우리나라 풀뿌리들이

입춘 경칩 지나 수군거리며 봄바람 찾아오면

수천 개의 푸른 기상나팔을 불어제낄 것을

지금은 손발 묶인 저 얼음장 강줄기가

옥빛 대님을 홀연 풀어헤지고

서해로 출렁거리며 쳐들어갈 것을


우리 성상(聖上) 계옵신 곳 가까이 가서

녹두알 같은 눈물 흘리며 한 목숨 타오르겠네

봉준이 이 사람아

그대 갈 때 누군가 찍은 한 장 사진 속에서

기억하라고 타는 눈빛으로 건네던 말

오늘 나는 알겠네


들꽃들아

그날이 오면 닭 울 때

흰 무명때 머리에 두르고 동진강 어귀에 모여

척왜척화 척왜척화 물결소리에

귀를 기울어라

관련 일화

  • 시인은“나의 20대 초반이 80년대였고, 전라도로 상징되는 역사적 상황이 안일한 서정시만 써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내가 발 딛고 서 있는 한국의 역사적 현실이 오순도순 같이 모여 살지 못하던 내 가족의 상황과도 흡사했다”라며 당시의 심정을 밝혔다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한수진